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89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890


【私記】
又見禪學者호니 但知過量機의 不踐階梯야 徑登佛地之義고 不信此錄中에 有悟解後에 初入十信位之文니라 以故로 纔有自心開發處나 不知解行之深淺과 染習之起滅야 多有法慢야 所發言

별행록절요언해:70ㄴ

句越分過頭니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 參참禪션· 學·者:쟈 주001)
학자(學者):
여기의 ‘학자(學者)’는 ‘전문적인 연구자’가 아니라 ‘(참선을) 배우는 자’를 뜻한다.
· 보·니 오·직 過·과量大·대人 주002)
과량대인(過量大人):
도량(度量)이 일반인보다 뛰어난 근기(根機)를 지닌 사람. 근기(根機)란 교법(敎法)을 받을 수 있는 중생의 능력을 말한다.
· 주003)
과량대인(過量大人):
‘과량대인’의 중철이다. ‘ᄋᆡ’는 주어적 관형격 조사이다. 서술어 ‘오ᄅᆞ-’가 관형사형으로 나타남에 따른 것이다.
리 주004)
리:
다리[橋]. 여기서는 ‘계제(階梯)’의 번역이므로 ‘사다리’를 뜻한다. 중세국어에서 ‘ᄃᆞ리’는 [橋]를, ‘다리’는 [脚]을 뜻한다.
· :·디 아·니··야 즐·어 주005)
즐어:
질러서. 바로. 일찍. ‘경(徑)’의 번역으로서,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지름길로 바로’를 뜻한다. 즈르-[徑]+어(연결어미). 현대국어 ‘질러가다, 지름길, 지레(=미리)’의 ‘지르-’는 ‘즈르-’의 발달형이다. ‘즐어’의 관련 어휘로는 ‘즐어디다(=지레 죽다)’, ‘즐어업다(=夭亡하다)’ 등이 있다.
佛·불地·디 주006)
불지(佛地):
수행의 결과로서 도달하게 되는 최상의 깨달음의 지위.
오 주007)
오:
오른. 오-[登]+ㄴ(관형사형어미). 동사 어간에 시제표지가 결합하지 않으면 대개 과거 시제를 나타내지만, 여기서는 문맥으로 보아 ‘오른다고 하는’ 정도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들 주008)
들:
뜻을. [義]+을. 여기서는 ‘뜻만을’로 이해해야 한다. ‘오직 過量大人 리 디 아니야 즐어 佛地예 오 들 알오’의 원문이 ‘但知過量機의 不踐階梯야 徑登佛地之義고’인데, ‘但知’의 대상이 ‘過量大人~’이기 때문이다.
·알오 ·이 ·어錄·록 주009)
어록(어錄):
종밀(宗密)의 『법집별행록』을 말한다. 한자어의 제1음절은 한글로, 제2음절은 한자로 표기한 드문 예이다.
中에 주010)
중(中)에:
속에서. (-을) 통해서.
 ·안 주011)
 안:
마음을 안. 자기 마음을 깨달은.
後:후에 주012)
후(後)에:
후에야. ‘’는 ‘강조’, ‘단독’, ‘의무’ 또는 ‘당연’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체언이나 조사, 어말 어미 뒤에 두루 통합된다. ‘-거’에서처럼 어말 어미로 쓰이기도 한다.
·처· 주013)
처:
처음으로. 처+. ‘’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 특수처소부사격 조사이다.
