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8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8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8]
다 주001)
다:
다만. 다[但](부사). ¶내 너교 다 佛乘 讚嘆면 衆生이 고디 듣디 아니야〈석상 13:58ㄱ〉.
쓸 만 야도 주002)
쓸 만야도:
쓰기만 하여도. 쓰-[書寫]+(/으)ㄹ(관형사형어미)#만(의존명사)+-+여/야(연결어미)+도(보조사). 〈월석〉의 언해는 〈석상〉과 같으나, 〈법화〉의 언해는 ‘써도’임. ¶곳구무 마 만야 왼 녀기 알거든 올 곳굼글 막고〈구간 2:69ㄴ〉.
이 사미 命終야 주003)
명종(命終)야:
목숨이 다하여. 命終-+여/야. 명종(命終)은 ‘목숨이 다함’을 뜻함. ¶어버 子息 호 아니한 어니와  아 命終야 [命終은 목숨 씨라 〕〈석상 6:3ㄴ〉.
다 忉利天 주004)
도리천(忉利天):
trāyastriṁśāḥ 〔devāḥ〕 6욕천의 둘째 세계. 수미산의 정상에 있고, 제석천을 중심으로 사방의 봉우리에 각각 8천이 있으므로, 모두 33천이 된다. 도리는 33을 뜻하는 범어의 간략한 음역. 동의어로 삼십삼천(三十三天)이 있음.
上애 나리니 그저긔 八萬四千女ㅣ 한 류

석보상절 21:58ㄱ

야 와 마자 가거든 그 사미 즉자히 七寶冠 주005)
칠보관(七寶冠):
칠보로 만든 관. 칠보(sapta-ratnāni)는 금(金), 은(銀), 유리(琉璃), 파려(頗黎), 차거(硨磲), 적주(赤珠), 마노(瑪瑙) 등임.
쓰고 采女ㅅ 가온 긋 주006)
긋:
마음껏. ¶五欲 긋 게 코져 야〈월석 15:24ㄱ〉. 스믈여스센 긋 겨집 맛드러 들미오〈월석 23:2ㄴ〉.
즐겨리니
주007)
긋 즐겨리니:
마음껏 즐겨할 것이니. 해당 원문은 ‘娛樂快樂리니’임. 〈월석〉의 언해는 ‘娛樂 快樂리니’이고, 〈법화〉의 언해는 ‘즐겨 快樂리니’임.
며 바다 디니며 닐그며 외와 正히 憶念야  아라 말다히 脩行니니잇가 주008)
며 ~(이)니가:
하물며 ~이겠습니까? 한문의 ‘況~乎’ 구문의 언해 형식으로 쓰임. 높임의 등급이 낮으면 ‘며 ~(이)녀’가 쓰임. 15세기 국어의 ‘며 ~이/이니가’ 구문은 ‘가장 약한 것을 해도 좋을 것인데 하물며 더 좋은 것을 하면 말해서 무엇을 하겠는가/하겠습니까’ 정도의 의미이다. 이 부분의 계환해에서 이러한 관계를 잘 보여준다. 계환해의 원문은 ‘持經五功애 書寫ㅣ 爲下ㅣ니 若但書寫야도 即生忉利具五功며 又正憶念이녀 其福이 倍勝야 如下所明니라’이고, 언해는 ‘經 디니논 다 功애 쑤미 아래니 다가 오직 써도 즉재 忉利예 나곤 며 다 功이 며  正憶念이녀 그 福이 倍히 더어 아래 기샴 니라’인데, 지경(持經)을 하는 다섯 가지 공덕 중에서 서사(書寫)하는 공덕이 제일 약한 것인데 법화경을 서사만 하여도 도리천에 태어날 것인데 서사보다 더 강한 공덕을 하면 더 말할 필요가 없다는 내용임.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112ㄱ

다가 쓸 만야도 이 사미 命終야 忉利天 上애 나리니 그 八萬四千 天

월인석보 19:112ㄴ

女ㅣ 한 류야 와 맛거든 그 사미 즉재 七寶冠 쓰고 采女 中에 娛樂 快樂리니 며 受持 讀誦야 正憶念야 義趣를 아라 말다 修行호미니가 【持經논 다 功애 쑤미 아래니 다가 쓸 만야도 즉재 忉利예 나곤 며 다

월인석보 19:113ㄱ

功이 며  正憶念호미녀 그 福이 倍히 더어 아래 니샴 니라】

〔법화경〕 〔7:175ㄴ〕若但書寫야도 是人이 命終야 當生忉利天上리니 是時예 八萬四千天女ㅣ 作衆伎樂야 而來迎之커든 其人이 即著七寶冠고 於婇〔7:176ㄱ〕女中에 娛樂快樂리니 何況受持讀誦야 正憶念야 解其義趣야 如說修行이리니가

