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116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1160


【[私記]】
(

별행록절요언해:95ㄴ

낙장 부분 : 又曰 若云本具一切佛德 名之爲悟 一念具足十度萬行 名之爲修 即修 如飮大海水 悟 如得 ☞신광사본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별행록절요언해:20ㄴ

에서 가져옴.)

별행록절요언해:96ㄱ

百千味ᄒᆞ니 亦通解證ᄒᆞ니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 닐·오 ·다·가 주001)
다가:
혹. 혹은. ‘다가’는 대개는 [조건]의 부사절에 쓰이나, 여기서처럼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이때에는 ‘혹은, 가령, 예를 들면’ 정도의 의미를 나타낸다. 원문의 ‘若’도 마찬가지이다.
닐·온 주002)
닐온:
일러서. 이르기를. 이르건대. 이 ‘닐온’은 ‘若云本具一切佛德 名之爲悟 一念具足十度萬行 名之爲修’ 중 ‘云’의 번역이다. 원문의 ‘云’의 지배 범위는 ‘本具一切佛德 名之爲悟 一念具足十度萬行 名之爲修’이다. ‘云’과 ‘名’은 짝을 이루어서 ‘-을 일러 -라 부르다’를 뜻한다. 그러므로 이 ‘云’의 번역인 ‘닐온’은 형태적인 면에서는 관형사형이지만, 부사어로 쓰인 것이다.
·미 本□□ 주003)
本□□:
지워진 자리의 글자는 ‘:본’과 ‘來’이다. ‘本’의 성조는 이 책에서 상성으로 나타난다(2ㄴ, 4ㄱ, 19ㄴ, 20ㄴ, 21ㄱ 등).
一·일切·쳬 佛□德·덕이 주004)
佛□德·덕이:
지워진 자리의 글자는 ‘·불’일 것이다. 이 책의 성조 표시는 매우 불규칙적이지만, ‘佛’은 이 책에서 대체로 거성으로 나타난다(4ㄴ, 5ㄱ, 5ㄴ, 6ㄴ 등).
·자 주005)
자:
갖추어져. -[具]+아(연결어미). ‘-’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인다.
잇 · 주006)
:
것을. ᄃᆞ(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아로·미 일·후·미 頓·돈悟·오ㅣ오 주007)
돈오(頓悟)ㅣ오:
돈오이고. 이(서술격조사)+고(연결어미). 체언의 말음이 ‘ㅣ’ 또는 음절부음 [j] 이외의 모음으로 끝났을 때에는 서술격 조사 어간이 ‘ㅣ’로 나타난다. 그리고 서술격 조사 어간 뒤에서 ‘ㄱ’이 약화한 것이 ‘ㅇ’으로 표기되었다.
一·일念·념메 주008)
일념(一念)메:
일념에. ‘一念에’의 중철이다.
十·십度·도 주009)
십도(十度):
십바라밀. 보살이 열반에 이르기까지 수행해야 하는 열 가지 조목.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 등의 6바라밀에 방편(方便), 원(願), 역(力), 지(智) 등 네 가지를 더한 것을 말함. ‘바라밀’은 ‘pāramitā’의 음역이고 ‘度(=건넘)’는 번역이다. ‘pāramitā’는 ‘피안에 도달하다, 깨달음의 언덕으로 건너가다’란 뜻을 지니고 있다.
萬·만行 주010)
만행(萬行):
수행자가 닦는 모든 수행.
이 : · 아로·미 일·후·미 頓·돈修슈ㅣ·니 ·곧 주011)
곧:
그러면. 그러니.
:닷고· 大·대海·水:슈 마·쇼·미 주012)
마쇼미:
마심과. 마시-[飮]+옴(명사형어미)+이(비교부사격조사).
·고 주013)
고:
같고. ᄀᆞᇀ-[同]+고. 이 낱말의 형태 구조에 대하여는 ‘’(8ㄱ)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아로· 百·千쳔 ·내·헷 주014)
내헷:
내의. 내ㅎ[川](ㅎ말음체언)+엣(처소 관형격조사).
·므릐 주015)
므릐:
물의. 믈[水]+의(관형격조사).
:맛 머·고·미 주016)
머고미:
먹음과. 먹-[食]+옴(명사형어미)+이(비교부사격조사). ‘맛’이 ‘먹다’의 목적어로 쓰인 것은 현대국어와 다른 모습이다. ‘맛’에 목적격 조사가 쓰이지 않은 것은 일반적 경향에 어긋난다.
