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119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1190


【私記】

별행록절요언해:107ㄱ

又云ᄒᆞᄃᆡ ○○○(일부 내용을 언해본에서 제외함: 해제 참조) 趙州狗子無佛性話ᄅᆞᆯ 喜怒靜閙에 亦須提撕ᄒᆞ야 第一레 不得用意等悟ㅣ니 若用意等悟ᄒᆞ고 則自謂호ᄃᆡ 我卽今迷호라 ᄒᆞ야 執迷待悟ᄒᆞ면 縱經塵劫비라도 亦不能得ᄒᆞ리라 但擧話時예 略抖擻精神ᄒᆞ고 看是箇甚麼道理오 홀 디어다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 닐·오· 趙됴州쥬·의 狗구子:無무佛·불性· 話·화· ·미 :깃브·며 주001)
깃브며:
기쁘며. 기ᇧ-[喜](동사어간)+브(형용사파생접미사)+며.
怒·노·며 주002)
노(怒)며:
화가 나며. 현대국어의 ‘노하다’는 동사로도 쓰이고 형용사로도 쓰이는 것 같은데, 여기의 ‘怒ᄒᆞ-’는 형용사이다.
괴외·며 주003)
괴외며:
고요하며[寂]. 어근 ‘괴외-’의 발음은 [koj-oj]이다. [j]가 탈락한 ‘고요’[ko-jo](두시언해 중간본 2:16ㄱ)로도 나타나는데, 이는 중세국어의 ‘ㅚ’가 이중모음 [oj]였기 때문이다.
·어즈

