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6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6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6]
부톄 普賢菩薩끠 니샤 善男

석보상절 21:51ㄱ

子 善女人이 네 가짓 法 주001)
네 가짓 법(法):
여래가 멸도한 후에 법화경을 얻을 수 있는 네 가지 법. 이 네 가지 법은 제불(諸佛)의 호념(護念)을 받는 것, 중덕본(衆德本)을 심는 것, 정정취(正定聚)에 드는 것, 일체(一切) 중생(衆生)의 마음을 구하는 것임.
일우면 주002)
일우면:
이루면. 일우-[成](평-거)+(/으)면(가정의 연결어미). ¶나랏 菩薩이  업슨 辨才 몯 일우면 正覺 일우디 아니호리다〈월석 8:63ㄴ〉.
如來 滅度신 後에 이 法華經을 得리니 나 諸佛護念샤 미욀 주003)
욀:
될. 외-[作]+(/으)ㄹ(관형사형어미). ¶化人 世尊ㅅ 神力으로 외의 샨 사미라〈석상 6:7ㄴ〉. 이 世界 고텨  저긔 初禪이 조차 고텨 욀〈월석 1:38ㄴ〉.
씨오
주004)
제불(諸佛) 호념(護念)샤미 욀 씨오:
제불의 호념을 받는 것이고. 해당 원문은 ‘爲諸佛護念이오’임. 원문은 ‘爲’ 피동문임. 〈월석〉의 언해는 ‘諸佛이 護念샤미오’이고, 〈법화〉의 언해는 ‘諸佛 護念샴 외요미오’임. 원래 피동문인 한문 원문에 대해 〈석상〉은 피동으로 언해하였고, 〈월석〉은 능동으로 언해하였으며, 〈법화〉는 다시 피동으로 언해한 예에 해당함.
둘흔 한 德根源을 시믈 주005)
시믈:
심을. -/시므-[植]+(/으)ㄹ(관형사형어미). 이 동사는 모음어미 앞에서는 ‘-’으로 자음어미 앞에서는 ‘시므 -’로 교체를 보임. ¶植은 시믈 씨라〈월석 1 월석서24ㄴ〉.
씨오 세흔 正 주006)
정(定):
samādhi 사마디(삼매)의 번역어. 들뜨거나 가라앉은 마음을 모두 떠나 평온한 마음을 견지하는 것. 산란됨이 없이 집중된 마음의 상태를 뜻함. 불교에서 수행을 통해 얻고자 하는 지혜는 흩어짐이 없이 편안하고 고요한 마음의 상태에서 비롯되므로, 삼매의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선원(禪院)에서 스님들이 좌선(坐禪)하거나 선정(禪定) 수행을 닦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삼매를 통해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것이다. 동의어로 삼마지(三摩地), 삼마제(三摩提) 등이 있음.
聚에 들 씨오 【正定은 正 定이오 聚는 모 주007)
모:
모이는. 몯-[聚/會]+(관형사형어미). ¶大集 키 모 씨니〈석상 6:46ㄱ〉.
씨라】
네흔 一切衆生 救홀  낼 씨니 善男

석보상절 21:51ㄴ

子 善女人이 이 네 法을 일우면 如來 滅度 後에 이 經을 得리라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102ㄱ

부톄 普賢菩薩려 니샤 善男子ㅣ어나 善女人이어나 四法을 일워 如來 滅後에 이 法華經을 得리니 

월인석보 19:102ㄴ

나 諸佛이 護念샤미오 둘흔 한 德本 심구미오 세 正定聚예 드로미오 네 救一切衆生心 發호미라 善男子 善女人이 이티 四法을 일우면 如來 滅後에 반기 이 經을 得리라

월인석보 19:103ㄱ

부텨 護念샤 道ㅣ 佛心에 마 〔씨〕〔오〕 한 德本 심구믄 福慧 두 가지 일울 씨오 正定聚예 드로 佛妙體 體호미오 救生心 發호 佛妙行 行호미라 四法이 이러 能히 이 經을 眞實로 得야 普賢常行 일우리라】

〔7:164ㄴ〕三示普賢行
〔법화경〕 普賢菩薩샤 若善男子善女人이 成就四法야 於如來滅後에 當得是法華經리니 一者 爲諸佛護念이오 二者 植衆德本이오 三者 入正定聚오 四者 發救一切衆生之心이라 善男子善女人이 如是成就四法야 於如來滅後에 必得是經리라

