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9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9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9]
그 妙莊嚴王과 夫人괘 모 주001)
모:
목의. 목에의. 목[頸]+/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중세국어의 처소부사격조사에는 ‘애/에, 예, /의’가 있다. 이 가운데 ‘/의’는 관형격조사가 처소의 부사격조사로 쓰이므로 특이한 처소의 부사격조사라고 한다. 이 ‘-/의’는 주로 신체지칭 체언(, ), 방위지칭 체언(우, 앒, ), 지리·광물지칭 체언(, , 뫼, 길), 천문지칭 체언(새박, 아), 식물지칭 체언(나모, 섭) 뒤에 붙는 경향이 있음. ¶魔王이 제 모 주거믈 앗다가 몯야 大怒야〈월석 4:22ㄱ〉.
眞珠 瓔珞이 갑시 百千 니 주002)
니:
값이 나가는 것을. 〈석상 21:16ㄴ〉 참조. -〔(高)價]+(/으)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목적격조사). ¶眞珠 瓔珞이 갑시 千萬이 니로 모매 莊嚴고〈월석 13:11ㄴ〉.
주003)
진주(眞珠) 영락(瓔珞)이 갑시 백천(百千) 니:
값이 백천 나가는 眞珠 瓔珞이. 해당 원문은 ‘眞珠瓔珞이 價直百千야’임. 〈월석〉의 언해는 ‘갑시 百千 니’이고, 〈법화〉의 언해는 ‘갑시 百千이 마닐’임. ¶즉재 瓔珞이 갑시 千萬이 니 바사 내야 賞고〈월석 25:95ㄴ〉. 그 龍女ㅣ  寶珠ㅣ 갑시 三千大千 世界 니 가져 부텻긔 받온대〈법화 4:178ㄴ〉.
글어 주004)
글어:
끌러. 글-[解]+어(연결어미). ¶이 經을 닐거 외오며 五色 실로 우리 일후믈 자 제 願을 일운 後에 글어 리다〈석상 9:40ㄴ〉.
내야 부텻 우희 비대 주005)
비대:
뿌리니. 흩뿌리니. 빟-[散]+//(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ㄴ대(이유·원인의 연결어미). ‘-//-’에 대해서는 ‘향(向)〈1ㄱ〉’ 항목 참조. ‘빟-’의 ‘ㅎ’은 ‘’의 ‘ㅅ’ 역행동화로 인하여 ‘빗’으로 변동됨. ¶曼陁羅華 摩訶曼陁羅華 비허 無量 百千萬億 寶樹 아래 師子座 우흿 諸佛 비며〈월석 17:29ㄱ〉.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83ㄴ

그제 妙莊嚴王과 夫人괘 모 眞珠瓔珞이 갑시 百千 니 글어 부텻 우희 비흐니

〔7:141ㄱ〕十八捨愛迴心
〔법화경〕 爾時예 妙莊嚴王과 及其夫人이 解頸앳 眞珠瓔珞이 價直百千야 以散佛上오니

〔법화경언해〕○그 妙莊嚴王과 〔7:141ㄴ〕 그 夫人이 모 眞珠瓔珞이 갑시 百千이 마닐 글어 부텻 우희 빗오니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9]
그때 묘장엄왕과 부인이 목에 찬 백천의 값이 나가는 진주 영락을 끌러 내어 부처님의 위에 흩뿌리니,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모:목의. 목에의. 목[頸]+/의(특이 처소의 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중세국어의 처소부사격조사에는 ‘애/에, 예, /의’가 있다. 이 가운데 ‘/의’는 관형격조사가 처소의 부사격조사로 쓰이므로 특이한 처소의 부사격조사라고 한다. 이 ‘-/의’는 주로 신체지칭 체언(, ), 방위지칭 체언(우, 앒, ), 지리·광물지칭 체언(, , 뫼, 길), 천문지칭 체언(새박, 아), 식물지칭 체언(나모, 섭) 뒤에 붙는 경향이 있음. ¶魔王이 제 모 주거믈 앗다가 몯야 大怒야〈월석 4:22ㄱ〉.
주002)
니:값이 나가는 것을. 〈석상 21:16ㄴ〉 참조. -〔(高)價]+(/으)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목적격조사). ¶眞珠 瓔珞이 갑시 千萬이 니로 모매 莊嚴고〈월석 13:11ㄴ〉.
주003)
진주(眞珠) 영락(瓔珞)이 갑시 백천(百千) 니:값이 백천 나가는 眞珠 瓔珞이. 해당 원문은 ‘眞珠瓔珞이 價直百千야’임. 〈월석〉의 언해는 ‘갑시 百千 니’이고, 〈법화〉의 언해는 ‘갑시 百千이 마닐’임. ¶즉재 瓔珞이 갑시 千萬이 니 바사 내야 賞고〈월석 25:95ㄴ〉. 그 龍女ㅣ  寶珠ㅣ 갑시 三千大千 世界 니 가져 부텻긔 받온대〈법화 4:178ㄴ〉.
주004)
글어:끌러. 글-[解]+어(연결어미). ¶이 經을 닐거 외오며 五色 실로 우리 일후믈 자 제 願을 일운 後에 글어 리다〈석상 9:40ㄴ〉.
주005)
비대:뿌리니. 흩뿌리니. 빟-[散]+//(객체높임 선어말어미)+(/으)ㄴ대(이유·원인의 연결어미). ‘-//-’에 대해서는 ‘향(向)〈1ㄱ〉’ 항목 참조. ‘빟-’의 ‘ㅎ’은 ‘’의 ‘ㅅ’ 역행동화로 인하여 ‘빗’으로 변동됨. ¶曼陁羅華 摩訶曼陁羅華 비허 無量 百千萬億 寶樹 아래 師子座 우흿 諸佛 비며〈월석 17:29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