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3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3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3]
梵王 주001)
범왕(梵王):
brahmā ; brahman 색계(色界)의 초선천(初禪天)의 제3천의 왕. 범천궁이라 불리는 화려한 보배 누각에 살면서 사바 세계를 다스리는 천왕. 그의 키는 1유순 반이며, 수명은 1겁 반이다. 여기서는 초선천(初禪天)의 대표자로 등장함.
모로 得度그란 즉자히 梵王 모 現야 說法며 帝釋 주002)
제석(帝釋):
Śakra devānām indra 신들 중에서 가장 강력한 인드라를 강력한 신으로 형용한 말. 〈석상〉에서는 ‘석제환인’으로도 나옴. 여기서는 도리천(忉利天)의 주관자로 등장함.
모로 得度그란 즉자히 帝釋 모 現야 說法며 自在

석보상절 21:11ㄱ

天 모로 得度그란 즉자히 自在天 모 現야 說法며 自在天 주003)
자재천왕(自在天王):
maheśvara 인도의 쉬바(Śiva) 신을 가리킴. 쉬바는 비슈누와 함께, 범천(梵天) 즉 브라마 신의 하위였으나, 점차 동등한 지위의 신으로 승격되었으며, 세계 창조의 최고신으로서 신봉되었다. 불교에서의 대자재천은 마혜수라천궁(摩醯首羅天宮)에 머무는 천왕임. 여기서는 색계(色界)를 주관하는 이로 등장함.
모로 得度그란 즉자히 大自在天 모 現야 說法며 大自在天西天 주004)
서천(西天):
인도.
마래 摩醘首羅 주005)
마혜수라(摩醯首羅):
자재천왕.
ㅣ니 여듧 히오 세 누니오  쇼 니 주006)
니:
타니. -[乘]+(현재시상 선어말어미)+(/으)니(원인·이유의 연결어미). ¶中丞이 風俗 무로매 곰 그륜 술위 조 니〈두시 23:20ㄴ〉.
字ㅣ 威靈帝니 阿迦尼吒天 주007)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Akaniṣṭha-deva 제4선천(禪天)의 가장 높은 지위이며 색계18천의 가장 높은 지위로서 의역하여 유정천(有頂天), 색구경천(色究竟天)이라 한다. 『석보상절』의 주석에는 대자재천(大自在天)인 마혜수라(摩醯首羅)와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을 같은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 둘은 다른 것임.
이라도 며 色究竟天 주008)
색구경천(色究竟天):
=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이라도 며 有頂天 주009)
유정천(有頂天):
=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이라도 니 大千界 주010)
대천계(大千界):
대천세계(大千世界)의 준말. mahāsāhasra-lokadhātu 고대 인도인의 우주관으로는 사대주(四大洲)와 일월제천(日月諸天)이 한 소세계(小世界)가 되고 소세계(小世界) 천 개가 합하여 소천세계(小千世界)가 되며 소천세계(小千世界) 천 개가 합하여 중천세계(中千世界)가 되고 중천세계(中天世界) 천 개가 합하여 대천세계(大千世界)가 된다고 본다. 불교에서는 ‘대천세계(大千世界)’ 한 구(句)를 인간 세계의 어지러운 모든 모습을 형용하는 말로 사용함.
예 爲頭니라】
天大將軍 주011)
천대장군(天大將軍):
계환해에 따르면 ‘천대장군(天大將軍)’은 귀신을 거느리는 존재임.
모

석보상절 21:11ㄴ

로 得度그란 즉자히 天大將軍 모 現야 說法며 毗沙門 주012)
비사문(毘沙門):
vaiśravaṇa ; vaiśramaṇa 욕계(欲界) 6천(天) 중 4천왕천(天王天)을 주재하는 4천왕 중 북방의 천왕, 또는 이 천왕의 세계. 수미산왕(須彌山王)의 동쪽으로 4만 리 떨어진 곳에 비사문천왕의 성곽이 있는데, 그 넓이와 길이는 각각 24만 리이며, 일곱 가지 보배로 지어진 성에는 숲과 연못 등이 가득하다고 한다. 항상 부처님의 도량을 수호하여 설법을 들으므로 다문천(多聞天)이라고 번역함.
모로 得度그란 즉자히 毗沙門 모 現야 說法며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33ㄴ

