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법화경을 수지·독송하는 이익과 비방하는 죄보에 대한 석존의 설법
  • 법화경을 수지·독송하는 이익과 비방하는 죄보에 대한 석존의 설법 3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화경을 수지·독송하는 이익과 비방하는 죄보에 대한 석존의 설법 3


[법화경을 수지·독송하는 이익과 비방하는 죄보에 대한 석존의 설법 3]

석보상절 21:61ㄱ

이런 사 〔〕〔외〕〔야〕 世間앳 즐거 〔이〕〔〕 〔貪〕〔著〕〔디〕 〔아〕〔니〕〔〕〔며〕 〔外〕道 〔經〕書 〔手〕〔筆〕〔을〕 〔즐〕〔기〕디 아니며  그 〔사〕〔〕〔과〕 〔여〕〔러〕 〔모〕〔딘〕 〔사〕미  주001)
:
중생. ‘衆生’은 한자어임에도 불구하고 정음으로 표기되어 있음. 참조 〈4ㄴ〉. 〈석보상절 권제21〉에는 두 개의 예가 있음.
주기 주002)
주기:
죽이는. 죽-[死]+이(사동접미사)+(현재시상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어미). ¶산 것 주기디 마롬과〈석상 6:10ㄴ〉.

석보상절 21:61ㄴ

□□□□□□□□□□□□□□□□□□□□□□□□□□□□□□□□□□□□□□□□□□□□□□□□□□〔디〕 〔아〕〔니〕〔리〕□□□□□□□ 【〔女〕 주003)
색(色):
일반적인 불교용어로서의 ‘색(色)’은 ‘rūpa’ 즉 색깔과 형체를 지닌 모든 물질적 존재로서 5온의 하나를 가리키나 여기서는 협주와 같이 ‘여색(女色)’을 가리킴.
겨지븨라 주004)
겨지비라:
여자이다. 겨집+이(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현대국어의 ‘계집’은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로 사용 되나 중세국어에서는 이런 비하의 의미 없이, ‘여자’, ‘부인’의 일반 지칭어로 사용됨. ¶伎女는 며 여러가짓 조 잘 겨지비라〈석상 3:5ㄱ〉.
衒賣 주005)
현매(衒賣):
여색(女色)을 파는 것.
色 겨지븨  주006)
:
낯을. 얼굴을. [顔]+(목적격조사). ¶十一 面은 열 치니〈석상 6:44ㄱ〉.
어 주007)
어:
꾸며. -[飾]+어(연결어미). ¶각시 노라  고 여 드라 末利花鬘 몸애 나〈월인 상:18ㄱ〉.
빋게 주008)
빋게:
비싸게. 빋[債/價]+-[價]+게(보조적 연결어미). ¶지븨 믈읫 잇 빋 거시라도〈번박 61ㄴ〉.
야  씨라】
이 사 미 고디싁고 주009)
고디식고:
고지식하고. 고디식-[實直]++고(연결어미). ‘ㄱ’ 받침 뒤에서 ‘-’는 축약되었음. ¶淳은 고디시글 씨라〈월석 14:62ㄱ〉. 녜 닐우 고디식니 유신니 듣본 일 하닐 벋면 유익고〈정속 15ㄱ〉.
正憶念이 이시며 福德力이 이셔 이 사미 三毒 주010)
삼독(三毒):
탐욕(貪欲), 진에(瞋恚), 우치(愚癡)의 세 번뇌. 독이라 한 것은 『대승의장』에 “3독이 모두 3계의 온갖 번뇌를 포섭하고, 온갖 번뇌가 중생을 해치는 것이 마치 독사나 독룡(毒龍)과 같다” 하고, 『법계차제』에는 “독은 짐독(䲴毒)으로 뜻을 삼고, 내지 출세의 선심(善心)을 무너뜨리는 까닭이라”고 하였기 때문임.
 어즈료

석보상절 21:62ㄱ

미 아니 외며
주011)
삼독(三毒) 어즈료미 아니 외며:
삼독에 의해 어지럽혀지지 않으며. 해당 원문은 ‘不爲三毒의 所惱며’임.
我慢 주012)
아만(我慢):
ātma-māna 지나치게 자신을 믿는 거만한 마음. 4번뇌(煩惱)의 하나.
邪慢 주013)
사만(邪慢):
아무런 덕이 없는 이가 덕이 있는 듯이 생각하여 스스로 높은 양 하는 것.
增上慢 주014)
증상만(增上慢):
abhimāna 교만에 빠져 우쭐거리는 것. 스스로 잘났다는 생각에 빠져 있는 것. 깨달음을 얻지 못했는데도 그것을 얻었다고 생각하여 뽐내는 것.
어즈료미 주015)
어즈료미:
어지럽게 함이. 어지럽힘이. 어즈리-[亂]+(오/우)ㅁ(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어즈리-’는 ‘어즐-’과 사동접미사 ‘-이-’로 분석됨. ¶이제 되 中國 어즈리거늘 天子ㅣ 邪曲 마 올히 드르시니〈월석 2:74ㄱ〉.
아니 외며
주016)
아만(我慢)과 사만(邪慢)과 증상만(增上慢) 어즈료미 아니 외며:
아만과 사만과 증상만에 의해서 어지럽혀지지 않으며. 해당 원문은 ‘亦復不爲(嫉妬와) 我慢과 邪慢과 增上慢의 所惱야’임.
이 사미 欲心이 젹고 足 고 아〔라〕 〔能〕〔히〕 〔普〕賢 〔〕〔뎌〕〔글〕 닷〔〕〔리〕〔라〕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117ㄱ

