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7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7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7]
아뫼나 바다 디니며 닐그며 외와 正히 憶念야 들 아라 닐온 다히 주001)
닐온 다히:
말한 것처럼. 니르-/닐-[云]+오/우(대상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어미)#-[如]+이(부사화접미사). 〈월석〉은 ‘말다’로, 〈법화〉는 ‘말다이’로 언해하였음. ¶네흔 닐온 다히 修行호미니〈영가 상25ㄱ〉. 참조. 네 願다 라〈월석 25:76ㄴ〉. 祭祀를 家禮다이 며〈속삼 효:26ㄱ〉.
修行면 이 사미 普賢 뎌글 行야 그지 업스며  업슨

석보상절 21:57ㄴ

諸佛 됴 根源을 기피 심거 諸 如來 소로 머리 니 주002)
니:
만지실. 니-[摩]+(/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ㄹㆆ(관형사형어미). ¶如來 손 내샤 菩薩 니시고 八方如來 가쇼셔 시니〈월석 18:14ㄴ〉.
고 아 디니다 주003)
이 사미 보현(普賢) 뎌글 행(行)야 ~아 디니다:
이 사람이 보현 행적을 행하여 끝없으며 가 없는 제불께 좋은 근원을 깊이 심어 제여래의 손으로 머리를 만지실 곳을 알 것입니다. 해당 원문은 ‘當知是人은 行普賢行야 於無量無邊諸佛所애 深種善根야 爲諸如來ㅣ 手摩其頭ㅣ니다’임. 〈월석〉의 ‘이 사미 普賢行 行야 無量無邊 諸佛ㅅ 거긔 善根 기피 심거 諸如來 소로 머리 지샤미   아 디니’이고, 〈법화〉의 언해는 ‘이 사 普賢行 行야 無量 無邊 諸佛 善根을 기피 심거 諸如來ㅣ 소로 머리 지샤미 왼  반기 아롤 띠니다’임. 한문 원문은 ‘爲’ 피동문인데 〈석상〉은 능동으로 해석하였고, 〈월석〉과 〈법화〉는 피동으로 해석하였음.
【經 디뇨매 주004)
디뇨매:
지니므로. 디니-[持]+(오/우)ㅁ(명사형 어미)+에/애(처소의 부사격조사). ¶經 디뇨 盟誓코져 호〈법화 4:186ㄴ〉.
조 □ 뎌근 正히 憶念□매 잇니 憶念이 正티 몯면 雜想과 邪曲 시 주005)
시:
버릇이. [習]+이(주격조사). ¶習은 시라〈법화 1:26ㄱ〉.
어즈러리니 주006)
어즈러리니:
어지러울 것이니. 어즈럽-[難]+(/으)리(추측의 선어말어미)+(/으)니(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세 저품 업스신 行이니 어즈러며 어려믈 리디 아니실씨라〈월석 18:17ㄱ〉.
기픈 뎍 일우려 호미 어려니라】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111ㄱ

다가 受持 讀誦야 正히 憶念야 義趣를 아라 말다 修行면 반

월인석보 19:111ㄴ

기 이 사미 普賢行 行야 無量 無邊 諸佛ㅅ 거긔 善根 기피 심거 諸如來 소로 머리 지샤미   아 디니【經 디 조 行이 正히 憶念호매 잇니 憶이 正티 몯면 雜想이 變亂고 念이 正티 몯면 邪習이 汨擾야

월인석보 19:112ㄱ

≪汨 믈 소사나논 라≫ 기픈 行 일우려 호미 어려니라 그럴 普賢이 이 各別히 正憶念行 기시고 아래 두 번 니시니 憶念이 正면 行호미 普賢妙行 아니니 업슬 如來 머리 져 印證샤미 외리라】

〔7:174ㄴ〕七勸正憶念
〔법화경〕 若有受持讀誦야 正憶念야 解其義趣야 如說修行면 當知是人은 行普賢行야 於無量無邊諸佛所애 深種善根야 爲諸如來ㅣ 手摩其頭ㅣ니다

