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60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600


【節要】

별행록절요언해:47ㄴ

何如直云호 唯瑩淨圓明이 方是珠體이리오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엇뎨바 주001)
바:
바로[直]. 바-[直](형용사 어간)+Ø(부사파생접미사). 형용사 어간이 접사와 결합하지 않고 바로 부사로 파생된 것이다.
닐·오· 오·직 ·고 두·려이 주002)
두려이:
둥글게. 두렵-[圓]+이(부사형어미)→두려〉두려이. ‘무섭다’를 뜻하는 형용사는 ‘두리-(동사어간)+ㅂ(형용사파생접미사)’으로 이루어진 ‘두립다’였다.
· 거·시 주003)
거시:
것이라야. 것+이(주격조사)+(보조사). ‘’는 ‘강조, 단독, 의무, 당연’ 등을 나타내는데, 체언, 조사, 어미 뒤에 쓰일 수 있다. 그러나 ‘거’에서처럼 어말 어미로 쓰이기도 한다.
비·르 주004)
비르:
비로소. 다른 문헌에서는 ‘비르서’로 나타난다. ‘비르’는 다른 문헌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고, 이 책에서만 나타난다(40ㄴ, 45ㄴ, 47ㄴ, 54ㄱ, 59ㄱ, 65ㄱ, 81ㄴ). 이 책에는 ‘비르서’도 보인다(19ㄴ, 27ㄴ, 40ㄴ).
·이 구·스릐 體:톄·라 :홈만 주005)
홈만:
함과. -+옴(명사형어미)+만(보조사). 조사 ‘만’과 ‘-(-)’의 연결은 중세국어 문헌에서 많이 나타난다.
··리오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어찌 바로 이르되 오직 맑고 둥글고 밝은 것이라야 비로소 바로 구슬의 체(體)라 이른 것과 같으리오?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바:바로[直]. 바-[直](형용사 어간)+Ø(부사파생접미사). 형용사 어간이 접사와 결합하지 않고 바로 부사로 파생된 것이다.
주002)
두려이:둥글게. 두렵-[圓]+이(부사형어미)→두려〉두려이. ‘무섭다’를 뜻하는 형용사는 ‘두리-(동사어간)+ㅂ(형용사파생접미사)’으로 이루어진 ‘두립다’였다.
주003)
거시:것이라야. 것+이(주격조사)+(보조사). ‘’는 ‘강조, 단독, 의무, 당연’ 등을 나타내는데, 체언, 조사, 어미 뒤에 쓰일 수 있다. 그러나 ‘거’에서처럼 어말 어미로 쓰이기도 한다.
주004)
비르:비로소. 다른 문헌에서는 ‘비르서’로 나타난다. ‘비르’는 다른 문헌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고, 이 책에서만 나타난다(40ㄴ, 45ㄴ, 47ㄴ, 54ㄱ, 59ㄱ, 65ㄱ, 81ㄴ). 이 책에는 ‘비르서’도 보인다(19ㄴ, 27ㄴ, 40ㄴ).
주005)
홈만:함과. -+옴(명사형어미)+만(보조사). 조사 ‘만’과 ‘-(-)’의 연결은 중세국어 문헌에서 많이 나타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