··니 주017)
니:
같으니. ‘ᄀᆞᆮᄒᆞ니’ 또는 ‘ᄀᆞᄐᆞ니’가 일반적인 표기이다. 이 낱말은 이 책에서 모두 중철되었다. ¶ᄀᆞᆮᄐᆞ니(12ㄱ, 26ㄴ, 76ㄴ), ᄀᆞᆮᄐᆞᆫ(80ㄴ, 111ㄱ), ᄀᆞᆮᄐᆞ나(72ㄱ), ᄀᆞᆮᄐᆞ여(58ㄴ), ᄀᆞᆮᄐᆡ여(19ㄴ), ᄀᆞᆮᄐᆞ니라(27ㄱ, 65ㄱ), ᄀᆞᆮᄐᆞ리오(56ㄱ), ᄀᆞᆮ토ᄆᆞᆯ(22ㄴ), ᄀᆞᆮ티(85ㄴ). 이 낱말의 형태 구조에 대하여는 ‘’(8ㄱ)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 解:悟·오 주018)
해오(解悟):
도리를 깨달아 아는 것. ‘요해각오(了解覺悟)’의 준말이며, ‘증오(證悟)’의 상대어이다.
·와 證·悟·오 주019)
증오(證悟):
올바른 지혜로 진리를 증득하여 깨달음. ‘해오(解悟)’의 상대어이다.
·애 通·니라 ○【十십度도· 十십波바羅라密밀이니 나· 주020)
나:
하나는. ᄒᆞ나ㅎ[一](ㅎ말음체언)+ᄋᆞᆫ(보조사). 중세국어의 수사 ‘ᄒᆞ나ㅎ, 둘ㅎ …’은 현대국어의 서수사 ‘첫째, 둘째’가 쓰일 위치에 쓰이기도 하였다. 중세국어에도 서수사가 따로 존재하였다. 서수사를 형성하는 접미사는 ‘-자히, -짜히, -차히’가 있어서, ‘ᄒᆞ나차히/ᄒᆞ나짜히, 둘차히/둘짜히, 세차히/세짜히’ 등으로 나타난다. 이 접미사는 ‘-채, -차, -재, -자’ 등으로도 나타난다.
보시오 주021)
보시오:
보시(布施)이고. 보시+Ø(서술격조사)+고(연결어미). ‘布施’를 한글로 적은 것은 이례적이다. ‘보’ 앞에 빈 칸을 둔 것은 실수로 보인다.
둘 주022)
둘:
둘은. 둘째는. 둘ㅎ[二]+ᄋᆞᆫ(보조사).
持디戒겨ㅣ오 주023)
지계(持戒)ㅣ오:
지계이고. ㅣ(서술격조사)+고(연결어미). ‘戒’의 독음이 ‘겨’이기 때문에 ‘ㅣ’가 쓰였다. 만약 ‘戒’의 독음이 ‘계’라면, ‘ㅖ’의 마지막 요소인 음절부음 [j] 때문에 ‘ㅣ’가 삭제된다.
세 주024)
세:
셋은. 셋째는. 세ㅎ[三](ㅎ말음체언)+ᄋᆞᆫ.
忍辱욕이오 주025)
인욕(忍辱)이오:
인욕이고. 이(서술격조사)+고(연결어미).
네 주026)
네:
넷은. 넷째는. 네ㅎ[四]+ᄋᆞᆫ(보조사).
精進진이오 다 禪션定이오 여 주027)
여:
여섯은. 여섯 번째는. 여ᄉᆞᆺ[六]+ᄋᆞᆫ(보조사). 15세기 문헌에서는 거의 다 ‘여슷’으로 나타난다. 16세기부터는 ‘여ᄉᆞᆺ’이 많이 보인다.
智디慧혜오 주028)
지혜(智慧)오:
지혜이고. Ø(서술격조사)+고(연결어미). ‘慧’의 독음 ‘혜’의 마지막 요소인 음절부음 [j] 때문에 서술격 조사 어간 ‘이-’가 외현되지 않았다.
닐구 주029)
닐구:
일곱은. 일곱 번째는. 닐굽[七]+ᄋᆞᆫ. 15세기에는 ‘닐굽’만 쓰이다가 16세기에 ‘닐곱’이 나타나 혼용된다.
方便변이오 여듧 주030)
여듧:
여덟은. 여덟 번째는. 여듧+ᄋᆞᆫ. ‘여들ᄇᆞᆫ’의 중철이다.
發발願원이오 아호 十십力력이오 열 주031)
열:
열은. 열 번째는. 열ㅎ[十](ㅎ말음체언)+ᄋᆞᆫ.
大대智이니라 주032)
대지(大智)이라:
‘大대智이니라’ 중 ‘이’ 자가 잘 보이지 않는다. ‘智’의 말음이 ‘ㅣ’이기 때문에 ‘大대智지니라’가 기대되는 것이다. 그러나 ‘지’로는 읽히지 않는다.