〔법화경언해〕○다가 受持 讀誦야 正히 憶念야 〔7:175ㄱ〕그 義趣 아라 말다이 脩行면 이 사 普賢行 行야 無量 無邊 諸佛 善根을 기피 심거 諸如來ㅣ 소로 머리 지샤미 왼  반기 아롤 띠니다

〔계환해〕持經要行은 在正憶念니 蓋憶이 不正면 則雜想이 變亂고 念이 不正면 則邪習이 汩擾야 欲成深行이 難矣ㄹ 故로 普賢이 於此애 特明正憶念行시고 而下文에 再三言之시니 憶念이 既正면 則所行이 無非普賢妙行故로 爲如來ㅅ 摩頂印證이니〔7:175ㄴ〕라

〔계환해언해〕○經 디니논 조왼 行 正憶念에 잇니 다가 憶이 正티 몯면 雜想이 變야 어즈리고 念이 正티 몯면 邪 시 흐리워 어즈려 기픈 行 일우려 호미 어려울 普賢이 이 正憶念 行 特別히 기시고 아랫 文에 두 번 니시니 憶念이 마 正면 行호미 普賢 妙行 아니니 업스릴 如來ㅅ 머리 지샤 印證샤미 외요미라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7]
“아무나 받아 지니며 읽으며 외워 바로 억념하여 뜻을 알아 설법한 대로 수행하면 이 사람이 보현 행적을 행하여 끝없으며 가이 없는 제불께 좋은 근원을 깊이 심어 여러 여래의 손으로 머리를 만지실 것을 알 것입니다.【경을 지님에 중요한 행적은 바로 억념함에 있으니 억념(憶念)이 정(正)하지 못하면 잡상(雜想)과 사곡(邪曲)한 버릇이 어지러울 것이니 깊은 행적을 일우려 함이 어려운 것이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닐온 다히:말한 것처럼. 니르-/닐-[云]+오/우(대상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어미)#-[如]+이(부사화접미사). 〈월석〉은 ‘말다’로, 〈법화〉는 ‘말다이’로 언해하였음. ¶네흔 닐온 다히 修行호미니〈영가 상25ㄱ〉. 참조. 네 願다 라〈월석 25:76ㄴ〉. 祭祀를 家禮다이 며〈속삼 효:26ㄱ〉.
주002)
니:만지실. 니-[摩]+(/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ㄹㆆ(관형사형어미). ¶如來 손 내샤 菩薩 니시고 八方如來 가쇼셔 시니〈월석 18:14ㄴ〉.
주003)
이 사미 보현(普賢) 뎌글 행(行)야 ~아 디니다:이 사람이 보현 행적을 행하여 끝없으며 가 없는 제불께 좋은 근원을 깊이 심어 제여래의 손으로 머리를 만지실 곳을 알 것입니다. 해당 원문은 ‘當知是人은 行普賢行야 於無量無邊諸佛所애 深種善根야 爲諸如來ㅣ 手摩其頭ㅣ니다’임. 〈월석〉의 ‘이 사미 普賢行 行야 無量無邊 諸佛ㅅ 거긔 善根 기피 심거 諸如來 소로 머리 지샤미   아 디니’이고, 〈법화〉의 언해는 ‘이 사 普賢行 行야 無量 無邊 諸佛 善根을 기피 심거 諸如來ㅣ 소로 머리 지샤미 왼  반기 아롤 띠니다’임. 한문 원문은 ‘爲’ 피동문인데 〈석상〉은 능동으로 해석하였고, 〈월석〉과 〈법화〉는 피동으로 해석하였음.
주004)
디뇨매:지니므로. 디니-[持]+(오/우)ㅁ(명사형 어미)+에/애(처소의 부사격조사). ¶經 디뇨 盟誓코져 호〈법화 4:186ㄴ〉.
주005)
시:버릇이. [習]+이(주격조사). ¶習은 시라〈법화 1:26ㄱ〉.
주006)
어즈러리니:어지러울 것이니. 어즈럽-[難]+(/으)리(추측의 선어말어미)+(/으)니(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세 저품 업스신 行이니 어즈러며 어려믈 리디 아니실씨라〈월석 18:17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