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①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5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5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5]
다가  사미 주규려 주001)
주규려:
죽이려. 죽-+이(사동접미사)+우(사동접미사)[殺]+(/으)리(의도의 선어말어미)+어/아(연결어미). ¶그 모딘 노미 比丘를 주규리라 야〈석상 24:15ㄴ〉.
 時節을 當야도
주002)
주규려  시절(時節)을 당(當)야도:
죽이려 할 때를 당하여도. 〈월석〉의 언해는 ‘被害 當야셔’이고, 〈법화〉의 언해는 ‘害 니부 當야셔’임. 〈석상〉의 언해는 〈월석〉이나 〈법화〉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의역되어 있음.
觀世音菩薩ㅅ 일후믈 일면 뎌의 주003)
뎌의:
그가. 그의. 뎌[彼]+-의(관형격조사). 15세기 지시어 체계는 현대국어와 같이 ‘이, 그, 뎌’의 3분법 체계임. ¶集은 이 뎌의 因이니 닐오 煩惱業이니〈반언 51ㄱ〉.
자본 주004)
자본:
잡은. 잡-[執]+오/우(대상의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어미). ¶因果ㅣ 서르 섯그며 體用이 서르 자본 젼로 두 거우루에 가벼 니시니라〈능엄 8:19ㄴ〉.
갈콰 주005)
갈콰:
칼과. 갈ㅎ+과. ‘갈ㅎ’은 ㅎ종성 체언임. ¶믈와 블와 갈콰 毒과 어려 石壁과 모딘 象과 獅子와 범과 일히와 곰과 모딘 얌과 지네와 이트렛 므여 이리 이셔도〈월석 9:43ㄴ〉.
막다히왜 주006)
막다히왜:
막대가. 막다히+와(공동격조사)+이(주격조사). ¶杵는 핫괴니 굴근 막다히  거시라>〈석상 6:31ㄴ〉.
도 주007)
도:
동강 동강. 이는 고어사전에 실리지 않은 어휘로 고어사전에 새로이 등재해야 할 것임. 앞의 해제 ‘1. 어휘 ①도’ 참조.
버허디여 주008)
버허디어:
베어져. 벟-[斷]+어/아(보조적 연결어미)#디-+어/아(연결어미). ¶맷 구루믄  기비 부치 고 石壁은 空靑이 버허뎟 도다〈두시 14:24ㄴ〉.
버서나리어며 주009)
버서나리어며:
벗어날 것이며. 벗-[脫]+어/아(보조적 연결어미)#나-[出]+(/으)리(추측의 선어말어미))+어(확인의 선어말어미)+(/으)며(설명의 연결어미). ¶一切 受苦 다 버서나긔 호리라〈월석 9:25ㄱ〉.
주010)
뎌의 자본 갈콰 막다히왜 도 버허디여 버서나리어며:
그가 잡은 칼과 막대기가 동강 동강 부러져 벗어날 것이며. ‘뎌의 자본 갈콰 막다히왜’는 ‘〔〔〔뎌의 잡〕오-ㄴ〕 〔갈콰 막다히와〕이〕’로 분석되며 이때 ‘뎌의’의 ‘의’는 내포문의 주어 표지에 쓰인 관형격조사임.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23ㄴ

다가  사미 被害

월인석보 19:24ㄱ

 當야셔 觀世音菩薩ㅅ 일후믈 일면 뎌 자본 갈콰 막다히 미조차 귿그티 야디여 버서나 得리라【이 菩薩이 六根이 消復야 聲聽과 신 히믈 더으시니 聲聽과 야 외야 얼굴 마고미 업슬 갈잠개 믈 버히며 光眀 부 야 性이 損動이 업스리라 損은 덜 씨라】