〔법화경언해〕○다가 오직 써도 이 사미 命終야 반기 忉利天 上애 나리니 이제 八萬四千 天女ㅣ 한 伎樂야 와 맛거든 그 사미 즉재 七寶冠 쓰고 采女 中에 즐겨 快樂리니 며 受持 讀誦야 正憶念야 義趣 아라 말다이 修行리니가

〔계환해〕持經五功애 書寫ㅣ 爲下ㅣ니 若但書寫야도 即生忉利콘 況具五功며 又正憶念이녀 其福이 倍勝야 如下所明니라

〔계환해언해〕○經 디니논 다 〔7:176ㄴ〕功애 쑤미 아래니 다가 오직 써도 즉재 忉利예 나곤 며 다 功이 며  正憶念이녀 그 福이 倍히 더어 아래 기샴 니라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8]
“다만 쓰기만 하여도 이 사람이 명종(命終)하여 당당히 도리천 위에 태어날 것이니 그때 8만 4천의 여인이 많은 음악을 울려 와 맞이하여 가거든 그 사람이 즉시 칠보관을 쓰고 채녀의 가운데 마음껏 즐겨할 것이니 하물며 받아 지니며 닐그며 외워 바로 억념하여 뜻을 아라 말대로 수행하는 사람이야? 〈말해서 무엇하겠습니까?〉”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다만. 다[但](부사). ¶내 너교 다 佛乘 讚嘆면 衆生이 고디 듣디 아니야〈석상 13:58ㄱ〉.
주002)
쓸 만야도:쓰기만 하여도. 쓰-[書寫]+(/으)ㄹ(관형사형어미)#만(의존명사)+-+여/야(연결어미)+도(보조사). 〈월석〉의 언해는 〈석상〉과 같으나, 〈법화〉의 언해는 ‘써도’임. ¶곳구무 마 만야 왼 녀기 알거든 올 곳굼글 막고〈구간 2:69ㄴ〉.
주003)
명종(命終)야:목숨이 다하여. 命終-+여/야. 명종(命終)은 ‘목숨이 다함’을 뜻함. ¶어버 子息 호 아니한 어니와  아 命終야 [命終은 목숨 씨라 〕〈석상 6:3ㄴ〉.
주004)
도리천(忉利天):trāyastriṁśāḥ 〔devāḥ〕 6욕천의 둘째 세계. 수미산의 정상에 있고, 제석천을 중심으로 사방의 봉우리에 각각 8천이 있으므로, 모두 33천이 된다. 도리는 33을 뜻하는 범어의 간략한 음역. 동의어로 삼십삼천(三十三天)이 있음.
주005)
칠보관(七寶冠):칠보로 만든 관. 칠보(sapta-ratnāni)는 금(金), 은(銀), 유리(琉璃), 파려(頗黎), 차거(硨磲), 적주(赤珠), 마노(瑪瑙) 등임.
주006)
긋:마음껏. ¶五欲 긋 게 코져 야〈월석 15:24ㄱ〉. 스믈여스센 긋 겨집 맛드러 들미오〈월석 23:2ㄴ〉.
주007)
긋 즐겨리니:마음껏 즐겨할 것이니. 해당 원문은 ‘娛樂快樂리니’임. 〈월석〉의 언해는 ‘娛樂 快樂리니’이고, 〈법화〉의 언해는 ‘즐겨 快樂리니’임.
주008)
며 ~(이)니가:하물며 ~이겠습니까? 한문의 ‘況~乎’ 구문의 언해 형식으로 쓰임. 높임의 등급이 낮으면 ‘며 ~(이)녀’가 쓰임. 15세기 국어의 ‘며 ~이/이니가’ 구문은 ‘가장 약한 것을 해도 좋을 것인데 하물며 더 좋은 것을 하면 말해서 무엇을 하겠는가/하겠습니까’ 정도의 의미이다. 이 부분의 계환해에서 이러한 관계를 잘 보여준다. 계환해의 원문은 ‘持經五功애 書寫ㅣ 爲下ㅣ니 若但書寫야도 即生忉利具五功며 又正憶念이녀 其福이 倍勝야 如下所明니라’이고, 언해는 ‘經 디니논 다 功애 쑤미 아래니 다가 오직 써도 즉재 忉利예 나곤 며 다 功이 며  正憶念이녀 그 福이 倍히 더어 아래 기샴 니라’인데, 지경(持經)을 하는 다섯 가지 공덕 중에서 서사(書寫)하는 공덕이 제일 약한 것인데 법화경을 서사만 하여도 도리천에 태어날 것인데 서사보다 더 강한 공덕을 하면 더 말할 필요가 없다는 내용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