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
그저긔 주001)
그저긔:
그때에. 그 적에. 그(관형사)#적(명사)+/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그저긔 六師ㅣ 나라해 出令호〈석상 6:27ㄴ〉. 그제 十六 王子ㅣ 出家야 沙彌 외야〈법화 3:187ㄱ〉. 그 世尊이 偈 니샤〈월석 21:181ㄴ〉.
普賢菩薩 주002)
보현보살(普賢菩薩):
samantabhadra 문수보살과 함께 보살들의 우두머리로서 석가모니불을 양옆에서 보좌하는 보살. 부처의 진리(理)와 선정(定)과 실천(行)을 담당하며, 하얀 코끼리를 타고 부처님을 오른쪽에서 모시는 것으로 유명하다. 화엄경에서는 이 보살이 세운 열 가지의 큰 서원을 설하며, 이것을 보현십원(普賢十願)이라고 함.
이 自在神通力과 威德名聞으로 【名聞은 일후미 너비 주003)
너비:
널리. 넓게. 넙-[廣]+이(부사 파생접미사). ‘너비’는 ‘넓다’의 부사형이고, 명사 ‘넓이’는 중세국어에서는 ‘너븨’로 나타남. ¶아란 히어나 자시어나 올히어나 나라히어나 뷘 수프리어나 이 經을 너비 펴며〈석상 9:40ㄱ〉. 体相이 기릐 너븨 시고〈법화 2:13ㄱ〉.
들일 주004)
들일:
들릴. 듣-[聞](ㄷ불규칙)+이(피동접미사)+(/으)ㄹ(관형사형어미). ¶일후미 너비 들이니 이 外德이라〈월석 11:21ㄴ〉.
씨라】
그지 업스며 주005)
:
가[邊]. ¶功德이 그지업스며 업스니〈석상 19:4ㄱ〉.
업서 몯 니르 주006)
몯 니르:
이루 세지 못할. 몯(부정부사)#니르-[稱]+혜-[量/數](상성)+(/으)ㄹㆆ(관형사형어미). ¶解脫 得니 일로브터 後에 聲聞衆히 無量 無邊야 몯 니르혜리러라〈월석 14:40ㄴ〉.
大菩薩와 

석보상절 21:49ㄴ

주007)
그지 업스며  업서 몯 니 대보살(大菩薩)와 샤:
끝없으며 가이 없어 다 말하여 헤아리지 못할 대보살과 함께. 해당 원문은 ‘與大菩薩無量無邊不可稱數와로’임. ‘-와 샤’는 ‘-와 함께’의 의미로 여기의 ‘샤’는 ‘함께 하다’ 정도의 의미를 가진 기능동사임. 〈월석〉과 〈법화〉의 언해는 ‘大菩薩 無量無邊 不可稱數와로’임.
東方로셔 주008)
동방(東方)로셔:
동방으로부터. 〈월석〉의 언해는 〈석상〉과 동일하나, 〈법화〉의 언해는 ‘東方 從샤’임. 〈법화〉의 언해가 상대적으로 좀 더 직역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음. ‘동방’으로부터 온 이유를 계환해에서는 ‘동방은 天帝가 난 곳이어서 법화경을 이르는 法會가 여기에 이르러 인지(因地)의 지(智)와 과지(果地)의 각(覺)이 원만(圓滿)하여 10지를 넘어선 11지의 묘원행(妙圓行)을 가지면 나아가서 닦는 공(功)이 이미 다하였고 묘각체(妙覺體)가 이미 여기에 이르러 공용(功用) 없는 행(行)에 의지하여 진(震)에 나서 사물을 이롭게 하므로’ 동쪽으로부터 오신 것을 보였다고 설명함.
오시니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98ㄱ

其 三百四十
寶威德上王 佛國에 普賢菩薩이 리신 無量 菩薩이 祥瑞로 오시니
耆闍崛山 中에 普賢菩薩이 請샤 後五

월인석보 19:98ㄴ

百歲예 妙法 교리다
그 普賢菩薩이 自在神通力 威德名聞으로 大菩薩 無量 無邊 不可稱數와로 東方로셔 오시니【普賢이 事法界 統샤 萬行이 두려 샤 이레 나가 眞샤 그 應身이 아니 겨신  업스샤

