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52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520


【私記】
私曰호 冀修心人이 切須審詳야 不墮此見이어다 不可離妄코 求眞며 亦不可認妄야 爲眞호리니 若了妄念이 從性而起  면 起예 即無起라 當處에 便寂리어니 豈有眞妄二見乎ㅣ리오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牧·목牛우子:ㅣ 닐·오· 라 · 주001)
:
것은. (의존명사)+ㄴ(보조사).
 ·닷· ·사·미 ·모· 주002)
모:
반드시. 모름지기. 간절히. 15세기 국어에는 [必]을 뜻하는 고유어로 ‘반기’ 외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었다. ¶반시〈두시언해 초간본 24:32ㄱ〉, 반개〈두시언해 초간본 25:2ㄴ〉, 모〈용비어천가 88〉.
··셰히 주003)
셰히:
자세히. 셰(仔細)+-+이(부사형어미). ‘셰, 셔히’로도 나타난다.
:·펴 주004)
펴:
살펴. ‘펴’의 중철이다.
·이 見·견에 디디 주005)
디디:
떨어지지. 디-[墮]+디(보조적 연결어미).
마·롤·디어·다 주006)
마롤 디어다:
말지어다.
어·루 주007)
어루:
가히. 능히.
妄·念:념 여·희·오 주008)
여희오:
여의고. 여희-[離]+고/오.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ㄱ’이 약화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여희오’(41ㄱ, 51ㄱ, 90ㄴ)과 ‘여희고’(84ㄱ)가 다 나타난다.
眞진實·실  求구

별행록절요언해:41ㄴ

·티 ·말·며 · 妄·念:념· 아·라 眞진實·실  ·삼디 마·롤·디니 ·다:가 妄·念:념이 眞진性··을브·터 ·니: 주009)
니:
일어나는. 닐-[起]++ㄴ.
· 주010)
: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알·면 妄·念:념이 니·러·나매 ·곧 니·로미 :업슨 ·디라 當 고·대 주011)
고대:
곳에서. 곧[處]+애(부사격조사).
:곧 괴외커·니 주012)
괴외커니:
고요하니. 괴외+-+거(완료상 선어말어미)+니. 문맥으로 보면 ‘괴외리니’가 더 자연스럽다. 그러나 번역자는 고요한 상태 즉 깨달은 상태가 그 다음 사태 즉 참과 거짓을 별개로 보지 않게 되는 경지에 앞선다는 것을 근거로 완료상의 ‘-거-’를 쓴 것으로 보인다.
·엇:뎨 眞진·과 妄·과ㅅ 주013)
진(眞)과 망(妄)과ㅅ:
참과 거짓의. ‘과ㅅ’은 ‘괏’으로 적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책에서는 ‘괏, 과ㅅ’ 두 가지가 다 보인다. ¶아롬과 닷곰괏(2ㄴ), 善과 惡괏(9ㄴ). 賢人과 聖人과ㅅ(41ㄴ). ‘眞과 妄과ㅅ 두 가지’의 ‘두 가지’는 아우름 명사구인데, 아우름 명사구 앞에서 마지막 접속항 뒤의 관형격 조사는 수의적으로 쓰였다. 다음 예문 중 ①에는 관형격 조사 ‘ㅅ’이 쓰였지만, ②에는 ‘ㅅ’이 쓰이지 않았다. ¶①分別와 俱生괏 두 惑 가비니〈눙엄경언해 1:107ㄱ〉. ②나와 法과 두 執著 덜면〈월인석보 9:7ㄱ〉.
·두 가·지로 ·보미 이시·리오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목우자가 이르되, 바라는 바는 마음 닦을 사람이 반드시 자세히 살펴 이러한 견해에 떨어지지 말지어다. 가히 망념(妄念)을 여의고 진실한 마음을 구하지 말며 또 망념을 (잘못) 알아서 진실한 마음으로 삼지 말지니, 만약 망념이 진짜 성품을 쫓아 일어나는 것을 알게 되면 망념이 일어남에 곧 일어남이 없는지라, 바로 그곳에서 곧 고요할 것이니, 어찌 진(眞)과 망(妄)의 두 가지로 보는 견해가 있으리오?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것은. (의존명사)+ㄴ(보조사).
주002)
모:반드시. 모름지기. 간절히. 15세기 국어에는 [必]을 뜻하는 고유어로 ‘반기’ 외에 다음과 같은 것이 있었다. ¶반시〈두시언해 초간본 24:32ㄱ〉, 반개〈두시언해 초간본 25:2ㄴ〉, 모〈용비어천가 88〉.
주003)
셰히:자세히. 셰(仔細)+-+이(부사형어미). ‘셰, 셔히’로도 나타난다.
주004)
펴:살펴. ‘펴’의 중철이다.
주005)
디디:떨어지지. 디-[墮]+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06)
마롤 디어다:말지어다.
주007)
어루:가히. 능히.
주008)
여희오:여의고. 여희-[離]+고/오.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ㄱ’이 약화한 것이다. 이 책에서는 ‘여희오’(41ㄱ, 51ㄱ, 90ㄴ)과 ‘여희고’(84ㄱ)가 다 나타난다.
주009)
니:일어나는. 닐-[起]++ㄴ.
주010)
:것을. (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11)
고대:곳에서. 곧[處]+애(부사격조사).
주012)
괴외커니:고요하니. 괴외+-+거(완료상 선어말어미)+니. 문맥으로 보면 ‘괴외리니’가 더 자연스럽다. 그러나 번역자는 고요한 상태 즉 깨달은 상태가 그 다음 사태 즉 참과 거짓을 별개로 보지 않게 되는 경지에 앞선다는 것을 근거로 완료상의 ‘-거-’를 쓴 것으로 보인다.
주013)
진(眞)과 망(妄)과ㅅ:참과 거짓의. ‘과ㅅ’은 ‘괏’으로 적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책에서는 ‘괏, 과ㅅ’ 두 가지가 다 보인다. ¶아롬과 닷곰괏(2ㄴ), 善과 惡괏(9ㄴ). 賢人과 聖人과ㅅ(41ㄴ). ‘眞과 妄과ㅅ 두 가지’의 ‘두 가지’는 아우름 명사구인데, 아우름 명사구 앞에서 마지막 접속항 뒤의 관형격 조사는 수의적으로 쓰였다. 다음 예문 중 ①에는 관형격 조사 ‘ㅅ’이 쓰였지만, ②에는 ‘ㅅ’이 쓰이지 않았다. ¶①分別와 俱生괏 두 惑 가비니〈눙엄경언해 1:107ㄱ〉. ②나와 法과 두 執著 덜면〈월인석보 9:7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