이  사 외야 世樂 貪著디 아니며 外道 經書 手筆을 즐기디 아니며【手筆은 손 쓸 씨〔라〕】  그 사과 여러 모딘 사 屠〔兒〕어나【屠兒 산 것 주기 사미라】 〔돋〕 〔羊〕 〔〕 〔가〕〔히〕

월인석보 19:117ㄴ

치 사미어나 獵〔師〕〔ㅣ〕〔어〕〔나〕【〔獵〕師 山行 사미라】 女色 〔〕 〔사〕〔〕 親近히 호 즐기디 아니〔야〕 이 사미 心意 質直야【質直은 고 씨라】 正 憶念이 이시며 福德力이 이셔 이 사미 三毒 보차미 외디 아니며  嫉

월인석보 19:118ㄱ

妬와 我慢과 邪慢과 增上慢 보차미 외디 아니며 이 사미 欲이 져거 足 아라 能히 普賢行 닷리라【이 다 正히 憶念논 히미니라 正 憶念이 이시면 自然히 〔安〕樂行法이 자 三毒 〔妬〕慢이 能히 어즈리디 몯〔〕〔며〕 〔眞〕實로 能히 普賢〔行〕〔〕 〔닷〕리니 正히 憶念〔〕〔논〕 〔히〕〔미〕 〔實〕

월인석보 19:118ㄴ

로 妙行眞要〔〕 〔〕 〔알〕〔리〕〔로〕니 그럴 普賢이 두〔〕〔세〕 〔번〕 〔니〕〔〕〔시〕며 釋尊이  도 펴시니〔라〕 〔〕〔든〕 後世예셔 普賢ㅅ 勸〔發〕야 行 일우샤미 한 術이 아니〔오〕 오직 正憶念호미 足  알〔〕에 시니라】

〔7:181ㄱ〕二自具妙樂
〔법화경〕 如是之人은 不復貪著世樂며 不好外道의 經書手筆며 亦復不喜親近其人과 及諸惡者ㅣ 若屠兒ㅣ며 若畜猪羊雞狗ㅣ며 若獵師ㅣ며 若衒賣女色야 是人이 心意質直야 有正憶念야 有福德力야 是人이 不爲三毒의 所惱며 亦復不爲嫉妬와 我慢과 邪慢과 增上慢〔7:181ㄴ〕의 所惱야 是人이 少欲知足야 能修普賢之行리라

〔법화경언해〕○이  사 외 世樂 貪著디 아니며 外道의 經書 手筆을 즐기디 아니며  그 사과  여러 모딘 사미 屠兒ㅣ며 돋 羊  가히 치니며 山行니며 女色 衒賣닐 親近호 깃디 아니야 이 사미  디 質直야 正憶念이 이셔 福德力이 이셔 이 사미 三毒의 보차미 외디 아니며  嫉妬와 我慢과 邪慢과 增上慢의 보차미 외디 아니야 이 사미 欲 젹고 足 아라 能히 普賢行 닷리라

〔계환해〕〔7:182ㄱ〕此 皆正憶念力也ㅣ라 有正憶念 自然具足安樂行法야 而三毒妬慢의 所不能惱ㅣ라 眞能修普賢行리니 當知正憶念力이 實妙行眞要ㅣ로다 所以普賢이 再三言之시며 釋尊이 又復助揚시니 意使後世로 知普賢所以勸發成行이 不在多術샤 唯正憶念이 足矣ㄴ시니 行人이 識之니라

〔계환해언해〕○이 다 正憶念논 히미라 正憶念이 이실 自然히 安樂行法이 자 三毒 妬慢의 能히 보차디 몯홀 띠라 眞實로 〔7:182ㄴ〕能히 普賢行 닷리니 正憶念力이 實로 妙行 眞要  반기 알리로다 그런로 普賢이 다시곰 니시며 釋尊이  도아 펴시니 든 後世로 普賢ㅅ 勸發샤 行 일우샤미 한 術에 잇디 아니샤 오직 正憶念이 足  알에 시니 行 싸미 아롤 띠니라