월인석보 19:99ㄱ

 法會ㅅ 乃終에 東方 브터 오 뵈샤 東方震은 帝의 난 히니≪帝 하히 萬物 내야 일우기 아실 씨라 震 東方이니 時節론 보미니 봄브터 萬物이 날 帝 나다 니라≫ 法會 이 니르러 因地智 圓며 果地覺이 滿야 十一地 妙圓行이 시면 進修 功이 마 다아 妙覺體 마 일 이제 功用 업슨 行 브터 震로셔 나 物

월인석보 19:99ㄴ

을 利실 東녀로브터 오 뵈시니 華嚴에 十一地 디나 佛海功德 닐어 시고 즉재 如來 出現샤 世間 利시 行 니샤미 곧 이 디라 常行 여희디 아니샤 욤 업시 物을 應실 自在神通이라 니라 德이 遍티 몯  업스시며 일후미 들이디 몯  업스실 威德名聞이라 니라 無邊 菩薩와  오샤 萬行이 圓히 攝호미 無盡호 뵈시니라】

〔7:153ㄱ〕八常行流通
〔법화경〕 妙法蓮華經普賢菩薩勸發品第二十八

〔계환해〕〔7:153ㄴ〕窮妙法之始終然後에 盡出興大事시며 合諸佛之智行然後에 見如來ㅅ 全身시리니 是經之作이 始於文殊問答시고 終於普賢勸發샤 二十八品ㅅ 條理一貫시니 乃所以窮始終시며 合智行이시니 大事因緣이 於是乎애 畢시며 如來ㅅ 法身이 於〔7:154ㄱ〕是乎애 全也ㅣ샷다 蓋智 能發覺 所以作始시고 行은 能成德 所以成終이시니 而中間事法이 無非智行을 互相資發也ㅣ시니라 華嚴最初因門에 以文殊로 發信샤 以開進修之序시고 最後果門에 以普賢으로 結法샤 以示果後之行시니 今經意義ㅣ 㳷然同矣시니라 普賢者 德無不徧曰普ㅣ시고 佑上利下曰賢이시니 即徧具妙德샤 上佑佛化시고 下利群物之號也ㅣ시니라 勸發者 勉進義也ㅣ니 前에 雖開佛知見샤 明因地心시며 顯佛本跡샤 成果地覺시며 洎明妙圓之行샤도 猶是等覺行相이시니 若坐於此시고 而不進시면 則有虧妙覺成德샤 未極向上之道시릴 故로 復勉而進之샤 庶德無不徧샤 而佑上利下샤 以成果後常行샤 以盡妙覺之道실 故로 名普賢勸發이라야 而爲常行流通也니라 華嚴에 至十一地샤 佛功德海ㅣ 一切滿〔7:155ㄱ〕足신 然後에 說普賢常行샤 名이 善入世間三昧니 與萬法과 相應 不二眞實法門이라시니 即此意也ㅣ시니라 所謂常行者 泯覺觀시며 無作任시며 冥物我시며 同染淨샤 一切平常샤 恬然自在실씨니 此ㅣ 妙覺向上之事ㅣ시며 遮那平道之教ㅣ시니 乃所謂平實者也ㅣ라 然이나 須詳斯經샤 依佛知見海샤 順流而入샤 滿足一切佛功德海然後에 逆流而出샤 乃可蹈此ㅣ어〔7:155ㄴ〕시 哀今之人은 望涯逐塊야 以世俗愚陋之見으로 而擬妙覺平實之行야 於諸教門에 專事呵毀야 縱脫不修야 確守無時야 枉受輪轉니 楞嚴所謂샨 譬如平人이 妄稱帝王다가 自取誅滅니 可不慎哉아 使學佛者로 皆如逐塊之流야 呵教執俗야 棄智絕行야 直謂無修면 則妙法始終을 復何所明이며 大事因緣이 亦幾乎息矣리라 然則始於佛之知見시고 終於普賢〔7:156ㄱ〕常行샤미 極而示之 存乎教시고 備而證之 存乎人니 達者ㅣ 宜盡心焉이니

