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관세음보살이 석존과 다보불에게 영락을 공양함
  • 관세음보살이 석존과 다보불에게 영락을 공양함 1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세음보살이 석존과 다보불에게 영락을 공양함 1


[관세음보살이 석존과 다보불에게 영락을 공양함 1]
無盡意菩薩부텨 샤 世尊하 내 이제 觀世音菩薩供養호리다 주001)
공양(供養)호리다:
공양하겠습니다. 공양-+오/우(의도의 선어말어미)+(/으)리(의지의 선어말어미)+(/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그저긧 燈照王이 普光佛을 請 供養호리라〈월석 1:9ㄱ〉.
시고 즉자히 모 한 寶珠瓔珞이

석보상절 21:17ㄱ

비디 百千兩金 주002)
보주(寶珠) 영락(瓔珞)이 비디 백천(百千) 양금(兩金) 니:
寶珠 瓔珞이 값이 百千 兩金 나가는 것을. 값이 백천 금이 나가는 많은 보주 영락을. 해당 원문은 ‘衆寶珠瓔珞이 價直百千兩金샤’임. 〈월석〉의 언해는 ‘衆寶珠瓔珞이 갑시 百千兩金 니’이고, 〈법화〉의 언해는 ‘衆寶珠 瓔珞이 갑시 百千 兩金이 닐’임.
니 주003)
니:
값이 나가는 것을. -〔(高)價]+(/으)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목적격조사). 〈석상 21:41ㄴ〉 참조. ¶眞珠 瓔珞이 갑시 千萬이 니로 모매 莊嚴고〈월석 13:11ㄴ〉.
글어 받고 샤 仁者ㅣ 이 法施 주004)
법시(法施):
dharma-dāna 불법을 남에게 베풀어 주는 것. 어리석은 사람들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알려서 깨닫게 해 주는 것을 말함. 3종 보시 중의 하나임.
옛 珍寶瓔珞 바쇼셔 妙音釋迦 供養샤 瓔珞 받시고 無盡觀音 供養샤  瓔珞 받시니 주005)
받시니:
바치시니. 받-[奉]+//(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니(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에 대해서는 ‘향(向)〈1ㄱ〉’ 항목 참조. ¶五百 銀 도로 다 줄깃 蓮花 사아 錠光佛 받 쩌긔〈석상 6:8ㄱ〉.
法寶莊嚴나토실 주006)
나토실:
나타내므로. 나토-[現/表]+(/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 ‘나토-’는 ‘낱-’과 ‘-오-’로 이루어진 사동사임. ¶그저 더러 거긔셔 微妙 法을 나토며〈석상 13:33ㄴ〉.
法施라 니라】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39ㄱ

無盡意菩薩부텻긔 샤 世尊하 내 이제

월인석보 19:39ㄴ

世音菩薩
 供養리다 고 즉재 모 衆寶珠瓔珞이 갑시 百千兩金 니 글어 받시고 샤 仁者ㅣ 이 法施 珍寶瓔珞 바쇼셔妙音釋迦 供養 제 各別히 瓔珞 받시며 無盡觀音 供養

월인석보 19:40ㄱ

 제  瓔珞 받샤 다 法寶莊嚴을 表실 法施라 시니라】

〔7:81ㄴ〕六無盡興供
〔법화경〕 無盡意菩薩이 白言샤 世尊하 我今에 當供養觀世音菩薩오리다시고 即觧頸엣 衆寶珠瓔珞이 價直百千兩金샤 而以與之시고 作是言샤 仁者ㅣ 受此法施珎寶瓔珞쇼셔

〔법화경언해〕○〔7:82ㄱ〕無盡意菩薩부텻긔 오샤 世尊하 내 이제 반기 觀世音菩薩을 供養오리다 시고 즉재 모 衆寶珠 瓔珞이 갑시 百千 兩金이 닐 그르샤 받오시고 이 마 샤 仁者ㅣ 이 法施옛 珍寶 瓔珞을 바쇼셔

〔계환해〕〔7:82ㄴ〕妙音이 供養釋迦애 特奉纓珞시고 無盡이 供養觀音에 亦奉纓珞은 皆表法寶莊嚴이시니 故로 曰法施라시니라

〔계환해언해〕○妙音釋迦 供養오샤매 特別히 瓔珞을 받오시고 無盡觀音 供養샤매  瓔珞을 받오샤 다 法寶 莊嚴을 表시니 그럴 法施라 니시니라

[관세음보살이 석존과 다보불에게 영락을 공양함 1]
무진의보살부처님께 사뢰되, “세존이시여! 제가 이제 관세음보살을 공양하겠습니다” 하고, 즉시 목에 찬 백천 금의 값이 나가는 많은 보주 영락을 끌러 바치고 사뢰되, “그대는 이 법시(法施)의 진보(珍寶) 영략(瓔珞)을 받으십시오.”묘음보살석가모니를 공양하시되 영락을 바치시고 무진보살관세음보살을 공양하시되 또 영락을 바치시니 법보장엄(法寶莊嚴)을 나타내므로 법시(法施)라 한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공양(供養)호리다:공양하겠습니다. 공양-+오/우(의도의 선어말어미)+(/으)리(의지의 선어말어미)+(/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설명법 종결어미). ¶그저긧 燈照王이 普光佛을 請 供養호리라〈월석 1:9ㄱ〉.
주002)
보주(寶珠) 영락(瓔珞)이 비디 백천(百千) 양금(兩金) 니:寶珠 瓔珞이 값이 百千 兩金 나가는 것을. 값이 백천 금이 나가는 많은 보주 영락을. 해당 원문은 ‘衆寶珠瓔珞이 價直百千兩金샤’임. 〈월석〉의 언해는 ‘衆寶珠瓔珞이 갑시 百千兩金 니’이고, 〈법화〉의 언해는 ‘衆寶珠 瓔珞이 갑시 百千 兩金이 닐’임.
주003)
니:값이 나가는 것을. -〔(高)價]+(/으)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목적격조사). 〈석상 21:41ㄴ〉 참조. ¶眞珠 瓔珞이 갑시 千萬이 니로 모매 莊嚴고〈월석 13:11ㄴ〉.
주004)
법시(法施):dharma-dāna 불법을 남에게 베풀어 주는 것. 어리석은 사람들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알려서 깨닫게 해 주는 것을 말함. 3종 보시 중의 하나임.
주005)
받시니:바치시니. 받-[奉]+//(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니(원인·이유의 연결어미). ‘-//-’에 대해서는 ‘향(向)〈1ㄱ〉’ 항목 참조. ¶五百 銀 도로 다 줄깃 蓮花 사아 錠光佛 받 쩌긔〈석상 6:8ㄱ〉.
주006)
나토실:나타내므로. 나토-[現/表]+(/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ㄹ(원인·이유의 연결어미). ‘나토-’는 ‘낱-’과 ‘-오-’로 이루어진 사동사임. ¶그저 더러 거긔셔 微妙 法을 나토며〈석상 13:33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