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122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1220


【私記】
(

별행록절요언해:110ㄴ

낙장 부분 : 似此之流 返不如依密師 如實言敎 專精觀察 能伏愛憎嗔喜人我勝負 ☞신광사본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58ㄱ에서 가져옴.)

별행록절요언해:111ㄱ

之心也ㅣ니라 但於佛法如實知見에 而有出身之路ᄒᆞ면 則玄中玄과 及別置一句ㅣ 自然在其中矣ᄒᆞ리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이 · 주001)
:
같은. ‘’의 중철이다. 본래의 구조는 ‘(부사)+-+ㄴ’이지만, ‘’을 ‘-(형용사 어간)+’으로 오분석한 결과 어간 ‘-’이 형성되었으며, ‘니’와 같은 어형을 ‘-(형용사 어간)+니’로 오분석한 결과 새로운 어간 ‘-’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중세국어 시기는 이러한 변화의 과도기였던 것으로 보이므로, ‘’의 구조는 다음 셋 중의 하나로 기술할 수 있다. ①(부사)+-+나 ②-+나 ③-+나. 현대국어에서 ‘같네요’보다는 ‘같으네요’가 더 지배적으로 쓰이는데, 그것은 ‘다’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현대국어에 ‘같다’와 ‘같으다’가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대국어의 ‘(남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꼭) 맞다’를 뜻하는 ‘맛다’도 『석보상절』(23:51ㄴ)에 보인다. ‘-’의 어원을 고려하면, ‘맛-’의 ‘맛’ 역시 부사 ‘맞[適]’일 가능성이 있다. ‘맛-’는 ‘滿’의 번역이다.
·사· 두루·혀 주002)
두루혀:
도리어. 돌이켜. 유일한 예이다. 다른 문헌에서는 ‘두르혀’로 나타난다. 두르-+혀(강세 접미사+어(연결어미). ‘-혀-’는 [引]의 뜻을 가진 어간이 접사화한 것으로 보인다. ‘두르-’는 기원적으로는 ‘둘-[圓]+으(사동접미사)’로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 『원각경언해』(1465)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에 따라 ‘두르ᅘᅧ’가 ‘두르혀’로 적혔다.
宗密·밀禪션師·의 如여實·실 주003)
여실(如實):
진실(眞實), 진여(眞如) 등과 같음.
 言언敎·교·브·터 專젼一·일 주004)
전일(專一):
한결같음.
·히 ·펴·보·와 주005)