〔계환해언해〕○妙法 始終을 다신 後에 니러나샨 큰 이 다시며 諸佛ㅅ 智行 어울우신 後에 如來ㅅ 全身을 보시리니 이 經 지샤미 文殊 問答애 비르스시고 普賢 勸發애 샤 二十八品ㅅ 條理 나히 시니【條 가지오 理 脈이라】 始終 다시며 智行 어울우샤미니 大事 因緣이 이 시며 如來ㅅ 法身이 이 오샷다 智 能히 覺 發 처 지샤미오 行은 能히 德을 일울  일우샤미니 中間事法이 〔7:156ㄴ〕智行 서르 도아 發티 아니니 업스시니라 華嚴  첫 因門에 文殊로 信 發샤 나 닷골 次序 여르시고  後ㅅ 果門에 普賢으로 法을 結샤 果後ㅅ 行 뵈시니 이 經 디 마치 시니라 普賢은 德이 디 몯  업스샤미 니샨 普ㅣ시고 우흘 돕오시고 아랠 利샤미 니샨 賢이시니 곧 妙德이 다 샤 우흐로 佛化 돕오시고 아래로 群物을 利시논 號ㅣ시니라 勸發은 힘 나시논 디니 알 비록 부텻 知見을 여르샤 因地心을 기시며 부텻 本來ㅅ 자쵤 나토샤 果地覺 일우시며 妙圓신 行 기샤매 미츠샤도  이 等覺行相이시니 다가 이 〔7:157ㄱ〕안시고 낫디 아니시면 妙覺인 德에 이주미 겨샤 向上道애 다디 몯시릴  힘워 나샤 德이 디 몯  업스샤 우 돕오시며 아래 利샤 果後常行 일우샤 妙覺道 다콰뎌 실 일후미 普賢勸發이라 야 常行 流通이 외니라 華嚴에 十一地예 니르르샤 佛功德海 一切 滿足신 後에 普賢 常行 니샤 일후미 善入世間三昧니 萬法과 서르 應 不二眞實法門이라 시니 곧 이 디시니라 니샨 常行 覺觀이 업스시며 作任이 업스시며【任은 맛딜 씨라】 物我ㅣ 어우르시며 染淨이 샤 一切 平常샤 便〔7:157ㄴ〕安히 自在실 씨니 이 妙覺 向上앳 이리시며 遮那 平道ㅅ 敎ㅣ시니 니논 平實이라 그러나 모로매 이 經을 仔細히 샤 부텻 知見海 브트샤 流를 順야 드르샤 一切 佛 功德海 滿足신 後에 流를 거스려 나샤 어루 이 오시리어늘 어엿븐 이젯 사  라며【市南宜僚ㅣ 魯侯려 닐오 南越에 建德國이 잇니 그 百姓이 큰 道 오며 그 사로미 즐거우니다 魯侯ㅣ 닐오 糧食 업거니 엇뎨 가료 市南子ㅣ 닐오 님 해자 져기 시고 님 欲을 져기 시면 비록 糧食 업서도 足리니 님그미 江 건나시며 바래 우샤 라 그  보디 몯며 더 〔7:158ㄱ〕가디옷 다  모거든 님금 보내올 싸 셔 도라오리니 님그미 일로브터 머르시리다】  무저글 조차【最勝天王이 부텻긔 오 엇뎨 菩薩이 生 업슨 法에 生 이쇼 보니고 부톄 天王려 니샤 반기 알라 諸法이 滅 업슬 이런로 生 업스니 엇뎨어뇨 性이 變티 아니논 젼라 오직 世俗 브터 生滅 이쇼 볼 니언 다 虛妄야 眞實로 이쇼미 아니니 다가 諸菩薩이 기픈 般若 行면 無明 因緣으로 諸行이 나고 行 브터 識이 나고 너비 닐어 有ㅅ 젼로 生고 生면 곧 늘고미 고 늘글 주굼과 시름야 셜우미 이슈메 니르리 곧 實다이 아니 이런로 行 닷고 〔7:158ㄴ〕無明 그추믈 爲니 無明이 그츠면 녀나 열 支ㅣ 올며 올마 조차 滅야 모미 그츠면 命이 조차 滅 니 天王아 반기 알라 邪見 外道ㅣ 解脫 求호 爲야 오직 주고 긋고져 고 生 그추 아디 몯니 다가 法이 나디 아니면 곧 滅이 업스니 가비건댄 사미  무저그로 師子 티 야 獅子ㅣ 사 조면 무저기 절로 니 잇니 菩薩도  그러야 오직 生 그츠면 死ㅣ 절로 滅니라 가히 오직 무저글 좃고 사 조초 아디 몯야  무저기 내내 니 잇디 몯니 外道도  그러야 生 그추 아디 몯 내내 死 여희디 몯니 菩薩이 기픈 般若 行야 因緣 諸法 〔7:159ㄱ〕生滅을 이대 아니라】 世俗 어린 더러운 보로 妙覺 平實신 行 가벼 여러 敎門에 허루믈 젼혀 일 사마 훤히 버서 닷디 아니야 구디 守호미 時 업서 간대로 그우뉴 受니 楞嚴에 니샨 가비건댄 平人이 妄量로 帝王이로라 일다가 제 주구믈 取 니 삼가디 마로미 올녀 부텨 홀 싸미 다  무적 좃 물 야 敎法 구짓고 世俗 자바 智 리며 行 그처 갓 닷곰 업스니라 너기면 妙法 始終  엇뎨 기며 大事 因緣이  그추매 거리라 그러면 부텻 知見에 비르스시고 普賢 常行애 샤미  뵈샤 敎애 겨시고 초 證호 사게 잇니 通達 사미  다올 〔7:159ㄴ〕띠니

