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62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620


【節要】
其黑色과 乃至一切靑黃色等이 悉是虛妄이니 正見黑時예 黑元이 不黑이라 但是其明이며 靑元이 不靑이라 但是其明이며 乃至赤白黃等이 一切皆然

별행록절요언해:48ㄴ

라 但是其明이니 即於諸色相處에 一一但見瑩淨圓明면 即於珠에 不惑리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그 거·믄 :빗·과 一·일切·쳬 프·르며 루·른 주001)
루른:
노란. 누르-[黃]+ㄴ. 이 책에서는 단어 제1음절의 ‘ㄴ’이 ‘ㄹ’로 나타나는 예가 많다. 닐어니와→릴어니와(7ㄴ), 닐오→릴오(52ㄱ), 놉고→롭고(51ㄴ).
·빗히 주002)
빗히:
빛들이. 빛+ㅎ[等](복수접미사)+이. ‘빛→빗’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ㅎ’이 ‘빛’의 영향으로 ‘ㅎ’로 적힌 것은 드문 현상이다.
·다 ·이 거:즛 거·시·니 正·히 거·믄 :것 볼 시져·레 거·믄 거·싀 근원·이 거·무미 아·니라 오·직 ·이 곧 · 구:스리며 프·른 근원·이 프론 ·디 주003)
프론 디:
푸른 것이. 프르-[靑]+오/우+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
아·니라 오·직 ·이 그 · 마니·며 블·그·며 :며 주004)
며:
희며. -[白]+며.
루·른 것 ·히 一·일切·체ㅅ 거·시 ·다 그러·혼 ·디라 오·직 ·이 그 · 磨마尼니珠쥬ㅣ·니 ·곧 여러 가:짓 色·相·處:쳐 주005)
색상처(色相處):
색상이 나타나는 곳. ‘색상’은 밖으로 드러나서 볼 수 있는 색신(色身)의 모습이다.
·에 낫·나·치 주006)
낫나치:
낱낱이. 13ㄴ에서는 ‘난낫치’로 적혔다.
오·직 조

별행록절요언해:49ㄱ

·코 : 마니쥬· 보·면 ·곧 여:러 가·짓 구:스레 어·리디 주007)
어리디:
현혹되지. 어리-[惑]+디. 일반적으로 ‘어리-’는 [愚]를 뜻하는 형용사로 널리 쓰이지만, 여기에서는 동사로 쓰였다.
아·니·리라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그 검은 빛깔과 일체 푸르며 노란 빛깔 등이 다 이것은 거짓것
(=헛것)
이니, 바로 검은 것을 볼 때에, 검은 것의 근원이 검음이 아니라 오직 이것은 곧 밝은 구슬이며, 푸른 근원이 푸른 것이 아니라 오직 이것은 그 밝은 마니주이며, 붉으며 희며 노란 것 등이 일체의 것이 다 그러한 것이다. 오직 이것이 그 밝은 마니주이니, 곧 여러 가지의 색상처(色相處)에서 낱낱이 오직 깨끗하고 밝은 마니주를 보면 곧 여러 가지의 구슬에 현혹되지 않으리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루른:노란. 누르-[黃]+ㄴ. 이 책에서는 단어 제1음절의 ‘ㄴ’이 ‘ㄹ’로 나타나는 예가 많다. 닐어니와→릴어니와(7ㄴ), 닐오→릴오(52ㄱ), 놉고→롭고(51ㄴ).
주002)
빗히:빛들이. 빛+ㅎ[等](복수접미사)+이. ‘빛→빗’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ㅎ’이 ‘빛’의 영향으로 ‘ㅎ’로 적힌 것은 드문 현상이다.
주003)
프론 디:푸른 것이. 프르-[靑]+오/우+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
주004)
며:희며. -[白]+며.
주005)
색상처(色相處):색상이 나타나는 곳. ‘색상’은 밖으로 드러나서 볼 수 있는 색신(色身)의 모습이다.
주006)
낫나치:낱낱이. 13ㄴ에서는 ‘난낫치’로 적혔다.
주007)
어리디:현혹되지. 어리-[惑]+디. 일반적으로 ‘어리-’는 [愚]를 뜻하는 형용사로 널리 쓰이지만, 여기에서는 동사로 쓰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