ᄉᆞᆲ펴보와:
살펴보아. ‘펴’는 ‘ᄉᆞᆯ펴’의 중철이다. ‘보+아’는 일반적으로는 ‘보아’로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반자음 [w]가 개입한 ‘보와’로 나타났다. 이 책에는 ‘보와’(23ㄱ, 60ㄱ, 62ㄱ, 78ㄴ, 111ㄱ)도, ‘보아’(3ㄴ, 7ㄱ, 41ㄱ, 43ㄴ, 69ㄱ)도 많이 보인다.
·히 ·홈과 믜옴:과 주006)
믜옴과:
미워함과. 이 낱말의 문법적 성격에 대하여는 ‘ᄉᆞ라ᇰ홈과 믜옴괏 ᄃᆞᆯ햇’(20ㄱ)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서글·품 주007)
서글품:
화남. 서긇-[嗔](동사어간)+브(형용사파생접미사)+옴/움(명사형어미). ‘서글프다’가 오늘날과 같은 의미로 변한 예는 『경민편언해』의 ‘서그프다’에서 보인다. ¶이 서그프면 天年을 감손기 쉬오니=中懷戚戚則易損天年〈경민편언해 중간 34ㄱ〉. 경남 방언에서는 ‘서그프다’가 ‘일이 제대로 이루어질 것 같지 않은 느낌이 들 정도로, 하는 행동이 서툴다(어설프다)’란 뜻을 나타낸다.
·과 깃·붐 주008)
깃붐:
기쁨. 기ᇧ-[喜](동사어간)+브(형용사파생접미사)+움(명사형어미).
·과 ·내 ·어·디로·라 주009)
어디로라:
현명하다. 잘났노라. 어딜-[賢]+오(화자 초점 표지)+라(평서문 종결어미). 원문 ‘人我勝負之心’을 ‘내 어디로라 ᄒᆞᄂᆞᆫ ᄆᆞᅀᆞᆷ’으로 언해하였다. 크게 잘못된 번역이다. 원문은 ‘나와 남을 구별하는 마음(人我), 이기고 지는 것에 대한 집착(勝負之心)’ 정도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 · 降伏·복게 주010)
항복(降伏)게:
항복하게. 降伏+ᄒᆞ+게. ‘ᄒᆞ’가 탈락한 것이다. ‘항복(降伏)’은 ‘(나쁜 마음이) 가라앉거나 사라짐’을 뜻하기도 한다. 이때에는 사동형 ‘降伏ᄒᆡ-’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凡夫의 惑 降伏와 世間 건내 道ㅣ니〈능엄경언해 9:1ㄴ-2ㄱ〉.
홈·만 ··디 주011)
디:
같지. ᄀᆞᇀ-[同]+디(보조적 연결어미).
·몯·니·라 오·직 佛·불法·법·의 如여實·실 知디見·견에 ·모·미 소·사날 ·길·히 주012)
길히:
길이. 길ㅎ[路](ㅎ말음체언)+이(주격조사).
이시·면 玄현中玄현 주013)
현중현(玄中玄):
임제종(臨濟宗)을 일으킨 임제의현(臨濟義玄)이 수행자를 지도하는 방편으로 설한 교설이 체중현(體中玄)·구중현(句中玄)·현중현(玄中玄)인데, 이를 아울러서 삼현(三玄)이라 한다. 체중현은 실제 현실 속에 나타나는 진실, 구중현은 말이나 인식에 나타나는 진실, 현중현은 그 자체로서의 진실이다.
·과 ·