〔7:159ㄴ〕文四 一普賢勸發八 初來儀軌範
〔법화경〕 爾時普賢菩薩이 以自在神通力威德名聞으로 與大菩薩無量無邊不可稱數와로 從東方來시니

〔법화경언해〕○그 普賢菩薩이 自在 神通力 威德 名聞으로 大菩薩 無量 無邊 不可稱數와로 東方 從샤 오시니

〔계환해〕普賢이 統事法界샤 圓具萬行샤 即事而眞이샤 其應身이 無乎不在어시 且於法會之〔7:160ㄱ〕終애 示從東方來者 東方震은 帝之所出也ㅣ니 以法會至此샤 因地智ㅣ 圓시고 果地覺이 滿샤 十一地妙圓之行이 備시면 則進修之功이 已盡시고 妙覺之體ㅣ 已成샤 於是예 依無功用行샤 出震利物실 故로 示從東來시니라 華嚴에 過十一地샤 說佛海功德既終시고 即說如來ㅣ 出現샤 利世間行시니 即此意也ㅣ시니라 以不離常行샤 無爲應物실 故로 曰自〔7:160ㄴ〕在神通이시고 以德無不徧시며 名無不聞실 故로 曰威德名聞이시니라 與無邊菩薩와 俱來者 示萬行 圓攝無盡也시니라

