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②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2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2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2]
옷 주001)
옷:
홑. 하나의. 옷[單]. ¶獨 늘구 子息 업서 옷 모민 사미라〈석상 6:13ㄱ〉. 샤 옷 오 우믈 우희 더프면 즉자히 나니라〈구급방 하97ㄱ〉.
소리 聲이라 고
주002)
옷 소리 聲이라 고:
여기(옷 소·리· 聲·이·라 ·고〈석상21:19ㄴ〉)부터 마지막(圓 行··이 流通·리·라〈석상21:20ㄴ〉)까지는 관세음보살보문품의 첫 부분에 나오는 계환 주해(법화7:39ㄴ~40ㄱ)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계환스님이 본 관세음보살보문품의 개요에 해당하는 부분임. 『석보상절』 편집자들은 관세음보살보문품의 마지막에 배치시키고 있어 편집 의도를 엿볼 수 있는 부분임.

석보상절 21:20ㄱ

雜 소리 音이라 니 世間ㅅ 한 受苦 雜소리  보아 다 救샤 觀世音이시다 고 妙圓신 뎌기  로셔 내야 아니 應시  업스샤미 普門 이시니라 이 品을 몬졋 品에 니 니샨 주른 妙音이  現샤 說法샤 한 어려 일 救濟샤미 觀音과 다디 아니커신마 오직 젹고 普티 몯며 妙호 圓티 몯거시니와 觀音은 이 뎌게 나디 아니샤 주003)
관음(觀音)은 이 뎌게 나디 아니샤:
관음보살은 이와 같은 행적에서 벗어나지 않으시고. 해당 원문은 ‘觀音은 不離是行샤’임. 〈월석〉은 이 부분이 훼손되어서 언해의 존재 여부와 양상을 알 수 없고, 〈법화〉의 언해는 ‘觀音은 이 行을 여희디 아니샤’임.
能히 音聲을 보샤 소리 조차 大千을 對答샤 초 應샤미 去來相이 업스시니 니논 自在 業

석보상절 21:20ㄴ

과 普門로 나토아 뵈샤미 妙音에셔 나시건마 實엔 두 聖人이  道理샤 서르 始作과 괘 외실 미라 그럴 觀音ㅅ 德을 니샤 妙音을 조쳐 니시니 긔 두 聖人이  道理샨 주리오 妙音ㅅ 뎌그로셔 불어 普門이 외시니 이 서르 始作과 괘 외샤미라 몬졋 法을 體호려 뎬 모로매 두 行이 兼야 妙로셔 普샤 始作이 이시며 미 이신 후에 圓備릴 妙音을 니 普門品을 니르샤 圓 行이 流通리라】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낙장된 부분〉.

〔계환해〕〔7:39ㄴ〕單發이 爲聲이오 雜比ㅣ 爲音이니 於世間衆苦雜聲에 〔7:40ㄱ〕齊觀並救실 號ㅣ 觀世音이시고 妙圓之行이 自一心出샤 應無不遍실 號曰普門이시니 此 繼前品샤 說者 妙音이 現形說法시며 救濟衆難샤 與觀音과 無異샤 但略而未普시며 妙而未圓커시니와 觀音은 不離是行샤 而能觀其音聲샤 隨響而荅샤 大千에 圓應샤 無去來相 주004)
*
‘無去來之相’로 되어 있는 판본도 있음.
시니 所謂自在之業과 普門示現은 則進於妙音시니 其實은 二聖이 一道ㅣ샤 相爲始終耳실 故로 後에 頌觀音之德샤 而兼云妙音시니 是知二聖이 一道也ㅣ샷다 即妙音之行샤 而演爲普門시니 是知相爲始終也ㅣ샷다 夫欲體前之法샬뎬 須兼二行샤 從妙而普샤 有始有終신 然後에 주005)
*
영인본에는 ‘’로 되어 있음.
圓備시릴 故로 繼妙音샤 說普門品샤 爲圓行流通니라 文殊ㅣ 於華嚴會終애 現法化已시고 南歷人間샤 說普照法界修多羅門시니 所以圓彰前法體用〔7:41ㄱ〕이시니라 善財ㅣ 歷百城已야 到普門國야 成就阿僧祇法門야 遂能於諸有中에 普現其身니 斯皆以行으로 成德샤 使圓而普也ㅣ시니 觀彼設法次序건댄 名義ㅣ 與此宛同시니