별행록절요언해:111ㄴ

·각別·별히
주014)
각별(各別)히:
따로. 별도로.
·두·신 一·일句:구ㅣ 自·然·연·히 그 中·에 이시·리라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이 같은 사람은 도리어 종밀선사(宗密禪師)의 여실(如實)한 언교(言敎)에 의지하여 한결같이 살펴보아 능히 사랑함과 미워함과 화남과 기쁨과 내가 잘났노라 하는 마음을 항복하게 함
(=가라앉힘)
만 같지 못하니라. 오직 불법(佛法)의 여실(如實)한 지견(知見)에 몸이 솟아날 길이 있으면, 현중현(玄中玄)과 또 별도로 두신 한 구절의 글귀가 자연히 그 속에 있으리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같은. ‘’의 중철이다. 본래의 구조는 ‘(부사)+-+ㄴ’이지만, ‘’을 ‘-(형용사 어간)+’으로 오분석한 결과 어간 ‘-’이 형성되었으며, ‘니’와 같은 어형을 ‘-(형용사 어간)+니’로 오분석한 결과 새로운 어간 ‘-’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중세국어 시기는 이러한 변화의 과도기였던 것으로 보이므로, ‘’의 구조는 다음 셋 중의 하나로 기술할 수 있다. ①(부사)+-+나 ②-+나 ③-+나. 현대국어에서 ‘같네요’보다는 ‘같으네요’가 더 지배적으로 쓰이는데, 그것은 ‘다’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현대국어에 ‘같다’와 ‘같으다’가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대국어의 ‘(남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꼭) 맞다’를 뜻하는 ‘맛다’도 『석보상절』(23:51ㄴ)에 보인다. ‘-’의 어원을 고려하면, ‘맛-’의 ‘맛’ 역시 부사 ‘맞[適]’일 가능성이 있다. ‘맛-’는 ‘滿’의 번역이다.
주002)
두루혀:도리어. 돌이켜. 유일한 예이다. 다른 문헌에서는 ‘두르혀’로 나타난다. 두르-+혀(강세 접미사+어(연결어미). ‘-혀-’는 [引]의 뜻을 가진 어간이 접사화한 것으로 보인다. ‘두르-’는 기원적으로는 ‘둘-[圓]+으(사동접미사)’로 구성된 것으로 보인다. 『원각경언해』(1465)부터 각자병서가 폐지됨에 따라 ‘두르ᅘᅧ’가 ‘두르혀’로 적혔다.
주003)
여실(如實):진실(眞實), 진여(眞如) 등과 같음.
주004)
전일(專一):한결같음.
주005)
ᄉᆞᆲ펴보와:살펴보아. ‘펴’는 ‘ᄉᆞᆯ펴’의 중철이다. ‘보+아’는 일반적으로는 ‘보아’로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반자음 [w]가 개입한 ‘보와’로 나타났다. 이 책에는 ‘보와’(23ㄱ, 60ㄱ, 62ㄱ, 78ㄴ, 111ㄱ)도, ‘보아’(3ㄴ, 7ㄱ, 41ㄱ, 43ㄴ, 69ㄱ)도 많이 보인다.
주006)
믜옴과:미워함과. 이 낱말의 문법적 성격에 대하여는 ‘ᄉᆞ라ᇰ홈과 믜옴괏 ᄃᆞᆯ햇’(20ㄱ)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주007)
서글품:화남. 서긇-[嗔](동사어간)+브(형용사파생접미사)+옴/움(명사형어미). ‘서글프다’가 오늘날과 같은 의미로 변한 예는 『경민편언해』의 ‘서그프다’에서 보인다. ¶이 서그프면 天年을 감손기 쉬오니=中懷戚戚則易損天年〈경민편언해 중간 34ㄱ〉. 경남 방언에서는 ‘서그프다’가 ‘일이 제대로 이루어질 것 같지 않은 느낌이 들 정도로, 하는 행동이 서툴다(어설프다)’란 뜻을 나타낸다.
주008)
깃붐:기쁨. 기ᇧ-[喜](동사어간)+브(형용사파생접미사)+움(명사형어미).
주009)
어디로라:현명하다. 잘났노라. 어딜-[賢]+오(화자 초점 표지)+라(평서문 종결어미). 원문 ‘人我勝負之心’을 ‘내 어디로라 ᄒᆞᄂᆞᆫ ᄆᆞᅀᆞᆷ’으로 언해하였다. 크게 잘못된 번역이다. 원문은 ‘나와 남을 구별하는 마음(人我), 이기고 지는 것에 대한 집착(勝負之心)’ 정도의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주010)
항복(降伏)게:항복하게. 降伏+ᄒᆞ+게. ‘ᄒᆞ’가 탈락한 것이다. ‘항복(降伏)’은 ‘(나쁜 마음이) 가라앉거나 사라짐’을 뜻하기도 한다. 이때에는 사동형 ‘降伏ᄒᆡ-’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이 凡夫의 惑 降伏와 世間 건내 道ㅣ니〈능엄경언해 9:1ㄴ-2ㄱ〉.
주011)
디:같지. ᄀᆞᇀ-[同]+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2)
길히:길이. 길ㅎ[路](ㅎ말음체언)+이(주격조사).
주013)
현중현(玄中玄):임제종(臨濟宗)을 일으킨 임제의현(臨濟義玄)이 수행자를 지도하는 방편으로 설한 교설이 체중현(體中玄)·구중현(句中玄)·현중현(玄中玄)인데, 이를 아울러서 삼현(三玄)이라 한다. 체중현은 실제 현실 속에 나타나는 진실, 구중현은 말이나 인식에 나타나는 진실, 현중현은 그 자체로서의 진실이다.
주014)
각별(各別)히:따로. 별도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