이 닐온 열(뒷 부분은 다음 장의 낙장으로 산일됨.)】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또 이르되, 혹은 마음이 본래부터 일체의 불덕(佛德)이 갖추어져 있음을 아는 것이 그 이름이 돈오(頓悟)이고, 일념(一念)에 십도(十度) 만행(萬行)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아는 것이 이름이 돈수(頓修)이니, 곧
(=그러니)
닦음은 대해(大海)의 물을 마시는 것과 같고, 깨닫는 것은 백천 줄기의 냇물의 맛을 보는 것과 같으니, 또 해오(解悟)와 증오(證悟)에 통하니라. ○【십도(十度)는 십바라밀(十波羅密)이니, 첫째는 보시(布施)이고, 둘째는 지계(持戒)이고, 셋째는 인욕(忍辱)이고, 넷째는 정진(精進)이고, 다섯째는 선정(禪定)이고, 여섯째는 지혜(智慧)이고, 일곱째는 방편(方便)이고, 여덟째는 발원(發願)이고, 아홉째는 십력(十力)이고, 열 번째는 대지(大智)이니라. 이것이 이른바 열(…뒷 부분은 다음 장의 낙장으로 산일됨.) …】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가:혹. 혹은. ‘다가’는 대개는 [조건]의 부사절에 쓰이나, 여기서처럼 그렇지 않을 때도 있다. 이때에는 ‘혹은, 가령, 예를 들면’ 정도의 의미를 나타낸다. 원문의 ‘若’도 마찬가지이다.
주002)
닐온:일러서. 이르기를. 이르건대. 이 ‘닐온’은 ‘若云本具一切佛德 名之爲悟 一念具足十度萬行 名之爲修’ 중 ‘云’의 번역이다. 원문의 ‘云’의 지배 범위는 ‘本具一切佛德 名之爲悟 一念具足十度萬行 名之爲修’이다. ‘云’과 ‘名’은 짝을 이루어서 ‘-을 일러 -라 부르다’를 뜻한다. 그러므로 이 ‘云’의 번역인 ‘닐온’은 형태적인 면에서는 관형사형이지만, 부사어로 쓰인 것이다.
주003)
本□□:지워진 자리의 글자는 ‘:본’과 ‘來’이다. ‘本’의 성조는 이 책에서 상성으로 나타난다(2ㄴ, 4ㄱ, 19ㄴ, 20ㄴ, 21ㄱ 등).
주004)
佛□德·덕이:지워진 자리의 글자는 ‘·불’일 것이다. 이 책의 성조 표시는 매우 불규칙적이지만, ‘佛’은 이 책에서 대체로 거성으로 나타난다(4ㄴ, 5ㄱ, 5ㄴ, 6ㄴ 등).
주005)
자:갖추어져. -[具]+아(연결어미). ‘-’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두루 쓰인다.
주006)
:것을. ᄃᆞ(의존명사)+ㄹ(목적격조사).
주007)
돈오(頓悟)ㅣ오:돈오이고. 이(서술격조사)+고(연결어미). 체언의 말음이 ‘ㅣ’ 또는 음절부음 [j] 이외의 모음으로 끝났을 때에는 서술격 조사 어간이 ‘ㅣ’로 나타난다. 그리고 서술격 조사 어간 뒤에서 ‘ㄱ’이 약화한 것이 ‘ㅇ’으로 표기되었다.
주008)
일념(一念)메:일념에. ‘一念에’의 중철이다.
주009)
십도(十度):십바라밀. 보살이 열반에 이르기까지 수행해야 하는 열 가지 조목. 보시(布施), 지계(持戒), 인욕(忍辱), 정진(精進), 선정(禪定), 지혜(智慧) 등의 6바라밀에 방편(方便), 원(願), 역(力), 지(智) 등 네 가지를 더한 것을 말함. ‘바라밀’은 ‘pāramitā’의 음역이고 ‘度(=건넘)’는 번역이다. ‘pāramitā’는 ‘피안에 도달하다, 깨달음의 언덕으로 건너가다’란 뜻을 지니고 있다.
주010)
만행(萬行):수행자가 닦는 모든 수행.
주011)
곧:그러면. 그러니.
주012)
마쇼미:마심과. 마시-[飮]+옴(명사형어미)+이(비교부사격조사).
주013)
고:같고. ᄀᆞᇀ-[同]+고. 이 낱말의 형태 구조에 대하여는 ‘’(8ㄱ)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주014)
내헷:내의. 내ㅎ[川](ㅎ말음체언)+엣(처소 관형격조사).
주015)
므릐:물의. 믈[水]+의(관형격조사).
