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5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5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5]
그 뎌 부톄 妙莊嚴王

석보상절 21:35ㄴ

引導고져 시며 주001)
인도(引導)고져 시며:
인도(引導)하고자 하시며. 引導-+고져(의향의 연결어미). 해당 원문은 ‘欲引導妙莊嚴王시며’임. 〈월석〉과 〈법화〉는 ‘引導코져 시며’로 언해하였음. 〈석보〉는 ‘고져’로, 〈월석〉과 〈법화〉는 ‘코져’로 축약되었음.
 衆生 어엿비 주002)
어엿비:
가엾게. 어엿비(상-평-거, 부사)[憫]. 형용사 ‘어엿브-+이(부사파생접미사)’로 파생됨.
너기시논 젼로 주003)
젼로:
까닭으로. 젼[因]+로(원인의 부사격조사). ¶이런 젼로 어린 百姓이 니르고져  배 이셔도〈훈언 2ㄱ〉.
法華經을 니르시더니 그저긔 淨藏 淨眼 두 아리 어마긔 주004)
어마긔 ~어마니미:
전자는 호칭어이며 후자는 지칭어인데 〈월석〉에는 각각 ‘어게’와 ‘어마니미’, ‘어마님’와 ‘어마니미’로 언해되어 있음. 〈석상〉은 호칭어와 지칭어를 구분하지 않고 ‘어마님’으로 언해한 데 대하여 〈월석〉은 ‘엄’과 ‘어마님’, 〈법화〉는 둘 다 ‘어마님’으로 언해하였음. 〈월석〉의 ‘엄’은 현대국어 ‘어머니’의 원형적인 모습임.
가 合掌야  주005)
:
사뢰되. 여쭈되. -[白](ㅂ불규칙)+오/우~로(양보·설명의 연결어미).
願 주006)
원(願):
원하건대. 願-+(/으)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으)ㄴ(주제 보조사).
어마니미 주007)
어마긔 ~어마니미:
전자는 호칭어이며 후자는 지칭어인데 〈월석〉에는 각각 ‘어게’와 ‘어마니미’, ‘어마님’와 ‘어마니미’로 언해되어 있음. 〈석상〉은 호칭어와 지칭어를 구분하지 않고 ‘어마님’으로 언해한 데 대하여 〈월석〉은 ‘엄’과 ‘어마님’, 〈법화〉는 둘 다 ‘어마님’으로 언해하였음. 〈월석〉의 ‘엄’은 현대국어 ‘어머니’의 원형적인 모습임.
雲雷音宿王 華智佛가쇼셔 주008)
가쇼셔:
가소서. 가-+쇼셔(‘쇼셔’체의 명령형 어미). ¶世尊하 願 니르쇼셔 願 니르쇼셔〈석상 13:45ㄴ〉.
우리토 졷 주009)
졷:
뒤따라. 좇-[從]+//(객체 높임의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졷-’은 8종성표기임.
親近히 供養 주010)
공양(供養):
공양(供養)하여. 供養-[爲]+//(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야/여(연결어미). ¶열  觀自在菩薩ㅅ 相 라 供養 일 니샨 經이라〈석상 6:44ㄱ〉.
저지

석보상절 21:36ㄱ

주011)
저지다:
절하고 싶습니다. 절-[拜]+//(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보조적 연결어미)#지-(願)+(/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나 부텨 說法시며 니더신  뵈쇼셔 가 供養야 저지다〈월석 25:98ㄴ〉.
엇뎨어뇨 란 주012)
엇뎨어뇨 란:
어째서인가 하면. 엇뎌/엇뎨+ㅣ/Ø(서술격조사)+어+뇨#-+란(조건, 가정의 연결어미). ¶엇뎨어뇨 란 如來 方便波羅蜜와 知見波羅蜜왜 다 니라〈석상 13:39ㄱ〉.
부톄 一切天人衆 中에 法華經을 니시니 듣 受 리다 주013)
리다:
할 것입니다. -+(/으)리(추측·의지의 선어말어미)+(/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이 經을 닐거 외오며 五色 실로 우리 일후믈 자 제 願을 일운 後에 글어 리다〈석상 9:40ㄴ〉.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75ㄴ

그 뎌 부톄 妙莊嚴王 引導코져 시며  衆生 어엿비 너기샤 이 法華經을 니더

월인석보 19:76ㄱ

시니 그 淨藏 淨眼 두 아리 어게 가 열 가락 마초아 닐오 願 어마니미 雲雷音宿王華智佛 가쇼셔 우리〔도〕 〔뫼〕〔〕〔〕 가 親近 供養〔〕 〔저〕〔〕〔〕〔지〕다 엇뎨어뇨 란 이 〔부〕〔톄〕 〔一〕〔切〕 天人衆 中에

월인석보 19:76ㄴ

〔法〕〔華〕〔經〕을 니시니 듣 〔受〕〔〕〔〕〔〕 리다

〔7:131ㄴ〕四宿王說經
〔법화경〕 爾時彼이 欲引導妙莊嚴王시며 及愍念衆生故로 說是法華經시더니

〔7:132ㄱ〕五二子勸母
〔법화경〕 時예 淨藏 淨眼二子ㅣ 到其母所야 合十指爪掌야 白言호 願母ㅣ 往詣雲雷音宿王華智佛所쇼셔 我等도 亦當侍從와 親近供養禮拜와지다 所以者何ㅣ어뇨 此佛이 於一切天人衆中에 說法華經시니 宜應聽受ㅣ시니다

