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76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760


【節要】
問호 洪州ㅣ 以能語言動作等으로 顯於心性니 即當顯敎ㅣ라 即是其用이어시니 何所闕耶ㅣ리오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무·로 주001)
무로:
앞에서부터 질문과 답변이 이어지고 있다. ‘무로ᄃᆡ’(52ㄱ)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洪州쥬ㅣ 能히 ·말·며 무·여 주002)
무여:
움직여. 뮈-[動]+어. 대개는 ‘뮈여’로 적힌다. ‘무여’는 극히 드물다. ‘뮈여’는 [muj-jə]이고 ‘무여’는 [mu-jə]이므로 ‘뮈여→무여’는 동음생략의 일종이다.
·료·

별행록절요언해:58ㄱ

주003)
료로:
다님으로써. -[走]+니-[行]+옴(명사형어미)+로(부사격조사). ‘뇨로’가 일반적인 표기인데, ‘ㄴ’이 ‘ㄹ’로 적혔다.
心심性··을 나·토·오니 주004)
나토오니:
나타내니. 드러내니. ‘나토니’를 잘못 쓴 것으로 보인다. 낱-오(사동접미사)+니. 이 책에는 ‘나토아’를 ‘나토와’로 쓴 예가 많다(52ㄴ, 54ㄱ, 57ㄱ, 57ㄴ, 60ㄱ, 70ㄴ 등). 그것은 실제 발음에서 반자음 [w]가 개입됨을 반영한 것이어서 특별히 문제될 것이 없다. ‘나토오니’는 ‘나토와’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로 ‘나토오-’라는 새로운 어간이 형성된 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곧 반·기 ·쳐 나·토· 주005)
나토:
나타내는. 드러내는. 낱-[現]+오(사동접미사)++ㄴ.
·디라 주006)
디라:
지라. (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어/아(연결어미). 연결어미 ‘-어/아’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는 ‘-라’로 교체된다.
·곧 ·이 그 · 用··이어시·니 주007)
용(用)이어시니:
작용이니. 종래에는 ‘-거시니/어시니’를 ‘거(완료상 선어말어미)+시+니(연결어미)’의 구조로 보고, 높임과 무관한 ‘-시-’의 정체를 설명하지 못하였다. 최근에 이를 ‘거(완료상 선어말어미)+옷(감동법 선어말어미)+으니’의 구조로 보는 견해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 문장에서 ‘-어시니’가 [감동]의 의미를 띠고 있는지는 분명치 않다. [감동]과 무관한 상황에까지 ‘-어시니’의 분포가 확대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엇·뎨 心심用·이 :업스·리오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묻되, 홍주(洪州)가 능히 말하고 움직이고 다니는 것으로써 심성(心性)을 나타내게 하니, 곧 반드시 가르쳐 나타내는지라, 곧 이것이 그 마음의 작용이니, 어찌 심용(心用)이 없으리오?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무로:앞에서부터 질문과 답변이 이어지고 있다. ‘무로ᄃᆡ’(52ㄱ)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주002)
무여:움직여. 뮈-[動]+어. 대개는 ‘뮈여’로 적힌다. ‘무여’는 극히 드물다. ‘뮈여’는 [muj-jə]이고 ‘무여’는 [mu-jə]이므로 ‘뮈여→무여’는 동음생략의 일종이다.
주003)
료로:다님으로써. -[走]+니-[行]+옴(명사형어미)+로(부사격조사). ‘뇨로’가 일반적인 표기인데, ‘ㄴ’이 ‘ㄹ’로 적혔다.
주004)
나토오니:나타내니. 드러내니. ‘나토니’를 잘못 쓴 것으로 보인다. 낱-오(사동접미사)+니. 이 책에는 ‘나토아’를 ‘나토와’로 쓴 예가 많다(52ㄴ, 54ㄱ, 57ㄱ, 57ㄴ, 60ㄱ, 70ㄴ 등). 그것은 실제 발음에서 반자음 [w]가 개입됨을 반영한 것이어서 특별히 문제될 것이 없다. ‘나토오니’는 ‘나토와’에 대한 오분석의 결과로 ‘나토오-’라는 새로운 어간이 형성된 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주005)
나토:나타내는. 드러내는. 낱-[現]+오(사동접미사)++ㄴ.
주006)
디라:지라. (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어/아(연결어미). 연결어미 ‘-어/아’는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에서는 ‘-라’로 교체된다.
주007)
용(用)이어시니:작용이니. 종래에는 ‘-거시니/어시니’를 ‘거(완료상 선어말어미)+시+니(연결어미)’의 구조로 보고, 높임과 무관한 ‘-시-’의 정체를 설명하지 못하였다. 최근에 이를 ‘거(완료상 선어말어미)+옷(감동법 선어말어미)+으니’의 구조로 보는 견해가 나타났다. 그러나 이 문장에서 ‘-어시니’가 [감동]의 의미를 띠고 있는지는 분명치 않다. [감동]과 무관한 상황에까지 ‘-어시니’의 분포가 확대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