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4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4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4]
그저긔 두 아리 父

석보상절 21:39ㄴ

母  됴실쎠 주001)
됴실쎠:
좋습니다! 둏-[好]+(/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ㄹ쎠(감탄법 어미). 해당 원문은 ‘善哉’임. ¶大衆이  소리로 讚歎 됴실쎠〈월석 22:21ㄴ〉.
父母하 주002)
부모(父母)하:
부모님이시여! 父母+하(존칭 호격조사). ¶父母하 出家 利益을 이제 마 得과다〈석상 11:37ㄴ〉.
願 이제 雲雷音宿王 華智佛 가샤 親近히 供養쇼셔 엇뎨어뇨 란 부텨 맛나 어려미 優曇鉢羅華 주003)
우담발라화(優曇鉢羅華):
uḍumbara 상과(桑科)에 딸린 무화과의 한 종. 학명은 Ficus Glomerata임. 나무 크기는 한 길 남짓하고 잎은 4~5촌. 뾰쪽한 끝이 가늘고, 꽃은 자웅의 구별이 있음. 3천 년 만에 한번 꽃이 핀다 하여, 아주 희유한 일에 비유함.
ㅣ 며  눈 가진 거부비 주004)
거부비:
거북이. 거붑[龜]+이(주격조사). 거붑〉거북. ¶祖上애셔 仙道 닷거늘 靈 거부비 그리믈 지여 나니라〈능엄 3:76ㄱ〉.
주005)
:
뜬. -[浮]+(/으)ㄴ(관형사형어미). ¶오직  더품 體 자바 일후믈 全潮ㅣ라 며〈능엄 2:19ㄱ〉.
나못 구무 주006)
구무:
구멍. /구무[穴]. ‘구무’는 단독형이고, 조사를 취하면 ‘구무도, 구무마다, 구무와’를 제외하고 ‘굼기, 굼글, 굼근, 굼그로, 굼긔, 굼기라’와 같이 씌었음. ¶一切 터럭 구무마다 그지 업스며 數 업슨 비쳇 光明을 펴샤〈19:38ㄴ〉. 窟 굼기라〈월석 1:월석서21ㄱ〉.
맛나미 니 주007)
맛나미 니:
만남과 같으니. ‘-’는 주격조사를 지배하여, 여기서는 비교의 기능으로 씌었음.
우리히 아랫 福이 깁고 둗거 주008)
둗거:
두꺼워. 둗겁-[厚](ㅂ불규칙)+어(연결어미). 파생명사 ‘둗긔’는 현대국어 ‘두께’의 소급형이다. 이 ‘둗긔’와 ‘두텁다’란 어휘로 보아 기원적으로는 어근 ‘둩-’에 접미사 ‘-겁-’이나 ‘-업-’이 붙어서 형용사가 파생된 것으로 보임. 〈월석〉의 언해는 ‘두터’이고, 〈법화〉의 언해는 ‘둗거워’임. ¶ 婆鶯門의 리 前生ㅅ 福이 둗거 모다 恭敬며 行住坐臥애 諸天이 衛護더니〈월석 21:19ㄴ〉.
佛法을

석보상절 21:40ㄱ

맛나니 주009)
맛나니:
만나니. 맛나-[遇]+//(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보조적 연결어미)#잇-[在]+(현재시상 선어말어미)+(/으)니(원인·이유의 연결어미). ¶命終 後에 二千億 부텨를 맛나니 다 號ㅣ 日月燈明이러시니〈석상 19:32ㄴ〉.
이럴 父母하 우리 出家케 쇼셔 주010)
우리 출가(出家)케 쇼셔:
우리를 출가하게 하소서. ‘케’는 ‘하게’의 축약으로 ‘게 -’는 사동 형식이다. ‘게 -’ 사동문의 피사역주는 주격, 목적격, 여격 또는 ‘로 여’ 등이 쓰이는데 여기서는 ‘’이 쓰였음.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80ㄱ

그제 두 아리 父母 닐오 됴실쎠 父母하 願 이제 雲雷音宿王華智佛 가샤 親近 供養쇼셔 엇뎨어뇨 란 부톄 難히 맛나미 優曇鉢羅華

월인석보 19:80ㄴ

ㅣ 며   눈 가진 거부비  나못 구무 맛나미 니 우리 아 福이 깁고 두터 生애 佛法을 맛나니 이럴 父母ㅣ 우리 出家케 쇼셔 엇뎨어뇨 란 諸佛 맛나미 어려며 時節도 맛나미 어려니다

〔7:137ㄱ〕十四勸親覲佛
〔법화경〕 於是예 二子ㅣ 白父母言호 善哉父母하 願時往詣雲雷音宿王華智佛所샤 親近供養쇼셔 所以者何ㅣ어뇨 佛難得值ㅣ 如優曇鉢羅華시며 又如一眼之龜ㅣ 值浮木孔시니 而我等이 宿福이 深厚야 生值佛法오니 是故로 父母ㅣ 當聽我等샤 令得出家케쇼셔 所以者何ㅣ어뇨 諸佛이 難值시며 時亦難遇ㅣ실니다

