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2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2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2]
이 사미 니거나 주001)
니거나:
다니거나. 니-+거나/어나(연결어미). 이 동사는 본래 ‘-[走]+(/으)니-[行]’의 합성어였는데, 한 단어로 굳어졌음. 비음동화된 ‘니-’도 같이 씌었음. ¶밥 먹고 두루 니니〈아미 9ㄴ〉. 後身 後ㅅ 모미니 前生애 니다가 後生애 다시 난 모미 後身이라〈월석 1:45ㄴ〉.
셔거나 야셔
주002)
니거나 셔거나 야셔:
다니거나 서거나 해서. 해당 원문은 ‘若行커나 若立에’임. 〈월석〉의 언해는 잘 보이지 않으나 ‘〔〕〔니〕〔거〕〔나〕 〔셔〕거나’로 추정되며 〈법화〉의 언해는 ‘行커나 셔거나’임. 따라서 〈석상〉은 ‘-’ 동사로 보충한 반면에 〈월석〉과 〈법화〉는 그렇지 않았다는 차이가 있음.
이 經을 닐거 외오거든 내 그저긔 六牙白象王 고 주003)
고:
타고. -[乘]+고(연결어미). ¶太子ㅣ 羊 술위 시고〈석상 3:6ㄴ〉.
굴근 주004)
굴근:
굵은. 큰. 굵-[太]+은(관형사형어미). ¶모미  크고 다리 굵고 리 캅더니〈석상 6:32ㄴ〉.
菩薩衆과로 그 고대 가 모 뵈여 주005)
뵈여:
보이어. 보-[見]+이(피동접미사)+어(연결어미). ‘:뵈·야’와 ‘:뵈·여’가 〈석상〉에는 연달아 나옴. 〈37ㄴ〉, 〈42ㄱ〉, 〈45ㄱ〉, 〈52ㄴ〉, 〈53ㄱ〉, 〈55ㄱ〉 참조.
供養야 딕야 護持야  편안킈 호리니 法華經 供養 위혼 젼다 이 사미 안자셔

석보상절 21:53ㄱ

이 經을 거든 주006)
거든:
사랑하면. 사랑하거든. -[思]+거든(연결어미). ¶天龍八部ㅣ 큰 德을  놀애 블러 깃거더니〈월천 9ㄱ〉.
그저긔 내  白象王 고 그 사 알 뵈여 그 사미  句  偈나 니즌 주007)
니즌:
잊은. 닞-[忘]+은(관형사형어미). ¶天下 蒼生 니즈시리가〈용가 21〉.
히 주008)
히:
곳이. ㅎ[地](ㅎ종성체언)+이(주격조사). ‘ㅎ’은 ‘땅[地]’의 의미와 ‘장소’의 의미가 있는데 ‘장소’의 의미로 쓰일 경우에는 추상적인 장소의 의미로도 쓰임. 여기서는 후자의 의미로 쓰였음. ¶ 爲地〈훈해 48〉. 觀自在菩薩 겨신 히라〈석상 6:44ㄱ〉.
이시면 내 치고 더브러 닐거 외와 도로 通利킈 호리니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104ㄴ

이 사〔〕〔미〕 〔〕〔니〕〔거〕〔나〕 〔셔〕거나 이 經을 讀〔誦〕〔커〕〔든〕 〔내〕 〔그〕〔〕 〔六〕牙白象〔王〕 〔〕〔고〕 〔大〕〔菩〕薩衆과  〔그〕〔〕 〔가〕 〔現〕身야 供養 守護야 그  便安케 慰勞호리니  法華經 供養

월인석보 19:105ㄱ

호 爲논 젼다 이 사미 안자셔 이 經을 거든 그 내 〔〕 〔白〕〔象〕〔王〕 고 그 사 알 〔現〕〔호〕〔리〕〔니〕 〔그〕 〔사〕〔〕〔미〕 다가 法華〔經〕〔에〕 〔一〕〔句〕 〔一〕偈나 니즌 〔〕 〔잇〕〔거〕〔든〕 〔내〕 〔반〕〔〕〔기〕 〔〕쳐 더브러 讀〔誦〕〔〕〔야〕 〔도〕〔로〕 〔通〕利케 호리니

월인석보 19:105ㄴ

【〔普〕〔賢〕〔이〕 〔象〕 〔〕〔샤〕 行儀 〔〕〔〕〔〕〔〕〔샤〕〔〕 〔表〕〔〕〔시〕니라 니거〔나〕 〔셔〕〔거〕〔나〕 〔〕〔다〕 〔호〕〔〕 〔四〕威儀 中〔에〕 〔念〕〔念〕〔에〕 〔〕〔녜〕 普賢妙〔行〕 〔보〕〔〕 〔뵈〕〔시〕〔니〕〔라〕】

