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65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650


【私記】
黑이 即無黑이라 면 同牛頭고 黑即是珠ㅣ라 면 同洪州니 若親

별행록절요언해:50ㄴ

見明珠댄 深必該淺故也ㅣ니라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거·무미 ·곧 거·무미 :업스니·라 ·면 牛우頭두·와 ··고 주001)
고:
같고. 이 낱말의 형태 구조에 대하여는 ‘’(8ㄱ)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거·무미 ·곧 ·이 구·스:리라 ·면 洪州쥬·와 ··니 주002)
니:
같으니.
·다·가 친·히 · 구:스·를 보:고져 ·훌·딘·댄 주003)
훌딘댄:
할진대. 한다면. ‘홀딘댄’이 쓰일 자리인데, 제1음절의 글자 모양이 불분명하나 ‘훌’로 보인다. ‘보고져 홀딘댄’은 오역인 듯하다. 원문에 ‘欲’이 없으므로 ‘보면’이 옳아 보인다.
기·푸미 반·기 주004)
반기:
반드시. 반(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여·트매 주005)
여트매:
얕음에. 옅-[淺]+음(명사형어미)+애. ‘여트매’는 정음 초기 문헌이라면 ‘녀토매’ 또는 ‘녀투메’로 나타난다.
·려 주006)
려:
포함되어. 리-[包]+이(피동접미사)+어. ‘리다’는 ‘포함하다, 동여매다’란 뜻을 지니고 있다. ‘리다’는 현대국어의 ‘꾸리다’로 발달하였다.
:잇 젼·니라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검음이
(=검음에)
곧 검음이 없느니라 하면 곧 우두(牛頭)와 같고, 검음이 곧 이것이 구슬이라 하면 홍주(洪州)와 같으니, 만약 친히 밝은 구슬을 보고자 한다면
(=본다면)
깊음이 반드시 얕음에 포함되어 있는 까닭이니라.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고:같고. 이 낱말의 형태 구조에 대하여는 ‘’(8ㄱ)에 대한 주해를 참조할 것.
주002)
니:같으니.
주003)
훌딘댄:할진대. 한다면. ‘홀딘댄’이 쓰일 자리인데, 제1음절의 글자 모양이 불분명하나 ‘훌’로 보인다. ‘보고져 홀딘댄’은 오역인 듯하다. 원문에 ‘欲’이 없으므로 ‘보면’이 옳아 보인다.
주004)
반기:반드시. 반(불규칙적 어근)+이(부사파생접미사).
주005)
여트매:얕음에. 옅-[淺]+음(명사형어미)+애. ‘여트매’는 정음 초기 문헌이라면 ‘녀토매’ 또는 ‘녀투메’로 나타난다.
주006)
려:포함되어. 리-[包]+이(피동접미사)+어. ‘리다’는 ‘포함하다, 동여매다’란 뜻을 지니고 있다. ‘리다’는 현대국어의 ‘꾸리다’로 발달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