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6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6]
어마니미 아려 닐오 네 주001) 네: 네. 너의. 네(평성). ‘너+이/ㅣ(관형격조사)→ 네’는(평성)’이며 ‘너〔汝〕+이/ㅣ/Ø(주격조사) → :네’는 상성으로 구별되었음.
아바니미 外道 주002) 외도(外道): tīrthaka 원래는 불교 이외의 교학이나 종파를 가리키는 말이나 여기서는 그 교학이나 종파를 믿는 사람을 가리킴. 석가모니 당시에 인도에서는 6사(師) 외도 또는 95종의 외도 등이 불전에 거론됨.
信야 婆羅門 주003) 바라문(婆羅門): brāhmaṇa 인도의 4성(姓) 중 하나로서 최상 계급. 바라문교의 사제(司祭).
ㅅ 法에 기피 주004) 기피: 깊이. 기피(부사). 깊-〔深〕+이(부사파생접미사). ‘-이’는 형용사를 부사로 파생하는 접미사로 ‘-이’에 의해 파생된 단어로는 ‘너비(넓-), 기피(깊-), 키(크-)’ 등이 있음. ¶禪定을 기피 다 五神通 得리도 보며〈석상 13:20ㄴ〉. 참조. 測量 믌 기픠 될 씨라〈월석 20:100ㄴ〉.
탹야 주005) 탹야: 침착(沈著)하여. 탹-〔潛著〕+여/야(연결어미). ¶衆生이 諸根이 鈍야 미혹호매 탹야 잇니 이런 사 어드리 濟渡려뇨〈석상 13:56ㄴ〉.
겨시니 너희히 아바긔 가 뫼셔 가 주006) 가: 가야. 가-〔行〕+아(연결어미)+(강세 보조사). 연결어미 ‘-아’는 ‘가-’의 어간이 ‘아’로 끝나므로 생략된 것임. ¶羅睺羅ㅣ 得道야 도라가 어미 濟渡야 涅槃 得호 나 게 리라〈석상 6:1ㄴ〉.
리라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6]
어머님이 아들에게 말하되, “네 아버님이 외도(外道)를 믿어 바라문의 법에 깊이 빠져 계시니 너희들이 아버님께 가 사뢰어 뫼시고 함께 가야 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