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13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130


【私記】
評曰호 此 但染淨緣起之相이며 反流背習之門이라 而不覺妄念이 本無며 心性이 本淨니 悟旣未徹이어니 修豈稱眞

별행록절요언해:12ㄴ

哉이리오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의·론··야 주001)
의론야:
의론하여. 따져 보아. 한자어 ‘議論’이 한글로 적힌 것은 이례적이다. 이 책에서는 ‘의론’(12ㄴ, 19ㄱ)과 ‘의논’(56ㄴ)이 다 쓰였다.
닐:오· 주002)
닐오:
이르되. 말하자면.
·이 北·븍宗· 오·직 :더러우며 ·조호·브:터 닐와· 주003)
닐와:
일으킨. 대개 ‘니와’으로 나타난다. 이 책의 ‘닐와ᄃᆞᆫ’은 그 축약형으로 보인다. 닐[起]-+ᄋᆞ(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관형사형어미). ‘닐와다’(9ㄴ)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相· 주004)
상(相):
외계에 나타나서 마음의 상상(想像)의 대상이 되는 사물의 모양.
이:며 欲·욕流류 주005)
욕류(欲流):
욕계의 번뇌 중 29가지 미혹을 말한다.
· 두위·혀:며 주006)
두위혀며:
뒤집으며. 뒤엎으며. 두위-/두위혀[反, 覆]-+며. 『원각경언해』(1465) 이후에 각자병서가 쓰이지 않았다. 한편 ‘두위혀다’보다 ‘드위혀다’가 더 널리 쓰였다. ‘혀-’는 [引]의 뜻을 지닌 동사 ‘다’에서 온 것이지만, 그 의미와 무관하게 쓰이는 일이 있는 것으로 보아 중세국어 시기에 이미 접사적 성격으로 변화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習:습氣·긔 주007)
습기(習氣):
갖가지 번뇌의 결과로서 훈습된 여기(餘氣). 업(業)을 지은 결과로서 습관이 된 버릇이나 어떤 성벽(性癖)을 말한다. ‘종자(種子)’를 가리키기도 한다.
· 背:反반·: 門문·이라 妄·念·념이 :볼 ·업스:며 心심性··이 :볼 ·조 · ·아디 ·몯·니 아로:미 :마 ::디 주008)
디:
사무치지. 통달하지. [徹]-+디.
·몯거·니 ·엇:뎨 眞진實·실·이라 니·리오 주009)
엇뎨 진실(眞實)이라 니리오:
원문은 ‘修豈稱眞哉이리오’이다. ‘수(修)’의 번역이 누락되었다.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의론하여
(=평하여)
말한다면, 이 북종은 오직 더러움과 깨끗함에 의거하여 일으킨 상(相)이며, 욕류(欲流)를 뒤집으며, 습기(習氣)를 배반하는 문이라, 망념이 본래 없으며, 심성이 본래 깨끗한 것을 알지 못하니, 깨달음이 이미 사무치지 못하니, 〈닦음이〉 어찌 진실이라 이르리오?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의론야:의론하여. 따져 보아. 한자어 ‘議論’이 한글로 적힌 것은 이례적이다. 이 책에서는 ‘의론’(12ㄴ, 19ㄱ)과 ‘의논’(56ㄴ)이 다 쓰였다.
주002)
닐오:이르되. 말하자면.
주003)
닐와:일으킨. 대개 ‘니와’으로 나타난다. 이 책의 ‘닐와ᄃᆞᆫ’은 그 축약형으로 보인다. 닐[起]-+ᄋᆞ(사동접미사)+왇(강세접미사)+(관형사형어미). ‘닐와다’(9ㄴ)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주004)
상(相):외계에 나타나서 마음의 상상(想像)의 대상이 되는 사물의 모양.
주005)
욕류(欲流):욕계의 번뇌 중 29가지 미혹을 말한다.
주006)
두위혀며:뒤집으며. 뒤엎으며. 두위-/두위혀[反, 覆]-+며. 『원각경언해』(1465) 이후에 각자병서가 쓰이지 않았다. 한편 ‘두위혀다’보다 ‘드위혀다’가 더 널리 쓰였다. ‘혀-’는 [引]의 뜻을 지닌 동사 ‘다’에서 온 것이지만, 그 의미와 무관하게 쓰이는 일이 있는 것으로 보아 중세국어 시기에 이미 접사적 성격으로 변화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주007)
습기(習氣):갖가지 번뇌의 결과로서 훈습된 여기(餘氣). 업(業)을 지은 결과로서 습관이 된 버릇이나 어떤 성벽(性癖)을 말한다. ‘종자(種子)’를 가리키기도 한다.
주008)
디:사무치지. 통달하지. [徹]-+디.
주009)
엇뎨 진실(眞實)이라 니리오:원문은 ‘修豈稱眞哉이리오’이다. ‘수(修)’의 번역이 누락되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