〔법화경언해〕○〔7:137ㄴ〕이제 두 아리 父母 오 됴실쎠 父母하 願오 이제 雲雷音宿王華智佛 가샤 親近 供養쇼셔 엇뎨어뇨 부톄 시러 맛나옴 어려우시며 優曇鉢羅華ㅣ 시며   눈 거부비  나못 구무 맛남 시니 우리 아 福이 깁고 둗거워 生애 佛法을 맛나오니 이런로 父母ㅣ 반기 우릴 드르샤 出家 得게 쇼셔 엇뎨어뇨 諸佛이 맛나옴 어려우시며 〔7:138ㄱ〕時도  맛나미 어려울니다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4]
그때 두 아들이 부모님께 사뢰되, “좋습니다! 부모님이시여! 원하건대 이제 운뢰음숙왕화지불(雲雷音宿王華智佛)께 가셔 친근히 공양하소서. 어째서인가? 하면 부처님을 만남 어려움이 우담발라화(優曇鉢羅華)와 같으며 한 눈 가진 거북이 뜬 나무의 구멍 만남과 같으니 우리들이 예전의 복이 깊고 두터워 불법을 만났으니 이러므로 부모님이시여! 우리를 출가하게 해 주소서.”라고 하였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됴실쎠:좋습니다! 둏-[好]+(/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ㄹ쎠(감탄법 어미). 해당 원문은 ‘善哉’임. ¶大衆이  소리로 讚歎 됴실쎠〈월석 22:21ㄴ〉.
주002)
부모(父母)하:부모님이시여! 父母+하(존칭 호격조사). ¶父母하 出家 利益을 이제 마 得과다〈석상 11:37ㄴ〉.
주003)
우담발라화(優曇鉢羅華):uḍumbara 상과(桑科)에 딸린 무화과의 한 종. 학명은 Ficus Glomerata임. 나무 크기는 한 길 남짓하고 잎은 4~5촌. 뾰쪽한 끝이 가늘고, 꽃은 자웅의 구별이 있음. 3천 년 만에 한번 꽃이 핀다 하여, 아주 희유한 일에 비유함.
주004)
거부비:거북이. 거붑[龜]+이(주격조사). 거붑〉거북. ¶祖上애셔 仙道 닷거늘 靈 거부비 그리믈 지여 나니라〈능엄 3:76ㄱ〉.
주005)
:뜬. -[浮]+(/으)ㄴ(관형사형어미). ¶오직  더품 體 자바 일후믈 全潮ㅣ라 며〈능엄 2:19ㄱ〉.
주006)
구무:구멍. /구무[穴]. ‘구무’는 단독형이고, 조사를 취하면 ‘구무도, 구무마다, 구무와’를 제외하고 ‘굼기, 굼글, 굼근, 굼그로, 굼긔, 굼기라’와 같이 씌었음. ¶一切 터럭 구무마다 그지 업스며 數 업슨 비쳇 光明을 펴샤〈19:38ㄴ〉. 窟 굼기라〈월석 1:월석서21ㄱ〉.
주007)
맛나미 니:만남과 같으니. ‘-’는 주격조사를 지배하여, 여기서는 비교의 기능으로 씌었음.
주008)
둗거:두꺼워. 둗겁-[厚](ㅂ불규칙)+어(연결어미). 파생명사 ‘둗긔’는 현대국어 ‘두께’의 소급형이다. 이 ‘둗긔’와 ‘두텁다’란 어휘로 보아 기원적으로는 어근 ‘둩-’에 접미사 ‘-겁-’이나 ‘-업-’이 붙어서 형용사가 파생된 것으로 보임. 〈월석〉의 언해는 ‘두터’이고, 〈법화〉의 언해는 ‘둗거워’임. ¶ 婆鶯門의 리 前生ㅅ 福이 둗거 모다 恭敬며 行住坐臥애 諸天이 衛護더니〈월석 21:19ㄴ〉.
주009)
맛나니:만나니. 맛나-[遇]+//(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보조적 연결어미)#잇-[在]+(현재시상 선어말어미)+(/으)니(원인·이유의 연결어미). ¶命終 後에 二千億 부텨를 맛나니 다 號ㅣ 日月燈明이러시니〈석상 19:32ㄴ〉.
주010)
우리 출가(出家)케 쇼셔:우리를 출가하게 하소서. ‘케’는 ‘하게’의 축약으로 ‘게 -’는 사동 형식이다. ‘게 -’ 사동문의 피사역주는 주격, 목적격, 여격 또는 ‘로 여’ 등이 쓰이는데 여기서는 ‘’이 쓰였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