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역주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 별행록절요언해 0030
메뉴닫기 메뉴열기

별행록절요언해 0030


【私記】
今鈔荷澤宗을 在初者 要令觀行人로 先悟自心이 任迷任悟야 靈知不昧야 性無更改 然後에 歷覽諸宗야 知其旨趣호미 皆於爲人門中에 深有善巧故也ㅣ시니라 若未先得其源면 則於諸宗旨애 隨其言迹야 妄生取捨之心

별행록절요언해:3ㄴ

리어니 何能融會야 歸就自心耶ㅣ리오
Ⓒ 구결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이제 荷하澤·宗·을 ·처· 두: 주001)
두:
둠은. 둔 것은. ‘두’의 ‘두’가 ‘두’가 거성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3ㄱ), 여기서는 평성으로 나타나 있다.
모·로:매 觀관行 사:·로 주002)
사로:
사람으로 (하여금). 사+로(부사격조사). ‘-ᄋᆞ로’는 ‘-게(긔) -’와 어울려 사동문을 구성하는데, 이 문장에서는 ‘-게(긔) -’가 없다. 잘못으로 보인다. ‘아로미’를 ‘알에 호미(=알게 함이)’로 수정하면 될 것으로 보인다. 부사격 조사 ‘로’ 대신 목적격 조사 ‘/을’이 쓰이기도 한다.
몬져 주003)
제:
자기의. 저(재귀대명사)+ㅣ(관형격조사). ‘:제(상성)’는 주격형이고, ‘제(평성)’는 관형격형이다. 그러나 이 책의 성조 표시는 아주 혼란스럽다.
·미 어:료· 주004)
어료:
미혹함을. 어리석음을. 어리-[迷, 愚]+옴(명사형어미)+(목적격 조사).
조··며 아로· 조·차 靈知디 주005)
영지(靈知):
영지가. 주격 조사 생략형이다. 체언이 ‘ㅣ’로 끝남에 따른 것이다.
어리디 아·니·야 性··이 다·시 改變·변·티 아·니 · ·안 後:후:에 여:러 종·을 주006)
:
종(宗)을. 바로 뒤에는 ‘宗을’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한글로 적었다.
두로 주007)
두로:
두루. 다른 중세국어 문헌에서는 대개 ‘두루’로 나타난다.
·보·아 그 宗·을 아로·미 ·다 · 爲·위·· 門문中·에 기·피 이:든 주008)
이든:
착한. 묘한. 좋은. 읻[善]-+/은.
공· 주009)
공:
공교함이. 공교+ㅣ(주격 조사). ‘공교(工巧)’는 재주나 기예, 세공, 서화, 시가 등에 능함을 뜻한다.
:잇 젼·시·니라 ·다·가 몬·져 그 根근源원·을 ·얻·디 ·몯:면 여:러 宗旨·지:예 그 말· 자:최· 조·차 간·대·로 取:捨·샤·ㅅ 

별행록절요언해:4ㄱ

·
주010)
취사(取捨)ㅅ :
취하고 버리는 마음을. 관형격 조사 ‘ㅅ’이 쓰인 것은 ‘취사’를 명사로 사용한 것이다. ‘取’의 한자음 ‘ᄌᆔ’는 ‘ᄎᆔ’의 오각이다. ¶取ᄎᆔᄒᆞ고(25ㄱ). 取ᄎᆔ티(25ㄱ).
주011)
ᄆᆞᅀᆞᄆᆞᆯ:
마음을. ᄆᆞᅀᆞᆷ+ᄋᆞᆯ. 여기서는 연철되었는데, 이 표기에는 통일성이 없다. ¶ᄆᆞᅀᆞᆷ애(4ㄱ), ᄆᆞᅀᆞᆷ이라(19ㄱ), ᄆᆞᅀᆞᆷ을(26ㄱ) : ᄆᆞᅀᆞ미(3ㄱ), ᄆᆞᅀᆞᄆᆞᆯ(31ㄱ), ᄆᆞᅀᆞ매(84ㄱ), ᄆᆞᅀᆞ미라(5ㄴ).
내어·니 주012)
내어니:
내었으니. 낸 것이니. 내-+거/어(완료상 선어말어미)+니. ‘-거-’는 완료상을 나타내는데, 자동사와 형용사, 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인다. 그런데 ‘-거-’의 ‘ㄱ’은 서술격 조사나 ‘ㄹ’이나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 성문마찰음 [ɦ]으로 변화하는데, 이를 표기한 것이 ‘ㅇ’이다. 그러므로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는 ‘-거-’와 ‘-어-’가 구별되지 않는다.
·엇:뎨 주013)
엇뎨:
어찌. ‘엇뎨’는 ‘엇디’와 공존하는데, 의미 차이가 없다. ‘엇디’에 부사격 조사 ‘-에’가 통합하여 ‘엇뎨’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히 뫼·화 노·겨 제 ·애 나가·리·오 주014)
나가리오:
나아가리오. [進]-+아(연결어미)+가[行]-+리+고/오(라체 설명의문 종결어미). ‘-리-’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ㅇ’으로 표기한 것이다. ‘-오’는 형태상으로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지만, 이 문장은 수사의문문이다. 이 ‘-오’는 현대국어 ‘하오체’ 종결어미 ‘-오’와는 다른 것이다. ‘하오체’의 종결어미 ‘-오’는 선어말어미 ‘--’의 변이형 ‘--’에서 발달한 것이다. 즉 ‘-ᅀᆞᄫᆞ-’가 ‘-ᄋᆞ오-’를 거쳐 ‘-오-’로 발달하게 되는데, 선어말 어미 ‘-오-’가 종결어미화한 것이다.
Ⓒ 언해 | 미상 / 1522년(중종 17) 3월 일