〔법화경〕 〔7:168ㄱ〕是人이 若行커나 若立에 讀誦此經이어든 我ㅣ 爾時예 乘六牙白象王야 與大菩薩衆과 俱詣其所야 而自現身야 供養守護야 安慰其心호리니 亦爲供養法華經故ㅣ니다 是人이 若坐야 思惟此經커든 爾時예 我ㅣ 復乘白象王야 現其人前호리니 其人이 若於法華經에 有所忘失一句一偈어든 我ㅣ 當教之야 與共讀誦야 還令通利케호리니

〔법화경언해〕○이 사미 行커나 셔거나 〔7:168ㄴ〕이 經을 讀誦커든 내 그 六牙白象王 타 大菩薩衆과 다 그 고대 가 내 現身야 供養 守護야 그  便安케 慰勞호리니  法華經 供養홈 爲혼 젼니다 이 사미 다가 안자 이 經을 커든 그 내  白象王 타 그 사 알 現호리니 그 사미 다가 法華經에 一句 一偈 니즌  잇거든 내 반기 쳐 더브러 讀誦야 도로 通利케 호리니

〔계환해〕普賢乘象은 表行儀의 庠序也시니라 言若行若立若坐者 示於四威儀中에 念念에 常見普賢妙行시니라

〔계환해언해〕○普賢 象 샤 行儀의 〔7:169ㄱ〕샤 表시니라 行며 셔며 다 니샤 四威儀 中에 念念에 녜 普賢 妙行 보 뵈시니라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2]
이 사람이 다니거나 서거나 해서 이 경을 읽어 외우면 내가 그때에 육아백상왕(六牙白象王)을 타고 대보살의 무리와 그 곳에 가 몸을 보여 공양하여 지키고 호지하여 마음을 편안케 할 것이니 또 법화경 공양을 위하기 때문입니다. 이 사람이 앉아서 이 경을 생각하면 그때에 내가 또 백상왕(白象王)을 타고 그 사람의 앞에 보이어 그 사람이 한 구(句) 한 게(偈)나 잊은 곳이 있으면 내가 〈그 사람을〉 가르쳐 주고 함께 읽어 외워 도로 편안하게 할 것이니,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거나:다니거나. 니-+거나/어나(연결어미). 이 동사는 본래 ‘-[走]+(/으)니-[行]’의 합성어였는데, 한 단어로 굳어졌음. 비음동화된 ‘니-’도 같이 씌었음. ¶밥 먹고 두루 니니〈아미 9ㄴ〉. 後身 後ㅅ 모미니 前生애 니다가 後生애 다시 난 모미 後身이라〈월석 1:45ㄴ〉.
주002)
니거나 셔거나 야셔:다니거나 서거나 해서. 해당 원문은 ‘若行커나 若立에’임. 〈월석〉의 언해는 잘 보이지 않으나 ‘〔〕〔니〕〔거〕〔나〕 〔셔〕거나’로 추정되며 〈법화〉의 언해는 ‘行커나 셔거나’임. 따라서 〈석상〉은 ‘-’ 동사로 보충한 반면에 〈월석〉과 〈법화〉는 그렇지 않았다는 차이가 있음.
주003)
고:타고. -[乘]+고(연결어미). ¶太子ㅣ 羊 술위 시고〈석상 3:6ㄴ〉.
주004)
굴근:굵은. 큰. 굵-[太]+은(관형사형어미). ¶모미  크고 다리 굵고 리 캅더니〈석상 6:32ㄴ〉.
주005)
뵈여:보이어. 보-[見]+이(피동접미사)+어(연결어미). ‘:뵈·야’와 ‘:뵈·여’가 〈석상〉에는 연달아 나옴. 〈37ㄴ〉, 〈42ㄱ〉, 〈45ㄱ〉, 〈52ㄴ〉, 〈53ㄱ〉, 〈55ㄱ〉 참조.
주006)
거든:사랑하면. 사랑하거든. -[思]+거든(연결어미). ¶天龍八部ㅣ 큰 德을  놀애 블러 깃거더니〈월천 9ㄱ〉.
주007)
니즌:잊은. 닞-[忘]+은(관형사형어미). ¶天下 蒼生 니즈시리가〈용가 21〉.
주008)
히:곳이. ㅎ[地](ㅎ종성체언)+이(주격조사). ‘ㅎ’은 ‘땅[地]’의 의미와 ‘장소’의 의미가 있는데 ‘장소’의 의미로 쓰일 경우에는 추상적인 장소의 의미로도 쓰임. 여기서는 후자의 의미로 쓰였음. ¶ 爲地〈훈해 48〉. 觀自在菩薩 겨신 히라〈석상 6:44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