〔7:52ㄴ〕二脫刑戮
〔법화경〕 若復有人이 臨當被害야셔 稱觀世音菩薩名者ㅣ면 彼所執刀杖이 尋段段壞야 而得觧脫며

〔법화경언해〕○〔7:53ㄴ〕다가  사미 害 니부 當야셔 觀世音菩薩ㅅ 일훔 일면 뎌 자본 갈 막대 미조차 귿그티 야디여 解脫을 得며

〔계환해〕〔7:53ㄴ〕此 由菩薩이 以六根이 消復샤 同於聲聽之力으로 加之시니 以同聲聽샤 無復形礙실 故로 使刀兵으로 猶割水吹光야 性無損動이시니라

〔계환해언해〕○〔7:54ㄱ〕이 菩薩이 六根이 스러 도라가샤 소리 드로매 신 힘으로 더으신 다시니 소리 드로매 샤 외야 얼굴 마고미 업스실 갈잠개로 믈 버히며 光明 부 야 性이 덜며 뮈유미 업스시니라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5]
만약 또 〈어떤〉 사람이 〈자기를〉 죽이려 할 때를 당하여도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일컬으면 그가 잡은 칼과 막대기가 동강 동강 부러져 〈어려운 상황을〉 벗어날 것이며,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주규려:죽이려. 죽-+이(사동접미사)+우(사동접미사)[殺]+(/으)리(의도의 선어말어미)+어/아(연결어미). ¶그 모딘 노미 比丘를 주규리라 야〈석상 24:15ㄴ〉.
주002)
주규려  시절(時節)을 당(當)야도:죽이려 할 때를 당하여도. 〈월석〉의 언해는 ‘被害 當야셔’이고, 〈법화〉의 언해는 ‘害 니부 當야셔’임. 〈석상〉의 언해는 〈월석〉이나 〈법화〉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의역되어 있음.
주003)
뎌의:그가. 그의. 뎌[彼]+-의(관형격조사). 15세기 지시어 체계는 현대국어와 같이 ‘이, 그, 뎌’의 3분법 체계임. ¶集은 이 뎌의 因이니 닐오 煩惱業이니〈반언 51ㄱ〉.
주004)
자본:잡은. 잡-[執]+오/우(대상의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어미). ¶因果ㅣ 서르 섯그며 體用이 서르 자본 젼로 두 거우루에 가벼 니시니라〈능엄 8:19ㄴ〉.
주005)
갈콰:칼과. 갈ㅎ+과. ‘갈ㅎ’은 ㅎ종성 체언임. ¶믈와 블와 갈콰 毒과 어려 石壁과 모딘 象과 獅子와 범과 일히와 곰과 모딘 얌과 지네와 이트렛 므여 이리 이셔도〈월석 9:43ㄴ〉.
주006)
막다히왜:막대가. 막다히+와(공동격조사)+이(주격조사). ¶杵는 핫괴니 굴근 막다히  거시라〈석상 6:31ㄴ〉.
주007)
도:동강 동강. 이는 고어사전에 실리지 않은 어휘로 고어사전에 새로이 등재해야 할 것임. 앞의 해제 ‘1. 어휘 ①도’ 참조.
주008)
버허디어:베어져. 벟-[斷]+어/아(보조적 연결어미)#디-+어/아(연결어미). ¶맷 구루믄  기비 부치 고 石壁은 空靑이 버허뎟 도다〈두시 14:24ㄴ〉.
주009)
버서나리어며:벗어날 것이며. 벗-[脫]+어/아(보조적 연결어미)#나-[出]+(/으)리(추측의 선어말어미))+어(확인의 선어말어미)+(/으)며(설명의 연결어미). ¶一切 受苦 다 버서나긔 호리라〈월석 9:25ㄱ〉.
주010)
뎌의 자본 갈콰 막다히왜 도 버허디여 버서나리어며:그가 잡은 칼과 막대기가 동강 동강 부러져 벗어날 것이며. ‘뎌의 자본 갈콰 막다히왜’는 ‘〔〔〔뎌의 잡〕오-ㄴ〕 〔갈콰 막다히와〕이〕’로 분석되며 이때 ‘뎌의’의 ‘의’는 내포문의 주어 표지에 쓰인 관형격조사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