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7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7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7]
두 아리 이러히 주001)
이러히:
이와 같이. 이렇게. 이렇-+이(부사화접미사). 해당 원문은 ‘如是히’임. 〈월석〉과 〈법화〉는 모두 ‘이티’로 언해되었음. ¶ 일후미 日月燈明이러시니 이러히 二萬 부톄 다  가짓 字號로 日月燈明이시며〈석상 13:29ㄱ〉.
方便力으로 아바니믈 이대 주002)
이대:
잘. 좋게. 평안히. 이대[善](평-거, 부사). ¶네 이대 드르라 너 위야 닐오리라〈석상 13:47ㄱ〉.
化야 

석보상절 21:41ㄴ

미 信解야 佛法을 즐기게 야 그저긔 妙莊嚴王이 群臣 眷屬 리며 淨德夫人이 後宮엣 采女 주003)
채녀(采女):
곱게 꾸민 젊은 여자. 채녀(綵女). 궁녀(宮女).
眷屬 리며 주004)
리며:
데리고가며. 리-[俱]+(/으)며(연결어미). ¶부톄 比丘 리시고 드러 안신대〈석상 6:41ㄴ〉.
그 王ㅅ 두 아리 四萬二千 사려  부텨 모다 주005)
모다:
모두. 모다(부사). 원래는 ‘몯-[集]+아/어(연결어미)’임. ¶그제 六十六億 諸天이 모다 議論호〈월석 2:10ㄴ〉.
가 머리 조 주006)
조:
조아려. 좃-[稽](상성, ㅅ불규칙 동사)+//(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그저긔 四方애셔 各各 二百 쉰 應真이 神足으로 라와 부텻긔 머리 조〈월석 23:60〉.
禮數고 주007)
예수(禮數)고:
예배하고. 인사하고. 禮數-+//(객체높임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부텻긔 세 주008)
세 :
세 번. ‘’은 1) 번. 차례. 2) 겹[重]. 3) 곱[倍]. 4) 벌. 건(件) 등 네 가지 뜻이 있어서, 사전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표제어로 수록하기도 했으나, 여기서는 하나로 묶은 한글학회의 『우리말큰사전』 ‘옛말과 이두’를 따랐음을 밝혀 둠. ¶올 녀그로 세  도고 녀긔 거늘〈석상 6:21ㄱ〉.
도고 녁 주009)
녁:
한녘. 한쪽. 한편. [一]#녁[方]. 이는 합성 과정에서 같은 ‘ㄴ+(/으)ㄴ’의 겹침으로 ‘’의 ‘ㄴ’ 종성이 줄었음. ¶ 프른 뵈 되오 라 노 아 그것 녁 그틀 블 브텨 대에 녀허〈구급방 하:63ㄱ〉.
面에

석보상절 21:42ㄱ

믈러 주010)
믈러:
믈러가. 므르-[退]+아/어(연결어미). ¶空位예 드러 므르디 아니홈과 假行애 드러 므르디 아니홈과 中念에 드러 므르디 아니홈괘라〈월석 7:69ㄴ-70ㄱ〉.
잇더니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82ㄴ

두 아리 이티 方便力으로 이대 아비 化야 매 信解야

월인석보 19:83ㄱ

佛法을 즐기게 야 그제 妙莊嚴王이 羣臣 眷屬 리며 淨德夫人이 後宮 采女 眷屬 리며 王ㅅ 두 아리 四萬二千人 려  부텨 가 머리 조 禮數고 부텨 세  돌오  面에

월인석보 19:83ㄴ

믈러 住니라

〔7:140ㄱ〕十六合宮從化
〔법화경〕 二子ㅣ 如是히 以方便力으로 善化其父야 令心信解야 好樂佛法게야 於是예 妙莊嚴王이 與群臣眷屬과 俱며 淨德夫人은 與後宮婇女眷屬과 俱며 其王二子 與四萬二千人과 俱야 一時예 共詣佛所야 到已야 頭面禮足고 繞佛三匝고 却住一面니라

〔법화경언해〕○〔7:140ㄴ〕두 아리 이티 方便力으로 제 아비 이대 化야 매 信解야 佛法을 즐기게 야 그제 妙莊嚴王이 群臣 眷屬과 俱며 淨德夫人은 後宮 采女 眷屬과 俱며 그 王ㅅ 두 아 四萬二千 人과 〔7:141ㄱ〕俱야 一時예 모다 부텻긔 가 다라 頭面으로 바래 禮數고 부텻긔 세  도고  面에 믈러 住니라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7]
두 아들이 이와 같은 방편력으로 아버님을 잘 교화하여 〈아버님의〉 마음이 신해(信解)하여 불법을 즐기게 하거늘, 그때 묘장엄왕이 군신의 권속을 데리고 정덕부인(淨德夫人)이 후궁에 있는 채녀들의 권속을 데리고, 그 왕의 두 아들이 4만 2천 사람을 데리고 함께 부처님께 모두 가 머리 조아려 인사하고, 부처님을 세 번 감돌고 한 쪽 면에 물러가 있었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러히:이와 같이. 이렇게. 이렇-+이(부사화접미사). 해당 원문은 ‘如是히’임. 〈월석〉과 〈법화〉는 모두 ‘이티’로 언해되었음. ¶ 일후미 日月燈明이러시니 이러히 二萬 부톄 다  가짓 字號로 日月燈明이시며〈석상 13:29ㄱ〉.
주002)
이대:잘. 좋게. 평안히. 이대[善](평-거, 부사). ¶네 이대 드르라 너 위야 닐오리라〈석상 13:47ㄱ〉.
주003)
채녀(采女):곱게 꾸민 젊은 여자. 채녀(綵女). 궁녀(宮女).
주004)
리며:데리고가며. 리-[俱]+(/으)며(연결어미). ¶부톄 比丘 리시고 드러 안신대〈석상 6:41ㄴ〉.
주005)
모다:모두. 모다(부사). 원래는 ‘몯-[集]+아/어(연결어미)’임. ¶그제 六十六億 諸天이 모다 議論호〈월석 2:10ㄴ〉.
주006)
조:조아려. 좃-[稽](상성, ㅅ불규칙 동사)+//(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그저긔 四方애셔 各各 二百 쉰 應真이 神足으로 라와 부텻긔 머리 조〈월석 23:60〉.
주007)
예수(禮數)고:예배하고. 인사하고. 禮數-+//(객체높임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주008)
세 :세 번. ‘’은 1) 번. 차례. 2) 겹[重]. 3) 곱[倍]. 4) 벌. 건(件) 등 네 가지 뜻이 있어서, 사전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표제어로 수록하기도 했으나, 여기서는 하나로 묶은 한글학회의 『우리말큰사전』 ‘옛말과 이두’를 따랐음을 밝혀 둠. ¶올 녀그로 세  도고 녀긔 거늘〈석상 6:21ㄱ〉.
주009)
녁:한녘. 한쪽. 한편. [一]#녁[方]. 이는 합성 과정에서 같은 ‘ㄴ+(/으)ㄴ’의 겹침으로 ‘’의 ‘ㄴ’ 종성이 줄었음. ¶ 프른 뵈 되오 라 노 아 그것 녁 그틀 블 브텨 대에 녀허〈구급방 하:63ㄱ〉.
주010)
믈러:믈러가. 므르-[退]+아/어(연결어미). ¶空位예 드러 므르디 아니홈과 假行애 드러 므르디 아니홈과 中念에 드러 므르디 아니홈괘라〈월석 7:69ㄴ-70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