이제 하택종(荷澤宗)을 맨 앞에 두는 것은 모름지기 관행(觀行)하는 사람으로 하여금 먼저 제 마음이 미혹함을 좇고, 깨달음을 좇아
(=미혹하든 깨달음을 얻든 그대로 두어)
영지가 어둡지 아니하여, 본성이 다시 바뀌지 아니하는 것을 깨달은 후에야 여러 종을 두루 보아, 그 종을 아는
(=알게 하는)
것이 다 남을 위하는 문중(門中)에 깊이 좋은 공교(工巧)가 있는 까닭이시다. 만약 먼저 그 근원을 얻지 못하면 여러 종지에 그 말씀의 자취를 좇아서, 멋대로 취사하는 마음을 내니, 어찌 능히 모아서, 녹여 제 마음으로 나아가리오?
Ⓒ 역자 | 이유기 / 2017년 12월 2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두:둠은. 둔 것은. ‘두’의 ‘두’가 ‘두’가 거성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3ㄱ), 여기서는 평성으로 나타나 있다.
주002)
사로:사람으로 (하여금). 사+로(부사격조사). ‘-ᄋᆞ로’는 ‘-게(긔) -’와 어울려 사동문을 구성하는데, 이 문장에서는 ‘-게(긔) -’가 없다. 잘못으로 보인다. ‘아로미’를 ‘알에 호미(=알게 함이)’로 수정하면 될 것으로 보인다. 부사격 조사 ‘로’ 대신 목적격 조사 ‘/을’이 쓰이기도 한다.
주003)
제:자기의. 저(재귀대명사)+ㅣ(관형격조사). ‘:제(상성)’는 주격형이고, ‘제(평성)’는 관형격형이다. 그러나 이 책의 성조 표시는 아주 혼란스럽다.
주004)
어료:미혹함을. 어리석음을. 어리-[迷, 愚]+옴(명사형어미)+(목적격 조사).
주005)
영지(靈知):영지가. 주격 조사 생략형이다. 체언이 ‘ㅣ’로 끝남에 따른 것이다.
주006)
:종(宗)을. 바로 뒤에는 ‘宗을’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한글로 적었다.
주007)
두로:두루. 다른 중세국어 문헌에서는 대개 ‘두루’로 나타난다.
주008)
이든:착한. 묘한. 좋은. 읻[善]-+/은.
주009)
공:공교함이. 공교+ㅣ(주격 조사). ‘공교(工巧)’는 재주나 기예, 세공, 서화, 시가 등에 능함을 뜻한다.
주010)
취사(取捨)ㅅ :취하고 버리는 마음을. 관형격 조사 ‘ㅅ’이 쓰인 것은 ‘취사’를 명사로 사용한 것이다. ‘取’의 한자음 ‘ᄌᆔ’는 ‘ᄎᆔ’의 오각이다. ¶取ᄎᆔᄒᆞ고(25ㄱ). 取ᄎᆔ티(25ㄱ).
주011)
ᄆᆞᅀᆞᄆᆞᆯ:마음을. ᄆᆞᅀᆞᆷ+ᄋᆞᆯ. 여기서는 연철되었는데, 이 표기에는 통일성이 없다. ¶ᄆᆞᅀᆞᆷ애(4ㄱ), ᄆᆞᅀᆞᆷ이라(19ㄱ), ᄆᆞᅀᆞᆷ을(26ㄱ) : ᄆᆞᅀᆞ미(3ㄱ), ᄆᆞᅀᆞᄆᆞᆯ(31ㄱ), ᄆᆞᅀᆞ매(84ㄱ), ᄆᆞᅀᆞ미라(5ㄴ).
주012)
내어니:내었으니. 낸 것이니. 내-+거/어(완료상 선어말어미)+니. ‘-거-’는 완료상을 나타내는데, 자동사와 형용사, 서술격조사에서는 ‘-거-’가 쓰이고, 타동사에서는 ‘-어-, -아-’가 쓰인다. 그런데 ‘-거-’의 ‘ㄱ’은 서술격 조사나 ‘ㄹ’이나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 약화하여 유성 성문마찰음 [ɦ]으로 변화하는데, 이를 표기한 것이 ‘ㅇ’이다. 그러므로 이중모음의 음절부음 [j] 뒤에서는 ‘-거-’와 ‘-어-’가 구별되지 않는다.
주013)
엇뎨:어찌. ‘엇뎨’는 ‘엇디’와 공존하는데, 의미 차이가 없다. ‘엇디’에 부사격 조사 ‘-에’가 통합하여 ‘엇뎨’가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주014)
나가리오:나아가리오. [進]-+아(연결어미)+가[行]-+리+고/오(라체 설명의문 종결어미). ‘-리-’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성문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ㅇ’으로 표기한 것이다. ‘-오’는 형태상으로는 설명의문 종결어미이지만, 이 문장은 수사의문문이다. 이 ‘-오’는 현대국어 ‘하오체’ 종결어미 ‘-오’와는 다른 것이다. ‘하오체’의 종결어미 ‘-오’는 선어말어미 ‘--’의 변이형 ‘--’에서 발달한 것이다. 즉 ‘-ᅀᆞᄫᆞ-’가 ‘-ᄋᆞ오-’를 거쳐 ‘-오-’로 발달하게 되는데, 선어말 어미 ‘-오-’가 종결어미화한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