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8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8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8]
그 부톄 王 위사 說法샤 利益 주001)
이익(利益)외며:
이익되며. 이익이 되게 하며. ‘이익(利益)’과 ‘외다’는 주술 관계로 볼 가능성도 있으나 ‘利益외-’가 한 단어일 가능성도 있다. 만일 후자가 맞다면 ‘외-’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초기의 합성어 용례가 됨.
외며 깃븐 주002)
깃븐:
기쁜. -[喜]+브(형용사 파생접미사)+(/으)ㄴ(관형사형어미). ¶須達이 부텨와 괏 마 듣고 소홈 도텨 自然히 매 깃븐 디 이실〈석상 6:16ㄴ〉.
일 뵈야 치신대 주003)
치신대:
가리키시니. 치-[指,敎]+(/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ㄴ대(조건의 연결어미).
王이  깃거니라 주004)
깃거니라:
기뻐하니라. 깃거-[喜](평-거-거, 동사)+(/으)니(원칙법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본래 ‘-[喜](평성)’만으로 ‘깃거(기뻐하여), 깃그시니(기뻐하시니), 깃니(기뻐하오시니)’와 같이 활용되었으나, ‘-+아/어(보조적 연결어미)#-(접미사)’로 새로운 어간이 형성되어 쓰였음. ‘슳다~싫어하다’도 동일한 관계에 해당함. 〈월석〉과 〈법화〉는 ‘깃그니라’로 언해하였음. ¶아 受苦 버수믈 간 깃거니라〈월석 12:29ㄱ〉.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83ㄴ

그 뎌 부톄 王 爲야 說法샤 利喜 뵈야 치신대 王이  깃그니라

〔7:141ㄱ〕十七佛爲說法
〔법화경〕 爾時彼이 爲王說法샤 示教利喜신대 王이 大歡悅니라

〔법화경언해〕○그 뎌 부톄 王 爲야 說法샤 示敎利喜신대 王이  깃그니라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8]
그때 부처님〈묘장엄〉왕을 위하시어 설법하시고, 이익되며 기쁜 일을 보여 가르치시니, 왕이 매우 기뻐하였다.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익(利益)외며:이익되며. 이익이 되게 하며. ‘이익(利益)’과 ‘외다’는 주술 관계로 볼 가능성도 있으나 ‘利益외-’가 한 단어일 가능성도 있다. 만일 후자가 맞다면 ‘외-’로 이루어지는 비교적 초기의 합성어 용례가 됨.
주002)
깃븐:기쁜. -[喜]+브(형용사 파생접미사)+(/으)ㄴ(관형사형어미). ¶須達이 부텨와 괏 마 듣고 소홈 도텨 自然히 매 깃븐 디 이실〈석상 6:16ㄴ〉.
주003)
치신대:가리키시니. 치-[指,敎]+(/으)시(주체높임 선어말어미)+(/으)ㄴ대(조건의 연결어미).
주004)
깃거니라:기뻐하니라. 깃거-[喜](평-거-거, 동사)+(/으)니(원칙법 선어말어미)+다/라(설명법 종결어미). 본래 ‘-[喜](평성)’만으로 ‘깃거(기뻐하여), 깃그시니(기뻐하시니), 깃니(기뻐하오시니)’와 같이 활용되었으나, ‘-+아/어(보조적 연결어미)#-(접미사)’로 새로운 어간이 형성되어 쓰였음. ‘슳다~싫어하다’도 동일한 관계에 해당함. 〈월석〉과 〈법화〉는 ‘깃그니라’로 언해하였음. ¶아 受苦 버수믈 간 깃거니라〈월석 12:29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