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석보상절 제21

  • 역주 석보상절
  • 역주 석보상절 제21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①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17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17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17]
아뫼나 겨지비 아 나코져 야 주001)
아뫼나 겨지비 아 나코져 야:
만약 어떤 여인이 아들을 낳고자 하여. 해당 원문은 ‘若有女人이 設欲求男야’임. 〈월석〉은 해당 부분이 훼손되어서 확인할 수 없고, 〈법화〉의 언해는 ‘女人이 다가 아 求야’임.
觀世音菩薩 절야 供養면 곧 福德智慧 잇 아 나리어며  나코져 면 곧 端正 相 잇  나

석보상절 21:8ㄱ

아래브터 德根源을 심거 주002)
아래브터 덕(德) 근원(根源)을 심거:
예부터 덕의 근원을 심어. 해당 원문은 ‘宿植德本야’임. 〈월석〉은 해당 부분이 훼손되어서 확인할 수 없고, 〈법화〉의 언해는 ‘德本 아 심거’임.
모 사라미 다며 주003)
며:
사랑하며. 좋아하며. -[愛]+(/으)며(연결어미). ¶討賊이 겨를 업스샤 션 실 太平之業이 빛나시니다〈용가 80〉.
恭敬리라 無盡意觀世音菩薩이 이런 히믈 뒷니
Ⓒ 필자 | 수양대군(조선) / 1447년(세종 29)

〔월인석보언해〕

월인석보 19:28ㄴ

다가 겨지비 아 求야 觀世音菩薩 절야 供養면 곧 福德 智慧

월인석보 19:29ㄱ

옛 아 나리며  求야도 端正고 相 잇 리 아래브터 德本 심거 한 사미 며 〔恭敬〕 〔〕 〔나〕리니 無〔盡意〕〔여〕 〔觀世音〕菩薩〔이〕 〔이런〕 〔히믈〕 〔뒷니라〕【〔얼구를〕 노겨 世〔間〕애 버므〔러〕 〔諸佛을〕 〔다〕 〔셤기샤〕 〔法〕王子〔ㅣ〕 〔외신〕 〔힘〕 〔더으시면〕 〔곧〕 〔아〕 주004)
*
12칸이 비어 있으나 ‘子’의 한자음을 계산하면 13자가 재구되어 있음.
 나코

월인석보 19:29ㄴ

〔圓通샤〕 〔世界〕 〔머〕구므샤 〔如來〕 〔받〕 〔順샤〕 〔法〕門〔을〕 〔받신〕 〔히믈〕 〔더으시면〕 〔곧〕 〔〕 〔나리라〕 주005)
*
20칸이 비어 있으나 18자가 재구되어 있음. 협주문의 특성 상 한 자 내지 두 자가 더 보충되어야 함.

〔7:63ㄴ〕三示福應
〔법화경〕 若有女人이 設欲求男야 〔7:64ㄱ〕禮拜供養觀世音菩薩면 便生福德智慧之男리며 設欲求女면 便生端正有相之女야 宿植德本야 衆人이 愛敬리니 〔7:66ㄴ〕無盡意觀世音菩薩이 有如是力니라

〔법화경언해〕○〔7:66ㄴ〕女人이 다가 아 求야 觀世音菩薩을 절야 供養면 곧 福德 智慧옛 아 나리며 다가  求면 곧 端正 相 잇  나하 德本 아 심거 한 사미 며 恭敬리니 無盡意觀世音菩薩이 〔7:67ㄱ〕이  히믈 뒷니라

〔계환해〕〔7:67ㄱ〕融形샤 涉世샤 遍事諸佛샤 爲法王子之力으로 加之시면 即生男고 圓通샤 合界샤 承順如來샤 受領法門之力으로 加之시면 即生女리라

〔계환해언해〕○얼구를 노기샤 世間애 드르샤 諸佛을 다 셤기샤 法王子ㅣ 외신 히므로 더으시면 곧 아 나코 圓通샤 界 머그샤 如來 받와 順샤 法門을 받오신 히므로 더으시면 곧  나리라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17]
어떤 여인이 아들을 낳고자 하여 관세음보살에게 절하고 공양하면 곧 복덕과 지혜가 있는 아들을 낳을 것이며 딸을 낳고자 하면 곧 단정한 모습의 딸을 낳아 오래 전부터 덕의 근원을 심어 모든 사람이 사랑하며 공경할 것이다. 무진의보살이여! 관세음보살이 이런 힘을 가지고 있으니,
Ⓒ 역자 | 김영배·김성주 / 2012년 10월 9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뫼나 겨지비 아 나코져 야:만약 어떤 여인이 아들을 낳고자 하여. 해당 원문은 ‘若有女人이 設欲求男야’임. 〈월석〉은 해당 부분이 훼손되어서 확인할 수 없고, 〈법화〉의 언해는 ‘女人이 다가 아 求야’임.
주002)
아래브터 덕(德) 근원(根源)을 심거:예부터 덕의 근원을 심어. 해당 원문은 ‘宿植德本야’임. 〈월석〉은 해당 부분이 훼손되어서 확인할 수 없고, 〈법화〉의 언해는 ‘德本 아 심거’임.
주003)
며:사랑하며. 좋아하며. -[愛]+(/으)며(연결어미). ¶討賊이 겨를 업스샤 션 실 太平之業이 빛나시니다〈용가 80〉.
주004)
*12칸이 비어 있으나 ‘子’의 한자음을 계산하면 13자가 재구되어 있음.
주005)
*20칸이 비어 있으나 18자가 재구되어 있음. 협주문의 특성 상 한 자 내지 두 자가 더 보충되어야 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