梵王身로 得度리란 즉재 梵王身 現야 爲야 說法며 帝釋身로 得度리란 즉

월인석보 19:34ㄱ

帝釋身 現야 爲야 說法며 自在天身로 得度리란 즉재 自在天身 現야 爲야 說法며 大自在天身로 得度리란 즉재 大自在天身 現야 爲야 說

월인석보 19:34ㄴ

法며 天大將軍身로 得度리란 즉재 天大將軍身 現야 爲야 說法며 毗沙門身로 得度리란 즉재 毗沙門身 現야 爲야 說法며梵王初禪天主ㅣ오 帝釋은 忉利

월인석보 19:35ㄱ

主ㅣ오 自在天은 欲界頂에 살오 大自在天은 色界頂에 살오 天大將軍은 鬼神을 統領고≪統領은 모도 거느릴 씨라≫四天王은 世界 統領고 毗沙門 北方애 사라  尊니라 첫 둘흔 顯 從야 드러 니르시니 梵釋이 녜 부텨를 좃니라 버거 네 摠 從야 드러 니르시니 欲界摠과 色界摠과 鬼神摠과 世界摠괘라】

〔7:73ㄴ〕二現六凡三 一天
〔법화경〕 〔7:73ㄴ〕應以梵王身으로 得度者란 即現梵王身야 而爲說法며 〔7:74ㄱ〕應以帝釋身으로 得度者란 即現帝釋身야 而爲說法며 應以自在天身으로 得度者란 即現自在天身야 而爲說法며 應以大自在天身으로 得度者란 即現大自在天身야 而爲說法며 應以天大將軍身으로 得度者란 即現天大將軍身야 而爲說法며 〔7:74ㄴ〕應以毘沙門身으로 得度者란 即現毘沙門身야 而爲說法며

〔법화경언해〕○〔7:74ㄴ〕梵王身으로 得度얌직 니란 즉재 梵王身을 現야 爲야 說法며 帝釋身으로 得度얌직 니란 즉재 帝釋身을 現야 爲야 說法며 自在天身으로 得度얌직 니란 즉재 自在天身을 現야 爲야 說法며 大自在天身으로 得度얌직 니란 즉재 大自在天身을 〔7:75ㄱ〕現야 爲야 說法며 天大將軍身으로 得度얌직 니란 즉재 天大將軍身을 現야 爲야 說法며 毗沙門身으로 得度얌직 니란 즉재 毗沙門身을 現야 爲야 說法며

〔계환해〕〔7:75ㄱ〕梵王은 爲初禪天主ㅣ오 帝釋은 爲忉利天主ㅣ오 自在天은 居欲界頂고 大自在天은 居色界頂고 天大將軍은 統領鬼神고 四天王은 統領世界하니 毗沙門이 居北方야 爲最尊니라 初二 從顯샤 舉시니 以梵釋이 常隨佛故ㅣ라 次四 從總샤 舉시니 謂欲界之總과 色界之總과 鬼神之總과 世界之總也ㅣ라