〔계환해언해〕○普賢이 事法界 모도자샤 萬行이 두려이 샤 事애 나가 眞이샤 그 應身이 아니 겨신  업거시 法會ㅅ 매 東方브터 오샤 뵈샤 東方震은 帝의 난 히니【하히 萬物 아로미 帝라】 法會 이 니르르샤 因地智 圓시고 果地覺이 滿샤 十一地 妙圓行이 시면 나 닷시논 功이 마 다시고 妙覺體 마 이르샤 이 功用 업슨 行 브트샤 〔7:161ㄱ〕震에 나샤 物 利실 東녁브터 오샤 뵈시니라 華嚴에 十一地 디나샤 佛海 功德 니샤 마 시고 즉재 如來ㅣ 出現샤 世間 利시논 行 니시니 곧 이 디시니라 常行 여희디 아니샤 욤 업수므로 物 應실 온 自在 神通이시고 德이 디 몯  업스시며 일후미 들이디 몯  업스실 온 威德 名聞이시니라 無邊 菩薩와  오샤 萬行 두려이 자샤 無盡샤 뵈시니라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
그때 보현보살이 자재신통력(自在神通力)과 위덕(威德) 명문(名聞)으로【명문은 이름이 널리 들리는 것이다.】 끝없으며 가이 없어 다 말하여 헤아리지 못할 대보살과 함께 동방으로 오시니,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저긔:그때에. 그 적에. 그(관형사)#적(명사)+/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 ¶그저긔 六師ㅣ 나라해 出令호〈석상 6:27ㄴ〉. 그제 十六 王子ㅣ 出家야 沙彌 외야〈법화 3:187ㄱ〉. 그 世尊이 偈 니샤〈월석 21:181ㄴ〉.
주002)
보현보살(普賢菩薩):samantabhadra 문수보살과 함께 보살들의 우두머리로서 석가모니불을 양옆에서 보좌하는 보살. 부처의 진리(理)와 선정(定)과 실천(行)을 담당하며, 하얀 코끼리를 타고 부처님을 오른쪽에서 모시는 것으로 유명하다. 화엄경에서는 이 보살이 세운 열 가지의 큰 서원을 설하며, 이것을 보현십원(普賢十願)이라고 함.
주003)
너비:널리. 넓게. 넙-[廣]+이(부사 파생접미사). ‘너비’는 ‘넓다’의 부사형이고, 명사 ‘넓이’는 중세국어에서는 ‘너븨’로 나타남. ¶아란 히어나 자시어나 올히어나 나라히어나 뷘 수프리어나 이 經을 너비 펴며〈석상 9:40ㄱ〉. 体相이 기릐 너븨 시고〈법화 2:13ㄱ〉.
주004)
들일:들릴. 듣-[聞](ㄷ불규칙)+이(피동접미사)+(/으)ㄹ(관형사형어미). ¶일후미 너비 들이니 이 外德이라〈월석 11:21ㄴ〉.
주005)
:가[邊]. ¶功德이 그지업스며 업스니〈석상 19:4ㄱ〉.
주006)
몯 니르:이루 세지 못할. 몯(부정부사)#니르-[稱]+혜-[量/數](상성)+(/으)ㄹㆆ(관형사형어미). ¶解脫 得니 일로브터 後에 聲聞衆히 無量 無邊야 몯 니르혜리러라〈월석 14:40ㄴ〉.
주007)
그지 업스며  업서 몯 니 대보살(大菩薩)와 샤:끝없으며 가이 없어 다 말하여 헤아리지 못할 대보살과 함께. 해당 원문은 ‘與大菩薩無量無邊不可稱數와로’임. ‘-와 샤’는 ‘-와 함께’의 의미로 여기의 ‘샤’는 ‘함께 하다’ 정도의 의미를 가진 기능동사임. 〈월석〉과 〈법화〉의 언해는 ‘大菩薩 無量無邊 不可稱數와로’임.
주008)
동방(東方)로셔:동방으로부터. 〈월석〉의 언해는 〈석상〉과 동일하나, 〈법화〉의 언해는 ‘東方 從샤’임. 〈법화〉의 언해가 상대적으로 좀 더 직역에 가까운 것을 알 수 있음. ‘동방’으로부터 온 이유를 계환해에서는 ‘동방은 天帝가 난 곳이어서 법화경을 이르는 法會가 여기에 이르러 인지(因地)의 지(智)와 과지(果地)의 각(覺)이 원만(圓滿)하여 10지를 넘어선 11지의 묘원행(妙圓行)을 가지면 나아가서 닦는 공(功)이 이미 다하였고 묘각체(妙覺體)가 이미 여기에 이르러 공용(功用) 없는 행(行)에 의지하여 진(震)에 나서 사물을 이롭게 하므로’ 동쪽으로부터 오신 것을 보였다고 설명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