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54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540


【節要】
或於異時예 見黑槵子와 米吹靑珠와 乃至赤琥珀과 白石瑛等珠고 皆云호 是摩尼珠ㅣ라 며 或於異時예 見摩尼珠ㅣ 都不對色時예 但有明淨之相홀디라도 却不認之며 以不見有諸色을 可識주001)
인(認):
원문의 ‘認’의 독음이 ‘’이다. 이 책에서는 성조만 다를 뿐, 모두 같이 나타난다. ¶·이ᇰ(27ㄱ), :이ᇰ(30ㄱ), :이ᇰ(41ㄱ). 다른 문헌에서는 ‘ᅀᅵᆫ, 인’으로 나타난다. ¶ᅀᅵᆫ〈동국정운 2:26ㄱ〉. 인〈유합 하 33ㄱ〉. 인〈자류주석 상 57ㄱ〉.
故로 疑恐局一明相故가 주002)
가:
원문의 구결인데, ‘일가’가 원칙에 부합한다.
니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시혹 다 시져레 거믄 구슬와 로  주003)
:
만든. -[造]+ㄴ. ‘론’(-+오/우+ㄴ)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인데, 여기서는 현대국어 활용형과 같이, ‘-오/우-’가 쓰이지 않고 ‘ㄹ’이 탈락하였다.
프른 구

별행록절요언해:43ㄱ

·슬·와 · ·구·슬·와· 보·고 ·다 닐·오· 摩마尼니珠쥬ㅣ·라 ·며 시·혹 다 시:져레 摩마尼니珠쥬에 젼·혀 色:이 :업·슨 시:져레 주004)
시혹 다 시져레 마니주(摩尼珠)에 젼혀 색(色)이 업슨 시져레:
‘시져레’가 중복되었는데, 한문의 직역에 따른 현상이다.
오·직 ·고 ·조· 주005)
조:
깨끗한. 좋-[淨]+(관형사형어미). ‘둏-’은 [好]를, ‘좋-’은 [淨]을 뜻하였다.
마니쥬· :볼 ·디라·도 주006)
볼 디라도:
볼지라도. 보-+ㄹ디라도. 중세국어의 문헌에서는 대개 ‘디라도’로 적혔다. ‘-ㅭ디라도’의 기원적 구조는 ‘ㅭ(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도(보조사)’이다. 여기의 ‘-라’는 평서문 종결어미 ‘-다’의 이형태가 아니고 연결어미 ‘-아/어’의 이형태이다. ‘-아/어’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는 ‘-라’로 교체된다. 그러므로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의 ‘-라’는 종결어미 ‘-다’의 이형태인 경우도 있고, 연결어미 ‘-아/어’의 이형태인 경우도 있는 것이다. 현대국어의 연결어미 ‘-어’도 ‘나는 학생이라 ~’에서와 같이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는 ‘-라’로 교체된다. ‘-오/우-’도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는 ‘-로-’로 교체되고 ‘-더-’도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는 ‘-러-’로 교체된다.
· 마니 아·니라 ·며 諸졔色··을 可:가히 아·라 보·디 ·몯·· 젼··로  · 마니쥬·의 브·틀·가 주007)
브틀가:
붙을까. 의지할까. 의거할까.
주008)
 마니쥬의 브틀가:
밝은 마니주에 의지할까. 밝은 마니주에만 집착하여 그것만 마니주인 것으로 믿을까.
저·허 주009)
저허:
저어하여. 두려워하여. 젛-[畏]+아/어.
의심·· 젼··니라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혹 다른 때에 검은 구슬과 쌀로 만든 푸른 구슬과 흰 구슬을 보고 다 말하기를 마니주라 하며, 혹 다른 때에 마니주에 전혀 색이 없는 때에 오직 밝고 깨끗한 마니주를 볼지라도 또 마니주가 아니라 하며, 모든 색을 가히 알아보지 못하는 까닭으로 한 가지 밝은 마니주에만 집착할까 두려워하여 의심하는 까닭이니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인(認):원문의 ‘認’의 독음이 ‘’이다. 이 책에서는 성조만 다를 뿐, 모두 같이 나타난다. ¶·이ᇰ(27ㄱ), :이ᇰ(30ㄱ), :이ᇰ(41ㄱ). 다른 문헌에서는 ‘ᅀᅵᆫ, 인’으로 나타난다. ¶ᅀᅵᆫ〈동국정운 2:26ㄱ〉. 인〈유합 하 33ㄱ〉. 인〈자류주석 상 57ㄱ〉.
주002)
가:원문의 구결인데, ‘일가’가 원칙에 부합한다.
주003)
:만든. -[造]+ㄴ. ‘론’(-+오/우+ㄴ)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인데, 여기서는 현대국어 활용형과 같이, ‘-오/우-’가 쓰이지 않고 ‘ㄹ’이 탈락하였다.
주004)
시혹 다 시져레 마니주(摩尼珠)에 젼혀 색(色)이 업슨 시져레:‘시져레’가 중복되었는데, 한문의 직역에 따른 현상이다.
주005)
조:깨끗한. 좋-[淨]+(관형사형어미). ‘둏-’은 [好]를, ‘좋-’은 [淨]을 뜻하였다.
주006)
볼 디라도:볼지라도. 보-+ㄹ디라도. 중세국어의 문헌에서는 대개 ‘디라도’로 적혔다. ‘-ㅭ디라도’의 기원적 구조는 ‘ㅭ(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도(보조사)’이다. 여기의 ‘-라’는 평서문 종결어미 ‘-다’의 이형태가 아니고 연결어미 ‘-아/어’의 이형태이다. ‘-아/어’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는 ‘-라’로 교체된다. 그러므로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의 ‘-라’는 종결어미 ‘-다’의 이형태인 경우도 있고, 연결어미 ‘-아/어’의 이형태인 경우도 있는 것이다. 현대국어의 연결어미 ‘-어’도 ‘나는 학생이라 ~’에서와 같이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는 ‘-라’로 교체된다. ‘-오/우-’도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는 ‘-로-’로 교체되고 ‘-더-’도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는 ‘-러-’로 교체된다.
주007)
브틀가:붙을까. 의지할까. 의거할까.
주008)
 마니쥬의 브틀가:밝은 마니주에 의지할까. 밝은 마니주에만 집착하여 그것만 마니주인 것으로 믿을까.
주009)
저허:저어하여. 두려워하여. 젛-[畏]+아/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