〔법화경언해〕○부톄 普賢菩薩려 니샤 다가 善男子 善女人이 四法을 일워 如來 滅後에 〔7:166ㄱ〕반기 이 法華經을 得리니 나 諸佛 護念샴 외요미오 둘흔 한 德本 심고미오 세흔 正定聚예 드로미오 네흔 一切 衆生 救홀  發호미라 善男子 善女人이 이티 四法을 일워 如來 滅後에 반기 이 經을 得리라

〔계환해〕爲護念은 謂道契佛心시고 植衆德本은 謂福慧兩辦시고 入正定聚 即體佛妙體也ㅣ오 發救生心은 即行佛妙行也ㅣ니 四法을 成就야 乃能眞得是經야 以成普賢常行리라

〔계환해언해〕○부텻 護念샴 외요 道ㅣ 佛心에 〔7:166ㄴ〕마조 니시고 한 德本 심구 福 慧 둘히 이로 니시고 正定聚예 드로 곧 부텻 妙體 體호미오 衆生 救홀  發호 곧 부텻 妙行 行호미니 四法을 일워 能히 이 經을 眞實로 得야 普賢 常行 일우리라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6]
부처님께서 보현보살께 말씀하시되, “선남자 선여인이 네 가지의 법을 이루면 여래 멸도하신 후에 이 법화경을 얻을 것이니 〈네 가지 법 중〉 하나는 제불의 호념(護念)을 받는 것이고, 둘은 많은 덕의 근원을 심는 것이고, 셋은 정정취(正定聚)에 드는 것이고,【정정(正定)은 바른 정(삼매)이고, 취(聚)는 모으는 것이다.】 넷은 일체 중생을 구할 마음을 내는 것이니, 선남자, 선여인이 이 네 가지 법을 이루면 여래 멸도한 후에 이 경을 얻을 것이다.”라고 하셨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네 가짓 법(法):여래가 멸도한 후에 법화경을 얻을 수 있는 네 가지 법. 이 네 가지 법은 제불(諸佛)의 호념(護念)을 받는 것, 중덕본(衆德本)을 심는 것, 정정취(正定聚)에 드는 것, 일체(一切) 중생(衆生)의 마음을 구하는 것임.
주002)
일우면:이루면. 일우-[成](평-거)+(/으)면(가정의 연결어미). ¶나랏 菩薩이  업슨 辨才 몯 일우면 正覺 일우디 아니호리다〈월석 8:63ㄴ〉.
주003)
욀:될. 외-[作]+(/으)ㄹ(관형사형어미). ¶化人 世尊ㅅ 神力으로 외의 샨 사미라〈석상 6:7ㄴ〉. 이 世界 고텨  저긔 初禪이 조차 고텨 욀〈월석 1:38ㄴ〉.
주004)
제불(諸佛) 호념(護念)샤미 욀 씨오:제불의 호념을 받는 것이고. 해당 원문은 ‘爲諸佛護念이오’임. 원문은 ‘爲’ 피동문임. 〈월석〉의 언해는 ‘諸佛이 護念샤미오’이고, 〈법화〉의 언해는 ‘諸佛 護念샴 외요미오’임. 원래 피동문인 한문 원문에 대해 〈석상〉은 피동으로 언해하였고, 〈월석〉은 능동으로 언해하였으며, 〈법화〉는 다시 피동으로 언해한 예에 해당함.
주005)
시믈:심을. -/시므-[植]+(/으)ㄹ(관형사형어미). 이 동사는 모음어미 앞에서는 ‘-’으로 자음어미 앞에서는 ‘시므 -’로 교체를 보임. ¶植은 시믈 씨라〈월석 1 월석서24ㄴ〉.
주006)
정(定):samādhi 사마디(삼매)의 번역어. 들뜨거나 가라앉은 마음을 모두 떠나 평온한 마음을 견지하는 것. 산란됨이 없이 집중된 마음의 상태를 뜻함. 불교에서 수행을 통해 얻고자 하는 지혜는 흩어짐이 없이 편안하고 고요한 마음의 상태에서 비롯되므로, 삼매의 상태는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선원(禪院)에서 스님들이 좌선(坐禪)하거나 선정(禪定) 수행을 닦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삼매를 통해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것이다. 동의어로 삼마지(三摩地), 삼마제(三摩提) 등이 있음.
주007)
모:모이는. 몯-[聚/會]+(관형사형어미). ¶大集 키 모 씨니〈석상 6:46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