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67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670


【私記】
牧牛子ㅣ 曰호 向來所謂혼 悟解高明며 決擇이 了然이라 니 正謂是也ㅣ니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牧·목牛우子:ㅣ 닐·오· 우:희 주001)
우희:
위에서. 우ㅎ+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닐·온 주002)
닐온:
이르되, 이르기를. 니-[謂]+오/우+ㄴ(관형사형어미). 그러나 여기의 ‘닐온’은 관형어가 아니다. ‘닐온’이 관형사로 쓰이기도 하지만, ‘말하자면’ 또는 ‘말하기를’이란 뜻을 가지는 부사로도 쓰인다. 부사로 쓰일 때에는 ‘닐올뎬, 닐올뗸, 닐오건댄, 닐오’와 교체될 수 있다.
아로·미 롭·고 주003)
롭고:
높고. 높-[高]+고. ‘ㅂ’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이 책에서는 단어 제1음절의 ‘ㄴ’이 ‘ㄹ’로 나타나는 예가 많다. 누른→루른(48ㄴ), 닐어니와→릴어니와(7ㄴ), 닐오→릴오(52ㄱ).

별행록절요언해:51ㄴ

·며 ·요·미 ·니라 ·시·니 正:히 ·이 河하澤· 祖:조師· 니·시·니라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목우자가 이르되, “위에서 이르기를, 깨달아 앎이 높고 밝으며 분별함이 맑으니라.” 하시니, 바로 이 하택조사(荷澤祖師)를 이르신 것이니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우희:위에서. 우ㅎ+의(특수처소부사격조사). ‘/의’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시간, 장소, 방향을 나타내는 체언이 이러한 특수처소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2)
닐온:이르되, 이르기를. 니-[謂]+오/우+ㄴ(관형사형어미). 그러나 여기의 ‘닐온’은 관형어가 아니다. ‘닐온’이 관형사로 쓰이기도 하지만, ‘말하자면’ 또는 ‘말하기를’이란 뜻을 가지는 부사로도 쓰인다. 부사로 쓰일 때에는 ‘닐올뎬, 닐올뗸, 닐오건댄, 닐오’와 교체될 수 있다.
주003)
롭고:높고. 높-[高]+고. ‘ㅂ’은 8종성 표기 규칙에 따른 것이다. 이 책에서는 단어 제1음절의 ‘ㄴ’이 ‘ㄹ’로 나타나는 예가 많다. 누른→루른(48ㄴ), 닐어니와→릴어니와(7ㄴ), 닐오→릴오(52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