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9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9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9]
내 오브터 외야 주001)
외야:
다시. 외야[復](평-평-거, 부사). ¶제 보아 아론 젼로 외야 현마 모딘 罪業을 짓디 아니리니〈석상 9:31ㄱ〉.
뎌글  조초 아니며 邪曲히 보며 주002)
 되며:
뜻 심하며. 교만하며. 해당 원문은 ‘교만(憍慢)’임. 〈월석〉과 〈법화〉는 모두 ‘교만(憍慢)’으로 언해하였음.
되며 주003)
되며:
되며. 심하며. 되-[甚](형용사)+(/으)며(연결어미). ¶驕慢  되야  업시울 씨라〈월석 4:25ㄴ〉.
嗔心며 믈읫 주004)
믈읫:
무릇. 모든. ¶믈읫 됴티 몯 이리 다 업서 〈석상 9:24ㄱ〉. 믈읫 字ㅣ모로매 어우러 소리 이니〈훈언 13ㄱ〉.
모딘  아니 내요리다 주005)
내요리다:
낼 것입니다. 내-[生]+오/우(의도의 선어말어미)+(/으)리(미래시상의 선어말어미)+(/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 金剛眼 點야 내욜 디니〈금삼 3:16ㄴ〉.
이 말 다 고 부텨 禮數고 가니라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91ㄱ

내 오브터 외야 내 心行 좃디 아니야 邪見 憍

월인석보 19:91ㄴ

慢 瞋恚 여러 가짓 모딘  내디 아니호리다 이 말 니고 부텨 禮數고 가니라

〔법화경〕 〔7:149ㄱ〕我ㅣ 從今日야 不復自隨心行야 不生邪見憍慢瞋恚諸惡之心호리다 說是語已고 禮佛而出니라

〔법화경언해〕○내 오브터 외야 내 心行 〔7:150ㄱ〕좃디 아니야 邪見 憍慢 瞋恚 여러 가짓 모딘  내디 아니호리다 이 말 고 부텻긔 禮數고 나니라

〔계환해〕不隨心며 不生邪 皆法化教戒之力이실 故로 讚而謝之시니라

〔계환해언해〕○ 좃디 아니며 邪 내디 아니호 다 法化 敎戒ㅅ 히미실 讚歎샤 謝시니라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9]
내가 오늘부터 다시 행적을 마음으로 쫓지 않으며 사곡하게 보며 뜻 심하며 성내며 무릇 나쁜 마음을 내지 않을 것입니다.” 이 말을 다 사뢰고 부처님께 인사하고 갔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외야:다시. 외야[復](평-평-거, 부사). ¶제 보아 아론 젼로 외야 현마 모딘 罪業을 짓디 아니리니〈석상 9:31ㄱ〉.
주002)
 되며:뜻 심하며. 교만하며. 해당 원문은 ‘교만(憍慢)’임. 〈월석〉과 〈법화〉는 모두 ‘교만(憍慢)’으로 언해하였음.
주003)
되며:되며. 심하며. 되-[甚](형용사)+(/으)며(연결어미). ¶驕慢  되야  업시울 씨라〈월석 4:25ㄴ〉.
주004)
믈읫:무릇. 모든. ¶믈읫 됴티 몯 이리 다 업서 〈석상 9:24ㄱ〉. 믈읫 字ㅣ모로매 어우러 소리 이니〈훈언 13ㄱ〉.
주005)
내요리다:낼 것입니다. 내-[生]+오/우(의도의 선어말어미)+(/으)리(미래시상의 선어말어미)+(/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 金剛眼 點야 내욜 디니〈금삼 3:16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