[법화경을 수지·독송하는 이익과 비방하는 죄보에 대한 석존의 설법 3]
“이런 사람은 다시 세간(世間)의 즐거운 일을 탐착(貪着)하지 않으며, 외도(外道)의 경서(經書) 수필(手筆)을 즐기지 않으며, 또 그 사람과 여러 나쁜 사람이 짐승을 죽이지 않으며, 또 그 사람이 중생 죽이는 □□□□□□□□□□□□□□□□□□□□□□□□□□□□□□□□□□□□□□□□□□□□□□□□□□지 않으리□□□□□□□□□【여색(女色)은 여자이다. 현매색(衒賣色)은 여자의 얼굴을 꾸며 비싸게 하여 파는 것이다.】 이 사람은 마음이 고지식하고 정억념(正憶念)이 있으며 복덕력이 있어, 이 사람이 삼독(三毒)에 의해 어지럽혀지지 않으며, 아만(我慢)과 사만(邪慢)과 증상만(增上慢)에 의해 어지럽혀지지 않으며, 이 사람이 욕심이 적고 넉넉한 곳을 알아 능히 보현의 행적을 닦을 것이다.(…보현행을 닦을 것이니…)”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중생. ‘衆生’은 한자어임에도 불구하고 정음으로 표기되어 있음. 참조 〈4ㄴ〉. 〈석보상절 권제21〉에는 두 개의 예가 있음.
주002)
주기:죽이는. 죽-[死]+이(사동접미사)+(현재시상 선어말어미)+(/으)ㄴ(관형사형어미). ¶산 것 주기디 마롬과〈석상 6:10ㄴ〉.
주003)
색(色):일반적인 불교용어로서의 ‘색(色)’은 ‘rūpa’ 즉 색깔과 형체를 지닌 모든 물질적 존재로서 5온의 하나를 가리키나 여기서는 협주와 같이 ‘여색(女色)’을 가리킴.
주004)
겨지비라:여자이다. 겨집+이(서술격조사)+다/라(설명법 종결어미). 현대국어의 ‘계집’은 여자를 낮잡아 이르는 말로 사용 되나 중세국어에서는 이런 비하의 의미 없이, ‘여자’, ‘부인’의 일반 지칭어로 사용됨. ¶伎女는 며 여러가짓 조 잘 겨지비라〈석상 3:5ㄱ〉.
주005)
현매(衒賣):여색(女色)을 파는 것.
주006)
:낯을. 얼굴을. [顔]+(목적격조사). ¶十一 面은 열 치니〈석상 6:44ㄱ〉.
주007)
어:꾸며. -[飾]+어(연결어미). ¶각시 노라  고 여 드라 末利花鬘 몸애 나〈월인 상:18ㄱ〉.
주008)
빋게:비싸게. 빋[債/價]+-[價]+게(보조적 연결어미). ¶지븨 믈읫 잇 빋 거시라도〈번박 61ㄴ〉.
주009)
고디식고:고지식하고. 고디식-[實直]++고(연결어미). ‘ㄱ’ 받침 뒤에서 ‘-’는 축약되었음. ¶淳은 고디시글 씨라〈월석 14:62ㄱ〉. 녜 닐우 고디식니 유신니 듣본 일 하닐 벋면 유익고〈정속 15ㄱ〉.
주010)
삼독(三毒):탐욕(貪欲), 진에(瞋恚), 우치(愚癡)의 세 번뇌. 독이라 한 것은 『대승의장』에 “3독이 모두 3계의 온갖 번뇌를 포섭하고, 온갖 번뇌가 중생을 해치는 것이 마치 독사나 독룡(毒龍)과 같다” 하고, 『법계차제』에는 “독은 짐독(䲴毒)으로 뜻을 삼고, 내지 출세의 선심(善心)을 무너뜨리는 까닭이라”고 하였기 때문임.
주011)
삼독(三毒) 어즈료미 아니 외며:삼독에 의해 어지럽혀지지 않으며. 해당 원문은 ‘不爲三毒의 所惱며’임.
주012)
아만(我慢):ātma-māna 지나치게 자신을 믿는 거만한 마음. 4번뇌(煩惱)의 하나.
주013)
사만(邪慢):아무런 덕이 없는 이가 덕이 있는 듯이 생각하여 스스로 높은 양 하는 것.
주014)
증상만(增上慢):abhimāna 교만에 빠져 우쭐거리는 것. 스스로 잘났다는 생각에 빠져 있는 것. 깨달음을 얻지 못했는데도 그것을 얻었다고 생각하여 뽐내는 것.
주015)
어즈료미:어지럽게 함이. 어지럽힘이. 어즈리-[亂]+(오/우)ㅁ(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어즈리-’는 ‘어즐-’과 사동접미사 ‘-이-’로 분석됨. ¶이제 되 中國 어즈리거늘 天子ㅣ 邪曲 마 올히 드르시니〈월석 2:74ㄱ〉.
주016)
아만(我慢)과 사만(邪慢)과 증상만(增上慢) 어즈료미 아니 외며:아만과 사만과 증상만에 의해서 어지럽혀지지 않으며. 해당 원문은 ‘亦復不爲(嫉妬와) 我慢과 邪慢과 增上慢의 所惱야’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