주016)
머고미:먹음과. 먹-[食]+옴(명사형어미)+이(비교부사격조사). ‘맛’이 ‘먹다’의 목적어로 쓰인 것은 현대국어와 다른 모습이다. ‘맛’에 목적격 조사가 쓰이지 않은 것은 일반적 경향에 어긋난다.
주017)
니:같으니. ‘ᄀᆞᆮᄒᆞ니’ 또는 ‘ᄀᆞᄐᆞ니’가 일반적인 표기이다. 이 낱말은 이 책에서 모두 중철되었다. ¶ᄀᆞᆮᄐᆞ니(12ㄱ, 26ㄴ, 76ㄴ), ᄀᆞᆮᄐᆞᆫ(80ㄴ, 111ㄱ), ᄀᆞᆮᄐᆞ나(72ㄱ), ᄀᆞᆮᄐᆞ여(58ㄴ), ᄀᆞᆮᄐᆡ여(19ㄴ), ᄀᆞᆮᄐᆞ니라(27ㄱ, 65ㄱ), ᄀᆞᆮᄐᆞ리오(56ㄱ), ᄀᆞᆮ토ᄆᆞᆯ(22ㄴ), ᄀᆞᆮ티(85ㄴ). 이 낱말의 형태 구조에 대하여는 ‘’(8ㄱ)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주018)
해오(解悟):도리를 깨달아 아는 것. ‘요해각오(了解覺悟)’의 준말이며, ‘증오(證悟)’의 상대어이다.
주019)
증오(證悟):올바른 지혜로 진리를 증득하여 깨달음. ‘해오(解悟)’의 상대어이다.
주020)
나:하나는. ᄒᆞ나ㅎ[一](ㅎ말음체언)+ᄋᆞᆫ(보조사). 중세국어의 수사 ‘ᄒᆞ나ㅎ, 둘ㅎ …’은 현대국어의 서수사 ‘첫째, 둘째’가 쓰일 위치에 쓰이기도 하였다. 중세국어에도 서수사가 따로 존재하였다. 서수사를 형성하는 접미사는 ‘-자히, -짜히, -차히’가 있어서, ‘ᄒᆞ나차히/ᄒᆞ나짜히, 둘차히/둘짜히, 세차히/세짜히’ 등으로 나타난다. 이 접미사는 ‘-채, -차, -재, -자’ 등으로도 나타난다.
주021)
보시오:보시(布施)이고. 보시+Ø(서술격조사)+고(연결어미). ‘布施’를 한글로 적은 것은 이례적이다. ‘보’ 앞에 빈 칸을 둔 것은 실수로 보인다.
주022)
둘:둘은. 둘째는. 둘ㅎ[二]+ᄋᆞᆫ(보조사).
주023)
지계(持戒)ㅣ오:지계이고. ㅣ(서술격조사)+고(연결어미). ‘戒’의 독음이 ‘겨’이기 때문에 ‘ㅣ’가 쓰였다. 만약 ‘戒’의 독음이 ‘계’라면, ‘ㅖ’의 마지막 요소인 음절부음 [j] 때문에 ‘ㅣ’가 삭제된다.
주024)
세:셋은. 셋째는. 세ㅎ[三](ㅎ말음체언)+ᄋᆞᆫ.
주025)
인욕(忍辱)이오:인욕이고. 이(서술격조사)+고(연결어미).
주026)
네:넷은. 넷째는. 네ㅎ[四]+ᄋᆞᆫ(보조사).
주027)
여:여섯은. 여섯 번째는. 여ᄉᆞᆺ[六]+ᄋᆞᆫ(보조사). 15세기 문헌에서는 거의 다 ‘여슷’으로 나타난다. 16세기부터는 ‘여ᄉᆞᆺ’이 많이 보인다.
주028)
지혜(智慧)오:지혜이고. Ø(서술격조사)+고(연결어미). ‘慧’의 독음 ‘혜’의 마지막 요소인 음절부음 [j] 때문에 서술격 조사 어간 ‘이-’가 외현되지 않았다.
주029)
닐구:일곱은. 일곱 번째는. 닐굽[七]+ᄋᆞᆫ. 15세기에는 ‘닐굽’만 쓰이다가 16세기에 ‘닐곱’이 나타나 혼용된다.
주030)
여듧:여덟은. 여덟 번째는. 여듧+ᄋᆞᆫ. ‘여들ᄇᆞᆫ’의 중철이다.
주031)
열:열은. 열 번째는. 열ㅎ[十](ㅎ말음체언)+ᄋᆞᆫ.
주032)
대지(大智)이라:‘大대智이니라’ 중 ‘이’ 자가 잘 보이지 않는다. ‘智’의 말음이 ‘ㅣ’이기 때문에 ‘大대智지니라’가 기대되는 것이다. 그러나 ‘지’로는 읽히지 않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