별행록절요언해:107ㄴ

러·우·매
주004)
어즈러우매:
어지러움에. 어즐(불규칙적 어근)+업(형용사파생 접미사)+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어즈러ᄫᅮᆷ〉어즈러움.
· 모·로·매 주005)
모로매:
모름지기.
:잡드러 주006)
잡드러:
잡고 붙들어. 잡-+들-+어.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문맥을 볼 때 ‘잡드로ᄃᆡ’가 더 적절해 보인다.
第:뎨一·일·레 주007)
제일(第一)레:
첫째로. 무엇보다도. ‘제일에’의 중철이다.
:·들 · 주008)
:
써서. ᄡᅳ-[用]+어(연결어미).
아로· 마·롤 ·디니 주009)
마롤 디니:
말지니. 말-[勿]+오/우+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니.
·다·가 ··들 · 아·로·려 주010)
아로려:
알려. 알-+오/우+리+어. 이어지는 ‘ᄒᆞ-’는 심리 상태를 인용하는 인용 동사이다. 그러므로 이 ‘-어’는 연결어미가 아니라 종결어미이다.
·고 ·제 닐·오· ·내 ·곧 ·이제 주011)
곧 이제:
‘즉금(卽今)’의 축자역이다. 현대국어의 ‘지금’ 정도에 해당한다.
어·류·라 주012)
어류라:
미혹하도다. 어리-[迷]+오/우(화자 초점 표지)+라(평서문 종결어미). 형용사에는 ‘-노라’가 쓰이지 않는다. ‘-노라’의 구성 성분인 ‘-ᄂᆞ-’ 때문이다.
··야 어·류· 자·바 아로· 기·드리·면 비·록 塵딘劫·겁비 주013)
진겁(塵劫)비:
진겁이. ‘진겁이’의 중철이다. ‘진겁(塵劫)’은 ‘우주의 먼지만큼 많은 겁(劫)’, 즉 ‘영원한 시간’을 말한다.
·디·내·록 주014)
디내록:
지나도록. 디내-+ᄃᆞ록(연결어미). ‘디내-’는 원래 ‘디나-[過]+이(사동접미사)’으로 이루어진 타동사인데, 여기서는 자동사로 쓰였다.
··야·도 · ·히 · ·얻·디 ·몯·리라 ·시·니라 오·직 話·화頭두· 擧:거: 시·져레 주015)
시져레:
때에. 시졀(時節)+에.
:져기 주016)
져기:
약간. 젹-[少]+이(부사파생접미사).
精神신· :·러 ·리·고 주017)
러 리고:
떨쳐 버리고. ᄠᅥᆯ-[拂, 振]+어(연결어미)+ᄇᆞ리-(보조동사 어간)+고.
·이 므·슴 주018)
므슴:
무슨. ‘므슴’은 대명사, 관형사, 부사로 두루 쓰였는데, 여기서는 관형사로 쓰였다. ‘므스’계 대명사로 ‘므스, 므슴, 므슥’ 등이 사용되었다. 오늘날 쓰이는 ‘무슨’은 예를 들면 ‘므슷 일’이 [므슨닐]로 실현되는 현상에 따라 형성된 것이다. 17세기 문헌인 『권념요록』(1637)에 ‘므슨’이 보인다. ¶므슨 조뢴 일오〈권념요록 1ㄴ〉.
道:도理:리·오 주019)
도리(道理)오:
도리인가. 道理+Ø(서술격조사)+고(의문 종결어미).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ㄱ’이 약화한 것이다. 의문 보조사 ‘고’도 있지만, 여기의 ‘-고’는 의문 종결어미이다. 왜냐하면 명사 ‘道理’에 바로 ‘고’가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명사 ‘道理’에 바로 보조사 ‘고’가 결합하였다면 ‘ㄱ’이 약화되지 않는다. ‘ㄱ’이 약화되어 ‘ㅇ’으로 표기되는 현상은 ‘ㄱ’이 ‘ㄹ’이나 서술격 조사 어간 및 음절부음 [j] 뒤에 놓일 때에 발생한다.
··야 ·볼 ·디어다 주020)
볼 디어다:
볼지어다. 보-+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거/어(완료상 선어말어미)+다(평서문 종결어미). ‘-거-’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어-’로 교체된다.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또 이르되, 조주(趙州)의 ‘구자무불성(狗子無佛性)’의 화두를, 마음이 기쁘며 화가 나며 고요하며 어지러울 때에도 또 모름지기 잡고 붙들어
(=붙들되)
, 첫째로
(=무엇보다도)
뜻을 써서 깨닫지 말지니, 만약 뜻을 써서 알려 하고 스스로 이르되, 내가 지금 미혹하였노라 하여 미혹함을 잡고 깨닫기를 기다리면 비록 진겁(塵劫)이 지나도록 하여도 또 능히 마음을 얻지 못하리라 하셨느니라. 오직 화두를 들 때에 약간 정신을 떨쳐 버리고 이 무슨 도리인가 하고 볼지어다.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깃브며:기쁘며. 기ᇧ-[喜](동사어간)+브(형용사파생접미사)+며.
주002)
노(怒)며:화가 나며. 현대국어의 ‘노하다’는 동사로도 쓰이고 형용사로도 쓰이는 것 같은데, 여기의 ‘怒ᄒᆞ-’는 형용사이다.
주003)
괴외며:고요하며[寂]. 어근 ‘괴외-’의 발음은 [koj-oj]이다. [j]가 탈락한 ‘고요’[ko-jo](두시언해 중간본 2:16ㄱ)로도 나타나는데, 이는 중세국어의 ‘ㅚ’가 이중모음 [oj]였기 때문이다.
주004)
어즈러우매:어지러움에. 어즐(불규칙적 어근)+업(형용사파생 접미사)+옴/움(명사형어미)+애(부사격조사). 어즈러ᄫᅮᆷ〉어즈러움.
주005)
모로매:모름지기.
주006)
잡드러:잡고 붙들어. 잡-+들-+어. 비통사적 합성어이다. 문맥을 볼 때 ‘잡드로ᄃᆡ’가 더 적절해 보인다.
주007)
제일(第一)레:첫째로. 무엇보다도. ‘제일에’의 중철이다.
주008)
:써서. ᄡᅳ-[用]+어(연결어미).
주009)
마롤 디니:말지니. 말-[勿]+오/우+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니.
주010)
아로려:알려. 알-+오/우+리+어. 이어지는 ‘ᄒᆞ-’는 심리 상태를 인용하는 인용 동사이다. 그러므로 이 ‘-어’는 연결어미가 아니라 종결어미이다.
주011)
곧 이제:‘즉금(卽今)’의 축자역이다. 현대국어의 ‘지금’ 정도에 해당한다.
주012)
어류라:미혹하도다. 어리-[迷]+오/우(화자 초점 표지)+라(평서문 종결어미). 형용사에는 ‘-노라’가 쓰이지 않는다. ‘-노라’의 구성 성분인 ‘-ᄂᆞ-’ 때문이다.
주013)
진겁(塵劫)비:진겁이. ‘진겁이’의 중철이다. ‘진겁(塵劫)’은 ‘우주의 먼지만큼 많은 겁(劫)’, 즉 ‘영원한 시간’을 말한다.
주014)
디내록:지나도록. 디내-+ᄃᆞ록(연결어미). ‘디내-’는 원래 ‘디나-[過]+이(사동접미사)’으로 이루어진 타동사인데, 여기서는 자동사로 쓰였다.
주015)
시져레:때에. 시졀(時節)+에.
주016)
져기:약간. 젹-[少]+이(부사파생접미사).
주017)
러 리고:떨쳐 버리고. ᄠᅥᆯ-[拂, 振]+어(연결어미)+ᄇᆞ리-(보조동사 어간)+고.
주018)
므슴:무슨. ‘므슴’은 대명사, 관형사, 부사로 두루 쓰였는데, 여기서는 관형사로 쓰였다. ‘므스’계 대명사로 ‘므스, 므슴, 므슥’ 등이 사용되었다. 오늘날 쓰이는 ‘무슨’은 예를 들면 ‘므슷 일’이 [므슨닐]로 실현되는 현상에 따라 형성된 것이다. 17세기 문헌인 『권념요록』(1637)에 ‘므슨’이 보인다. ¶므슨 조뢴 일오〈권념요록 1ㄴ〉.
주019)
도리(道理)오:도리인가. 道理+Ø(서술격조사)+고(의문 종결어미).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ㄱ’이 약화한 것이다. 의문 보조사 ‘고’도 있지만, 여기의 ‘-고’는 의문 종결어미이다. 왜냐하면 명사 ‘道理’에 바로 ‘고’가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명사 ‘道理’에 바로 보조사 ‘고’가 결합하였다면 ‘ㄱ’이 약화되지 않는다. ‘ㄱ’이 약화되어 ‘ㅇ’으로 표기되는 현상은 ‘ㄱ’이 ‘ㄹ’이나 서술격 조사 어간 및 음절부음 [j] 뒤에 놓일 때에 발생한다.
주020)
볼 디어다:볼지어다. 보-+ㄹ(관형사형어미)+ᄃᆞ(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거/어(완료상 선어말어미)+다(평서문 종결어미). ‘-거-’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 ‘-어-’로 교체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