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6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6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6]
大王아 주001)
대왕(大王)아:
대왕아! 大王+아(평칭 호격조사). 다른 부분에서는 ‘大王하’와 같이 존칭 호격조사를 사용하였음. ¶부톄 니샤 大王아 네 일즉 업디 아니야셔 엇뎨 업수믈 아다〈능엄 2:4ㄴ〉. 大王하 엇더 나 모시니고〈월석 8:92ㄴ〉.

석보상절 21:45ㄴ

라라
주002)
아라라:
알아라. 알-[知]+아/어~야/여+(/으)라(‘라’체의 명령법의 종결어미). ¶阿難아 이 바리옛 몰애 내니 해 라라〈석상 24:9ㄴ〉.
善知識이 이 큰 因緣이라 敎化야 引導야 부텨 보 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주003)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의 마음. 아뇩다라삼먁삼보리(anuttara-samyak-saṃbodhi)는 석가모니가 깨달은 지혜를 가리키는 말로, 더없이 높고 평등한 진리라는 뜻. 동의어로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 무상정등보리(無上正等菩提) 등이 있음.
을 發케 니라 大王아 네 이 두 아 보다 몯 보다 이 두 아리 마 六十五百千萬億 那由他 恒河沙 諸佛을 供

석보상절 21:46ㄱ

養 親近히 恭敬 諸佛 주004)
제불(諸佛):
諸佛께. 제불(諸佛)+(존칭 여격조사). 〈월석〉의 언해는 ‘諸佛ㅅ 거긔’이고, 〈법화〉의 언해는 ‘諸佛’임.
法華經을 受 디녀 邪見옛 衆生 어엿비 주005)
어엿비:
불쌍히. 가엾이. 어엿브-[憐](형용사)+이(부사파생접미사) → 어엿비(상-평-거)(부사). ¶憫然은 어엿비 너기실 씨라〈훈언 2ㄴ〉.
너겨 正見에 住케 니라 주006)
니라:
하느니라. 하는 것이다. -+(현재시상 선어말어미)+(/으)니(원칙법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中國 皇帝 겨신 나라히니 우리 나랏 常談애 江南이라 니라〈훈언 1ㄴ〉.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88ㄱ

大〔王〕〔아〕 〔알〕라 〔善〕〔知〕識은 이 큰 因

월인석보 19:88ㄴ

〔緣〕이니 〔닐〕〔온〕 敎化야 引導야 부텨 보아 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 發케 호미라 大王아 네 이 두 아 보다 몯 보다 이 두 아리 마 六十五 百千萬億 那由他 恒河沙 諸佛

월인석보 19:89ㄱ

을 供養야 親近 恭敬야 諸佛ㅅ 거긔 法華經을 受持야 邪見衆生 어엿비 너겨 正見에 住케 니라【두 아 邪 두르시 먼 因 니시니라 恒沙多佛을 셤겨 邪見衆生 어엿비 너기다 샤 오날 妙嚴ㅅ 邪 두르〔〕 〔〕〔〕 아니라】

〔법화경〕 〔7:146ㄴ〕大王아 汝ㅣ 見此二子아 不아 此二子ㅣ 〔7:147ㄱ〕已曾供養六十五百千萬億那由他恒河沙諸佛와 親近恭敬와 於諸佛所애 受持法華經야 愍念邪見衆生야 令住正見케니라

〔법화경언해〕○大王아 네 이 두 아 보다 몯 보다 이 두 아리 六十五 百千萬億 那由他 恒河沙 諸佛을 마 아 供養와 親近 恭敬와 諸佛 法華經 受持야 邪見 衆生 어엿비 너겨 正見에 住케 니라

〔계환해〕〔7:147ㄴ〕爲陳二子의 轉邪遠因也시니라 言歷事恒沙多佛와 愍念邪見衆生이라시면 則不獨今日에 轉妙嚴之邪耳샷다

〔계환해언해〕○二子의 邪 두르신 먼 因을 爲야 펴시니라 니샤 恒沙多佛을 다 셤기와 邪見 衆生 愍念타 시면 오직 오 妙嚴ㅅ 邪 두르실  아니샷다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6]
대왕아! 알아라. 선지식이 이 큰 인연이라서 교화하여 인도하여 부처를 보아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을 발하게 한다. 대왕아! 너의 이 두 아들을 보느냐? 보지 못하느냐? 이 두 아들이 이미 육십오백 천만억 나유타 항하사 제불을 공양하야 친근히 공경하여 제불께 법화경을 받아 지녀 사견(邪見)의 중생을 불쌍히 여겨 정견(正見)에 머물게 한다.”라고 하셨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대왕(大王)아:대왕아! 大王+아(평칭 호격조사). 다른 부분에서는 ‘大王하’와 같이 존칭 호격조사를 사용하였음. ¶부톄 니샤 大王아 네 일즉 업디 아니야셔 엇뎨 업수믈 아다〈능엄 2:4ㄴ〉. 大王하 엇더 나 모시니고〈월석 8:92ㄴ〉.
주002)
아라라:알아라. 알-[知]+아/어~야/여+(/으)라(‘라’체의 명령법의 종결어미). ¶阿難아 이 바리옛 몰애 내니 해 라라〈석상 24:9ㄴ〉.
주003)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의 마음. 아뇩다라삼먁삼보리(anuttara-samyak-saṃbodhi)는 석가모니가 깨달은 지혜를 가리키는 말로, 더없이 높고 평등한 진리라는 뜻. 동의어로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 무상정등보리(無上正等菩提) 등이 있음.
주004)
제불(諸佛):諸佛께. 제불(諸佛)+(존칭 여격조사). 〈월석〉의 언해는 ‘諸佛ㅅ 거긔’이고, 〈법화〉의 언해는 ‘諸佛’임.
주005)
어엿비:불쌍히. 가엾이. 어엿브-[憐](형용사)+이(부사파생접미사) → 어엿비(상-평-거)(부사). ¶憫然은 어엿비 너기실 씨라〈훈언 2ㄴ〉.
주006)
니라:하느니라. 하는 것이다. -+(현재시상 선어말어미)+(/으)니(원칙법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中國 皇帝 겨신 나라히니 우리 나랏 常談애 江南이라 니라〈훈언 1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