十·십信·신位·위 주014)
십신위(十信位):
보살의 수행 계위(階位) 중 최초 단계. ‘십신위(十信位)’(67ㄴ)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드·니라 주015)
드니라:
들어가느니라. 들-[入]++니+라. 평서문 종결형식의 ‘-니-’는 사태에 대한 청자의 인지를 요구하는 선어말어미이다.
·혼 주016)
혼:
한. -+오/우+ㄴ(관형사형어미).
文문字: 주017)
문자(文字):
이 ‘문자’는 ‘글자’가 아니라 ‘글’을 뜻한다.
· 信·신티 아·니··니라 ·이런 젼·로 주018)
젼로:
까닭으로. ‘까닭’을 뜻하는 말에는 ‘젼(詮次)’와 ‘앛’이 있다. ‘젼’는 17·8세기까지 쓰였다.
: 주019)
:
겨우. 금방. 처음.
제  아·론 주020)
아론:
안. ‘알다’의 과거 시제 관형사형은 ‘안’ 또는 ‘아론’으로 나타난다.
·고·디 주021)
고디:
곳이. 곧[處]+이. ‘곧’은 장소를 의미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이고, 사물이나 개념을 지시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인다.
이시·나 주022)
이시나:
있으나. 이시-[有]+으나. 어간 ‘이시-’는 모음어미 앞에서, ‘잇-’은 자음어미 앞에서 쓰였다.
아롬·과 行··괘 주023)
아롬과 행(行)괘:
앎과 행이. 마지막 접속항 뒤에도 접속 조사가 쓰인다.
기:프·며 여:틈 주024)
여틈:
옅음. 옅-[淺]+음(명사형어미). ‘녙-’이 ‘옅-’으로 변화하였고, 명사형 어미 ‘-옴/움’이 ‘-음/’으로 변화한 모습을 보여 준다.
·과 :더·러·운 주025)
더러운:
더러운. 더럽-[汚, 染]+은→더러〉더러운.
習·습氣·긔 주026)
습기(習氣):
번뇌와 업(業)의 결과로서 습관이 되어 버린 성벽(性癖).
生·며 滅·멸:호· ·아디 ·몯··야 ·해 주027)
해:
많이. 하-[多, 大]+이(부사파생접미사). ‘해’의 수식 대상은 ‘이셔’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문 ‘多有法慢야’의 구조에 이끌려, ‘해’의 위치가 앞으로 이동하였다.
法·법에 我·아慢·만心심 주028)
아만심(我慢心):
번뇌(煩惱)의 하나. 지나치게 자신을 믿고 거만한 마음. ‘법만(法慢)’은 자기가 얻은 법에 말미암아 일으키는 교만심이다.
·미 주029)
아만심(我慢心)미:
‘아만심이’의 중철이다. 아만심은 자만심(自慢心)과 비슷한 말이다.
이·셔 나·토·와 주030)
나토와:
드러내어. 낱-[現, 發]+오(사동접미사)+아(연결어미). ‘나토아’가 일반적인 표기인데, 모음 충돌을 막기 위해 반자음 [w]가 개입하였다.
니 ·말미 제 分분네 주031)
분(分)네:
분에. 분수에. ‘분에’의 중철이다.
너·므·며 제게 너·믄 주032)
너믄:
넘치는. 넘-[越]+은(관형사형어미). 동사 어간에 시제 표지가 없으면 과거 시제를 나타낸다. 그런데 ‘넘은’은 과거 시제로 이해되지 않는다. 이 ‘넘다’는 형용사이다. ‘넘다’가 ‘어떤 물체 위를 통과하다’를 뜻할 때에는 동사이고, ‘어떤 정도나 수준을 초과하다’를 뜻할 때에는 형용사이다.