〔계환해언해〕○〔7:41ㄱ〕옷 發니 聲이오 雜 모니 音이니 世間 한 受苦 雜소리예 기 보샤 다 救실 號ㅣ 觀世音이시고 妙圓 行이 一心을브터 나샤 應을 다 몯  업스실 號 오샤 普門이시니 이 前品을 니샤 니샤 妙音이 現形샤 說法시며 한 難 救濟샤 觀音과 달옴 업스샤 오직 畧고 넙디 몯시며 妙코 圓티 몯거시니와 觀音은 이 行을 여희디 아니샤 能히 그 音聲을 보샤 조차 響티 對答샤 大千에 圓히 應샤 가며 오시 相이 업스시니 니샨 自在신 業과 普門으로 뵈샤 妙音에 나시니 그 實은 二聖이  道ㅣ샤 서르 처 내 외실 미실 後에 觀音ㅅ 德 頌샤 妙音을 조쳐 니시니 이 두 聖이  道ㅣ신  아오리로다 妙音ㅅ 行애 나 가샤 불어 普門이 외시니 이 서르 처 내 외샤 아오리로다 알 法을 體코져 샬뗸 모로매 두 行 兼샤 妙 브터 普샤 처 겨시며 내 겨신 後에 두려이 시릴 妙音 니샤 普門品 니샤 圓行 流通이 외니라 文殊ㅣ 華嚴會 매 法化 나토시고 南녀그로 人間애 디나샤 普照 法界 修多羅門을 니시니 알 法의 體用 圓히 나토샤미라 善財ㅣ 百城 디나 普門國에 다라 阿僧祇 法門을 일워 能히 諸有 中에 그 모 너비 現니 이 다 行로 德 일우샤 圓코 넙게 샤미니 뎌 法 펴샨 次序 보건댄 일훔과 괘 이와 번드기 시니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2]
하나의 소리를 성(聲)이라 하고 섞인 것〔雜〕 많은 소리를 음(音)이라 하니 세간의 많은 고통을 당하는 잡된 소리를 함께 보아 다 구하심을 관세음이시다고 하고, 묘원(妙圓)하신 행적이 한 마음으로부터 내어 응하지 않으신 데가 없으심을 보문(普門)이시라고 한다. 이 〈관세음보살보문〉품을 앞의 〈묘음보살〉품에 이어서 말씀하신 것은 묘음보살이 모습을 나타내시어 〈중생들에게〉 설법하시어 많은 어려운 일을 구제하심이 관음보살과 다르지 아니하면서도 오직 〈중생들을 구제하시는 일의 양과 횟수가〉 적고 넓지 못하며 묘하되 원만하지 못하지만 관음보살은 이와 같은 행적에서 벗어나지 않으시고 음성을 능히 보시어 소리를 쫓아 대천세계에 대답하시어 갖추어 응하심에 거래상(去來相)이 없으시다. 〈관세음보살이〉 말씀하시는 업과 보문으로 나타내어 보이심이 묘음보살보다 나으시지만 실제엔 〈관세음보살과 묘음보살〉 두 성인이 한 도리이시어 서로 시작과 마침이 되실 따름이다. 그러므로 관음보살의 덕을 말씀하시되 묘음보살을 좇아 말씀하시니 그것은 두 성인이 하나의 도리이신 것이고, 묘음보살의 행적으로서 연설하시어 보문(普門)이 되시니 이것이 서로 시작과 마침이 되시는 것이다. 앞의 법을 체(體)하려 하면 모름지기 두 행(行)을 겸하여 묘(妙)로서 보(普)하시어 시작이 있으며 마침이 있은 후에야 원만히 갖출 것이므로 묘음〈보살품〉을 이어 〈관세음보살〉보문품을 일으키시어야 원만한 행이 유통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옷:홑. 하나의. 옷[單]. ¶獨 늘구 子息 업서 옷 모민 사미라〈석상 6:13ㄱ〉. 샤 옷 오 우믈 우희 더프면 즉자히 나니라〈구급방 하97ㄱ〉.
주002)
옷 소리 聲이라 고:여기(옷 소·리· 聲·이·라 ·고〈석상21:19ㄴ〉)부터 마지막(圓 行··이 流通·리·라〈석상21:20ㄴ〉)까지는 관세음보살보문품의 첫 부분에 나오는 계환 주해(법화7:39ㄴ~40ㄱ)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계환스님이 본 관세음보살보문품의 개요에 해당하는 부분임. 『석보상절』 편집자들은 관세음보살보문품의 마지막에 배치시키고 있어 편집 의도를 엿볼 수 있는 부분임.
주003)
관음(觀音)은 이 뎌게 나디 아니샤:관음보살은 이와 같은 행적에서 벗어나지 않으시고. 해당 원문은 ‘觀音은 不離是行샤’임. 〈월석〉은 이 부분이 훼손되어서 언해의 존재 여부와 양상을 알 수 없고, 〈법화〉의 언해는 ‘觀音은 이 行을 여희디 아니샤’임.
주004)
*‘無去來之相’로 되어 있는 판본도 있음.
주005)
*영인본에는 ‘’로 되어 있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