〔계환해언해〕○〔7:75ㄴ〕梵王은 初禪天主ㅣ오 帝釋忉利天主ㅣ오 自在天은 欲界頂에 살오 大自在天은 色界頂에 살오 天大將軍은 鬼神을 모도 領코 四天王은 世界 모도 領니 毗沙門이 北方애 사라  尊니라 첫 둘흔 顯호 조샤 드러 니시니 梵釋이 녜 부텨를 좃 젼라 버거 네흔 모도 브트샤 드러 니시니 欲界옛 摠과 色界옛 摠과 鬼神엣 摠과 世界옛 摠이라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3]
범왕의 몸으로 득도할 사람에게는 〈관세음보살이〉 즉시 범왕의 몸으로 나타나 설법하며 제석의 몸으로 득도할 사람에게는 〈관세음보살이〉 즉시 제석의 몸으로 나타나 설법하며 자재천왕의 몸으로 득도할 사람에게는 〈관세음보살이〉 즉시 자재천왕의 몸으로 나타나 설법하며대자재천(大自在天)서천(西天) 말에 마혜수라(摩醯首羅)이니 팔이 여덟 개이고 눈이 세 개이고 흰 소를 타니 자(字)가 위령제(威靈帝)이니 이를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이라고도 하며 색구경천(色究竟天)이라고도 하며 유정천(有頂天)이라고도 하니 대천세계에서 가장 높으니라.】천대장군(天大將軍)의 몸으로 득도할 사람에게는 〈관세음보살이〉 즉시 천대장군의 몸으로 나타나 설법하며 비사문천의 몸으로 득도할 사람에게는 〈관세음보살이〉 즉시 비사문천의 몸으로 나타나 설법하며,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범왕(梵王):brahmā ; brahman 색계(色界)의 초선천(初禪天)의 제3천의 왕. 범천궁이라 불리는 화려한 보배 누각에 살면서 사바 세계를 다스리는 천왕. 그의 키는 1유순 반이며, 수명은 1겁 반이다. 여기서는 초선천(初禪天)의 대표자로 등장함.
주002)
제석(帝釋):Śakra devānām indra 신들 중에서 가장 강력한 인드라를 강력한 신으로 형용한 말. 〈석상〉에서는 ‘석제환인’으로도 나옴. 여기서는 도리천(忉利天)의 주관자로 등장함.
주003)
자재천왕(自在天王):maheśvara 인도의 쉬바(Śiva) 신을 가리킴. 쉬바는 비슈누와 함께, 범천(梵天) 즉 브라마 신의 하위였으나, 점차 동등한 지위의 신으로 승격되었으며, 세계 창조의 최고신으로서 신봉되었다. 불교에서의 대자재천은 마혜수라천궁(摩醯首羅天宮)에 머무는 천왕임. 여기서는 색계(色界)를 주관하는 이로 등장함.
주004)
서천(西天):인도.
주005)
마혜수라(摩醯首羅):자재천왕.
주006)
니:타니. -[乘]+(현재시상 선어말어미)+(/으)니(원인·이유의 연결어미). ¶中丞이 風俗 무로매 곰 그륜 술위 조 니〈두시 23:20ㄴ〉.
주007)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Akaniṣṭha-deva 제4선천(禪天)의 가장 높은 지위이며 색계18천의 가장 높은 지위로서 의역하여 유정천(有頂天), 색구경천(色究竟天)이라 한다. 『석보상절』의 주석에는 대자재천(大自在天)인 마혜수라(摩醯首羅)와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을 같은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 둘은 다른 것임.
주008)
색구경천(色究竟天):=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주009)
유정천(有頂天):= 아가니타천(阿迦尼吒天).
주010)
대천계(大千界):대천세계(大千世界)의 준말. mahāsāhasra-lokadhātu 고대 인도인의 우주관으로는 사대주(四大洲)와 일월제천(日月諸天)이 한 소세계(小世界)가 되고 소세계(小世界) 천 개가 합하여 소천세계(小千世界)가 되며 소천세계(小千世界) 천 개가 합하여 중천세계(中千世界)가 되고 중천세계(中天世界) 천 개가 합하여 대천세계(大千世界)가 된다고 본다. 불교에서는 ‘대천세계(大千世界)’ 한 구(句)를 인간 세계의 어지러운 모든 모습을 형용하는 말로 사용함.
주011)
천대장군(天大將軍):계환해에 따르면 ‘천대장군(天大將軍)’은 귀신을 거느리는 존재임.
주012)
비사문(毘沙門):vaiśravaṇa ; vaiśramaṇa 욕계(欲界) 6천(天) 중 4천왕천(天王天)을 주재하는 4천왕 중 북방의 천왕, 또는 이 천왕의 세계. 수미산왕(須彌山王)의 동쪽으로 4만 리 떨어진 곳에 비사문천왕의 성곽이 있는데, 그 넓이와 길이는 각각 24만 리이며, 일곱 가지 보배로 지어진 성에는 숲과 연못 등이 가득하다고 한다. 항상 부처님의 도량을 수호하여 설법을 들으므로 다문천(多聞天)이라고 번역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