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8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8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8]
그저긔 妙莊嚴王부텻 이러틋 주001)
이러틋:
이렇듯. 이러-+듯-[如]+(/으)ㄴ(관형사형어미).
無量百千萬億 功德을 讚歎고 如來ㅅ 알 一心로 合掌  부텨 주002)
: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오/우(연결어미). 종성 ‘ㅂ’이 다음에 이어지는 음운환경에 따라 ‘ㅂ/ㅸ’으로 교체되는바, 이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ㅂ’ 종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모음어미 앞에서 ‘ㅸ’ 로 변동되는 것을 이형태로 설명하는 것이고, 둘째는 ‘ㅸ’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잡고, 자음어미 앞에서 ‘ㅂ’으로 교체되는 것을 끝소리규칙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전자를 취하여 ㅂ불규칙으로 처리함.
世尊하 녜 업스샤다 주003)
업스샤다:
없으십니다. 없-[無]+(/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옷(감동법의 선어말어미) +(/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十方 如來도 後에 반기 煩惱시리샤다〈원각 상1의1:10ㄴ〉.
如來ㅅ 法이 不可思議 微妙 功德을 초 주004)
초:
갖추어. (평-거, 부사). -[具]+오/우(부사파생접미사). ¶七寶로 莊嚴고 못과 곳과 果實왜 다 초 잇더니〈석상 6:31ㄴ〉.
일우

석보상절 21:47ㄴ

치샨 뎌기 주005)
뎌기:
행적(行跡/行蹟)이. 뎍(行蹟)+이. 한자어 ‘行蹟’이 정착되면서 한글로 표기됨. ¶梵은 조 뎌기라 혼 디니〈월석 1:20ㄱ〉.
便安며  됴다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90ㄱ

그 妙莊嚴王부텻 이트렛 無量 百千萬

월인석보 19:90ㄴ

億 功德을 讚歎고 如來ㅅ 알 一心合掌야  부텨  世尊이 아 잇디 아니샤 如來ㅅ 法이 不可思議 微妙 功德을 초 일우샤 敎戒 行시논 배 安隱快善도소다

월인석보 19:91ㄱ

【알 福報 讚歎시고 이 法化 讚歎시니라 초 일우시다 샤 모미  번 正法 듣고 能히 邪 두르며  번 三昧 得고 能히 神變시니 이 如來ㅅ 法이 能히 不可思議 微妙 功德을 초 일우샤미라 敎戒 行시논 배 安隱快善타 샤 法化 닙 깃거 일우오 慶賀시니라】

〔법화경〕 〔7:148ㄴ〕爾時妙莊嚴王이 讚歎佛如是等無量百千萬億功德已고 於如來前에 一心合掌야 復白言오 世尊이 未曾有也샤 如來之法이 具足成就不可思議微妙功德샤 教誡所行이 安隱快善시니

〔법화경언해〕○그 妙莊嚴王부텻 이러틋〔7:149ㄱ〕無量 百千萬億 功德을 讚歎고 如來ㅅ 알 一心 合掌야  부텻긔 오 世尊이 아 잇디 아니샤 如來ㅅ 法이 不可思議 微妙 功德을 초 일우샤 敎戒 行샤미 便安코 훤히 됴시니

〔계환해〕前은 讚福報시고 此 讚法化也시니라 言具足成就等者 以己ㅣ 一聞正法시고 遂能轉邪시며 一得三昧시고 遂能神變시니 是如來之法이 能具足成就不可思議妙功德也ㅣ라 言教戒所行이 安隱快善〔7:149ㄴ〕者 喜蒙法化샤 慶所成就也ㅣ라

〔계환해언해〕○알 福報 讚歎시고 이 法化 讚歎시니라 초 일우시다 니샴 모미  번 正法 듣오시고 能히 邪 두르시며  번 三昧 得시고 能히 神變시니 이 如來ㅅ 法이 能히 不可思議 妙功德을 초 일우샤미라 敎戒 行호미 便安코 훤히 됴시다 니샤 法化 닙오 깃그샤 일운 이 慶賀샤미라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28]
그때 묘장엄왕부처님의 이러한 무량 백천만억 공덕을 찬탄하고 여래의 앞에 일심으로 합장하여 또 부처님께 사뢰되, “세존이 옛날에는 없으십니다. 여래의 법이 불가사의한 미묘한 공덕을 갖추어 이루시어 가르치신 행적이 편안하며 매우 좋습니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러틋:이렇듯. 이러-+듯-[如]+(/으)ㄴ(관형사형어미).
주002)
:사뢰되. 여쭈되. 여쭈기를. -[白](ㅂ불규칙)+오/우(연결어미). 종성 ‘ㅂ’이 다음에 이어지는 음운환경에 따라 ‘ㅂ/ㅸ’으로 교체되는바, 이 현상을 설명하는 방법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ㅂ’ 종성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보고, 모음어미 앞에서 ‘ㅸ’ 로 변동되는 것을 이형태로 설명하는 것이고, 둘째는 ‘ㅸ’으로 나타나는 경우를 기본형으로 잡고, 자음어미 앞에서 ‘ㅂ’으로 교체되는 것을 끝소리규칙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전자를 취하여 ㅂ불규칙으로 처리함.
주003)
업스샤다:없으십니다. 없-[無]+(/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옷(감동법의 선어말어미) +(/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十方 如來도 後에 반기 煩惱시리샤다〈원각 상1의1:10ㄴ〉.
주004)
초:갖추어. (평-거, 부사). -[具]+오/우(부사파생접미사). ¶七寶로 莊嚴고 못과 곳과 果實왜 다 초 잇더니〈석상 6:31ㄴ〉.
주005)
뎌기:행적(行跡/行蹟)이. 뎍(行蹟)+이. 한자어 ‘行蹟’이 정착되면서 한글로 표기됨. ¶梵은 조 뎌기라 혼 디니〈월석 1:20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