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72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720


【節要】
答호 若據多義야 以顯一體컨댄 即萬法이 皆是一心이어니 何

별행록절요언해:55ㄱ

唯覺鑑等이리오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답·호· ··다가 여·러 ··들브·터  體:톄· 나·토건·댄 주001)
나토건댄:
나타낸다면. 드러낸다면. 낱-[現]+오(사동접미사)+거(가정법)+ㄴ댄(조건 표지).
곧 萬·만法·법이 ·다 ·이  ·미어니 :엇·뎨 주002)
엇뎨:
어찌. ‘엇뎨’는 ‘엇디’와 공존하는데, 의미 차이가 없다. ‘엇디’에 부사격 조사 ‘-에’가 통합하여 ‘엇뎨’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靈覺·각 주003)
영각(靈覺):
영묘불가사의(靈妙不可思議)한 지혜.
·과 鑑:감照·죠 주004)
감조(鑑照):
비춤.
·미리오 주005)
미리오:
‘’은 체언 또는 관형사형 어미 뒤에서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접속조사 ‘와’ 뒤에 쓰였다. 극히 이례적이다.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대답하되, 만약 여러 뜻에 의거하여 하나의 체(體)를 드러낸다면 곧 만법이 다 이것이 한 마음이니, 어찌 영각(靈覺)과 감조(鑑照)뿐이리오?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토건댄:나타낸다면. 드러낸다면. 낱-[現]+오(사동접미사)+거(가정법)+ㄴ댄(조건 표지).
주002)
엇뎨:어찌. ‘엇뎨’는 ‘엇디’와 공존하는데, 의미 차이가 없다. ‘엇디’에 부사격 조사 ‘-에’가 통합하여 ‘엇뎨’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주003)
영각(靈覺):영묘불가사의(靈妙不可思議)한 지혜.
주004)
감조(鑑照):비춤.
주005)
미리오:‘’은 체언 또는 관형사형 어미 뒤에서 나타나는데, 여기서는 접속조사 ‘와’ 뒤에 쓰였다. 극히 이례적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