별행록절요언해:71ㄱ

:마· ··니라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또 참선하는 학생들을 보니, 오직 과량대인(過量大人)의
(=이)
사다리를 밟지 않고 〈지름길로〉 질러서 불지(佛地)에 오른다는 뜻만 알고 이 어록
(법집별행록)
을 통해서 마음을 깨달은 후에야 처음으로 십신위(十信位)에 든다고 한 글을 믿지 아니하느니라. 이런 까닭으로 겨우 제 마음을 안 곳이 있으나 앎과 행(行)이 깊으며 옅음과 더러운 습기(習氣)가 생겨나며 사라짐을 알지 못하여 법(法)에 대한 아만심(我慢心)이 많이 있어서, 드러내어 하는 말이 제 분에 넘치며 제게
(=제 처지에)
넘치는 말을 하느니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학자(學者):여기의 ‘학자(學者)’는 ‘전문적인 연구자’가 아니라 ‘(참선을) 배우는 자’를 뜻한다.
주002)
과량대인(過量大人):도량(度量)이 일반인보다 뛰어난 근기(根機)를 지닌 사람. 근기(根機)란 교법(敎法)을 받을 수 있는 중생의 능력을 말한다.
주003)
과량대인(過量大人):‘과량대인’의 중철이다. ‘ᄋᆡ’는 주어적 관형격 조사이다. 서술어 ‘오ᄅᆞ-’가 관형사형으로 나타남에 따른 것이다.
주004)
리:다리[橋]. 여기서는 ‘계제(階梯)’의 번역이므로 ‘사다리’를 뜻한다. 중세국어에서 ‘ᄃᆞ리’는 [橋]를, ‘다리’는 [脚]을 뜻한다.
주005)
즐어:질러서. 바로. 일찍. ‘경(徑)’의 번역으로서, ‘중간 단계를 거치지 않고 지름길로 바로’를 뜻한다. 즈르-[徑]+어(연결어미). 현대국어 ‘질러가다, 지름길, 지레(=미리)’의 ‘지르-’는 ‘즈르-’의 발달형이다. ‘즐어’의 관련 어휘로는 ‘즐어디다(=지레 죽다)’, ‘즐어업다(=夭亡하다)’ 등이 있다.
주006)
불지(佛地):수행의 결과로서 도달하게 되는 최상의 깨달음의 지위.
주007)
오:오른. 오-[登]+ㄴ(관형사형어미). 동사 어간에 시제표지가 결합하지 않으면 대개 과거 시제를 나타내지만, 여기서는 문맥으로 보아 ‘오른다고 하는’ 정도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주008)
들:뜻을. [義]+을. 여기서는 ‘뜻만을’로 이해해야 한다. ‘오직 過量大人 리 디 아니야 즐어 佛地예 오 들 알오’의 원문이 ‘但知過量機의 不踐階梯야 徑登佛地之義고’인데, ‘但知’의 대상이 ‘過量大人~’이기 때문이다.
주009)
어록(어錄):종밀(宗密)의 『법집별행록』을 말한다. 한자어의 제1음절은 한글로, 제2음절은 한자로 표기한 드문 예이다.
주010)
중(中)에:속에서. (-을) 통해서.
주011)
 안:마음을 안. 자기 마음을 깨달은.
주012)
후(後)에:후에야. ‘’는 ‘강조’, ‘단독’, ‘의무’ 또는 ‘당연’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체언이나 조사, 어말 어미 뒤에 두루 통합된다. ‘-거’에서처럼 어말 어미로 쓰이기도 한다.
주013)
처:처음으로. 처+. ‘’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 특수처소부사격 조사이다.
주014)
십신위(十信位):보살의 수행 계위(階位) 중 최초 단계. ‘십신위(十信位)’(67ㄴ)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주015)
드니라:들어가느니라. 들-[入]++니+라. 평서문 종결형식의 ‘-니-’는 사태에 대한 청자의 인지를 요구하는 선어말어미이다.
주016)
혼:한. -+오/우+ㄴ(관형사형어미).
주017)
문자(文字):이 ‘문자’는 ‘글자’가 아니라 ‘글’을 뜻한다.
주018)
젼로:까닭으로. ‘까닭’을 뜻하는 말에는 ‘젼(詮次)’와 ‘앛’이 있다. ‘젼’는 17·8세기까지 쓰였다.
주019)
:겨우. 금방. 처음.
주020)
아론:안. ‘알다’의 과거 시제 관형사형은 ‘안’ 또는 ‘아론’으로 나타난다.
주021)
고디:곳이. 곧[處]+이. ‘곧’은 장소를 의미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이고, 사물이나 개념을 지시하는 의존명사로도 쓰인다.
주022)
이시나:있으나. 이시-[有]+으나. 어간 ‘이시-’는 모음어미 앞에서, ‘잇-’은 자음어미 앞에서 쓰였다.
주023)
아롬과 행(行)괘:앎과 행이. 마지막 접속항 뒤에도 접속 조사가 쓰인다.
주024)
여틈:옅음. 옅-[淺]+음(명사형어미). ‘녙-’이 ‘옅-’으로 변화하였고, 명사형 어미 ‘-옴/움’이 ‘-음/’으로 변화한 모습을 보여 준다.
주025)
더러운:더러운. 더럽-[汚, 染]+은→더러〉더러운.
주026)
습기(習氣):번뇌와 업(業)의 결과로서 습관이 되어 버린 성벽(性癖).
주027)
해:많이. 하-[多, 大]+이(부사파생접미사). ‘해’의 수식 대상은 ‘이셔’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문 ‘多有法慢야’의 구조에 이끌려, ‘해’의 위치가 앞으로 이동하였다.
주028)
아만심(我慢心):번뇌(煩惱)의 하나. 지나치게 자신을 믿고 거만한 마음. ‘법만(法慢)’은 자기가 얻은 법에 말미암아 일으키는 교만심이다.
주029)
아만심(我慢心)미:‘아만심이’의 중철이다. 아만심은 자만심(自慢心)과 비슷한 말이다.
주030)
나토와:드러내어. 낱-[現, 發]+오(사동접미사)+아(연결어미). ‘나토아’가 일반적인 표기인데, 모음 충돌을 막기 위해 반자음 [w]가 개입하였다.
주031)
분(分)네:분에. 분수에. ‘분에’의 중철이다.
주032)
너믄:넘치는. 넘-[越]+은(관형사형어미). 동사 어간에 시제 표지가 없으면 과거 시제를 나타낸다. 그런데 ‘넘은’은 과거 시제로 이해되지 않는다. 이 ‘넘다’는 형용사이다. ‘넘다’가 ‘어떤 물체 위를 통과하다’를 뜻할 때에는 동사이고, ‘어떤 정도나 수준을 초과하다’를 뜻할 때에는 형용사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