〔법화경언해〕○그 뎌 부톄 妙莊嚴王 引導코져 시며  衆生 〔7:132ㄴ〕어엿비 너기시논 젼로 이 法華經을 니시더니 그제 淨藏 淨眼 두 아리 어마님 가 열 가락 톱 바 마초아 오 願오 어마니미 雲雷音宿王華智佛 가쇼셔 우리도  반기 뫼와 좃와 親近히 供養와 저와지다 엇뎨어뇨 이 부톄 一切 天人衆 中에 法華經을 니시니 聽受오미 올시니다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5]
그때 저 부처님묘장엄왕을 인도하고자 하시며, 또 중생을 불쌍히 여기시기 때문에 이 법화경을 일으키셨다. 그때 정장정안 두 아들이 어머님께 가 합장하여 사뢰되, “원(願)하건대, 어머님이 운뢰음숙왕화지불(雲雷音宿王華智佛)께 가소서. 우리들도 쫓아가 친근히 공양하여 절하고 싶습니다. 어째서인가 하면 이 부처님이 일체 천인의 무리 중에 법화경을 말씀하시니 듣고 받들어야 하겠습니다.”라고 하셨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인도(引導)고져 시며:인도(引導)하고자 하시며. 引導-+고져(의향의 연결어미). 해당 원문은 ‘欲引導妙莊嚴王시며’임. 〈월석〉과 〈법화〉는 ‘引導코져 시며’로 언해하였음. 〈석보〉는 ‘고져’로, 〈월석〉과 〈법화〉는 ‘코져’로 축약되었음.
주002)
어엿비:가엾게. 어엿비(상-평-거, 부사)[憫]. 형용사 ‘어엿브-+이(부사파생접미사)’로 파생됨.
주003)
젼로:까닭으로. 젼[因]+로(원인의 부사격조사). ¶이런 젼로 어린 百姓이 니르고져  배 이셔도〈훈언 2ㄱ〉.
주004)
어마긔 ~어마니미:전자는 호칭어이며 후자는 지칭어인데 〈월석〉에는 각각 ‘어게’와 ‘어마니미’, ‘어마님’와 ‘어마니미’로 언해되어 있음. 〈석상〉은 호칭어와 지칭어를 구분하지 않고 ‘어마님’으로 언해한 데 대하여 〈월석〉은 ‘엄’과 ‘어마님’, 〈법화〉는 둘 다 ‘어마님’으로 언해하였음. 〈월석〉의 ‘엄’은 현대국어 ‘어머니’의 원형적인 모습임.
주005)
:사뢰되. 여쭈되. -[白](ㅂ불규칙)+오/우~로(양보·설명의 연결어미).
주006)
원(願):원하건대. 願-+(/으)ㄴ(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으)ㄴ(주제 보조사).
주007)
어마긔 ~어마니미:전자는 호칭어이며 후자는 지칭어인데 〈월석〉에는 각각 ‘어게’와 ‘어마니미’, ‘어마님’와 ‘어마니미’로 언해되어 있음. 〈석상〉은 호칭어와 지칭어를 구분하지 않고 ‘어마님’으로 언해한 데 대하여 〈월석〉은 ‘엄’과 ‘어마님’, 〈법화〉는 둘 다 ‘어마님’으로 언해하였음. 〈월석〉의 ‘엄’은 현대국어 ‘어머니’의 원형적인 모습임.
주008)
가쇼셔:가소서. 가-+쇼셔(‘쇼셔’체의 명령형 어미). ¶世尊하 願 니르쇼셔 願 니르쇼셔〈석상 13:45ㄴ〉.
주009)
졷:뒤따라. 좇-[從]+//(객체 높임의 선어말어미)+아/어(연결어미). ‘졷-’은 8종성표기임.
주010)
공양(供養):공양(供養)하여. 供養-[爲]+//(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야/여(연결어미). ¶열  觀自在菩薩ㅅ 相 라 供養 일 니샨 經이라〈석상 6:44ㄱ〉.
주011)
저지다:절하고 싶습니다. 절-[拜]+//(객체높임 선어말어미)+아/어(보조적 연결어미)#지-(願)+(/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나 부텨 說法시며 니더신  뵈쇼셔 가 供養야 저지다〈월석 25:98ㄴ〉.
주012)
엇뎨어뇨 란:어째서인가 하면. 엇뎌/엇뎨+ㅣ/Ø(서술격조사)+어+뇨#-+란(조건, 가정의 연결어미). ¶엇뎨어뇨 란 如來 方便波羅蜜와 知見波羅蜜왜 다 니라〈석상 13:39ㄱ〉.
주013)
리다:할 것입니다. -+(/으)리(추측·의지의 선어말어미)+(/으)(상대높임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이 經을 닐거 외오며 五色 실로 우리 일후믈 자 제 願을 일운 後에 글어 리다〈석상 9:40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