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3
  • 번역소학 제3권
  • 내편(內篇)○제2편 명륜(明倫)○통론(通論)
  • 통론 003
메뉴닫기 메뉴열기

통론 003


禮례記긔예 曰왈 事親친호 有유隱은而無무犯범며 左좌右우就讓이 無무方며 服복勤근至지死며 致티喪三삼年년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번역소학 권3:41ㄴ

禮례記긔예 로 어버 주001)
어버ᅀᅵ:
어버이. ‘ㅿ’이 유지되고 있다. 『소학언해』(2:72ㄱ)에서는 ‘어버이’로 나타난다. 이 책(3:39ㄴ)에서 ‘어버이’도 보인다.
 셤교 그기 주002)
그ᅀᅳ기:
은밀(隱密)하게. 은미(隱微)하게. 그ᅀᅳᆨ-[隱, 竊](불규칙적 어근)+이(부사 파생 접미사). ‘그ᅀᅳ기 간ᄒᆞ고’가 『소학언해』(2:72ㄱ)에서는 ‘隱【그윽이 諫홈이라】 홈이 잇고’로 바뀌었다.
간고 거스려 주003)
거스려:
거슬러. 거스리-[逆]+어(연결 어미). ‘거스려 노케 말며’가 『소학언해』(2:72ㄱ)에서는 ‘犯【ᄂᆞᆺ빗ᄎᆞᆯ 거슬여 諫홈이라】 홈이 업스며’로 바뀌었다. 중세 국어 시기에는 ‘거슬다, 거스리다’가 쓰였다. ¶①朝臣을 거스르샤 讓兄ㄱ  일우신〈용비어천가 99〉 ②부톄 거즛 工巧 거스리샤 委曲히 야 기시니라〈능엄경언해 1:62ㄴ〉.
노케 주004)
노케:
노(怒)하게.
말며 주005)
말며:
말며. 현대 국어의 ‘-게 하지 말-’이 여기서는 ‘-게 말-’로 나타나 있다. 현대 국어의 ‘말다’와 달리 여기의 ‘말다’는 본동사로 쓰인 것이다.
여러 가지로 보ᇰ야 일 주006)
일뎌ᇰᄒᆞᆫ:
일정(一定)한. 중세 국어의 ‘一定ᄒᆞ다, 일뎌ᇰᄒᆞ다’는 대개 ‘결정하다, 확정하다’를 뜻하는 타동사로 쓰였다. 이 책(4:2ㄴ)의 ‘일뎌ᇰ히’는 ‘안정되게’를 뜻하고 있다. ‘정해져 있다, 고르다, 균일하다’를 뜻하는 형용사로 쓰이는 예는 많지 않다. ‘一定야’에는 동사의 활용형도 있고, 부사로 굳어져서 ‘반드시, 꼭, 마치’의 뜻을 나타내는 것도 있다. 아래 예문은 후자의 경우이다. ¶一定야 녯 사 迷失홈과 리로다=定似昔人迷〈두시언해 초간본 7:13ㄱ〉.
고디 주007)
고디:
곳이. 곧[處, 所]+이(주격 조사). 곧〉곳. 『소학언해』(2:72ㄱ)에서 ‘곧이’로 나타난다.
업게 며 이 브즈러니 주008)
브즈러니:
부지런히. ‘브즈러니’의 구조를 기술하는 세 가지 방안이 있다. ①‘브즈런(명사)+다(형용사 파생 접미사)’에 ‘-이(부사 파생 접미사)’가 붙은 ‘브즈런히’에서 ‘ㅎ’이 약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보는 것. ②명사 ‘브즈런’에 접사 ‘-이’가 붙은 것으로 보는 것. ③기원적으로 부사적 성격을 갖는 불규칙적 어근 ‘브즈런’에 접미사 ‘-이’가 붙은 것이다. 여기서는 ③을 취하기로 한다. ①은 ‘ㅎ’ 탈락이 중세 국어 시기에 활발하지 않았으므로 취하지 않는다. ②도 격조사와 결합한 ‘브즈런’이 확인되지 않으므로 취하지 않는다.
야 주구매 주009)
주구매:
죽음에. 죽-[死]+움(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니르히 주010)
니르히:
이르도록. 일반적으로는 ‘니르리’가 쓰이지만, ‘니르히’의 예도 적지 않다. ‘니르리’의 구조는 ‘니를-[至]+이(부사형 어미)’인데, ‘니르히’의 구조는 분명치 않다. ‘니릏다’라는 동사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모음이 다른 ‘니ᄅᆞ히’도 쓰였다.
며 홀 주011)
ᄀᆞ자ᇰ홀:
극진한. 중세 국어의 ‘ᄀᆞ자ᇰ’은 명사, 부사, 보조사로 쓰인다. 의미도 아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부사 ‘’은 ‘매우, 극도로, 분명하게’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간혹 현대 국어의 ‘가장’(최상급)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명사 ‘’은 ‘끝, 극한의 정도’ 등을 뜻한다. ‘극한적인 행동이나 상태’를 뜻하는 ‘다’도 쓰인다. ‘홀’의 구조는 ‘ᄒᆞ-[爲]+오(선어말 어미)+ㄹ’이다. 여기의 ‘-ㄹ’은 미래시제가 아니라 절대시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ᄀᆞ자ᇰ홀 거사ᇰ을’이 『소학언해』(2:72ㄱ)에서는 ‘거사ᇰ을 극진히 홈을’로 바뀌었다.
거 三삼年년을 홀 디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예기』에서 이르되, 어버이를 섬기되 은밀(隱密)하게 간(諫)하고, 마음을 거슬러서 노(怒)하게 하지 말며, 여러 가지로 봉양하여 일정한 곳이 없게 하며, 일을 부지런히 하여 죽음에 이르도록 하며, 극진한 거상(居喪)을 삼 년을 할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단궁(檀弓). 주석 1(소학증주) : 은(隱)은 은미(隱微)하게 간(諫)하는 것이고, 범(犯)은 안색을 거스르면서 간(諫)하는 것이다. 어버이는 인(仁)이 있는 곳이니 허물이 있다고 해서 안색을 거스르면서 간언하면 은혜를 상하게 된다. 그러므로 은미하게 간하여, 안색을 거스르면서 간언함이 없어야 한다. 좌우(左右)는 방향이다. 혹은 왼편으로 혹은 오른편으로 가까이 다가가서 봉양하여 일정한 방향이 없다는 것이니, 일일이 다 마땅히 알아서 처리함을 말한 것이다. 복근(服勤)은 힘든 일을 부지런히 행함이다. 황씨(黃氏)가 말하였다. “수고로운 일을 죽도록 한다는 말은 수고로운 일을 일정한 때가 없이 행하여 혹시라도 그침이 없음이다.”(隱微諫也 犯犯顔以諫也 親者仁之所在 有過而犯則傷恩 故有隱而無犯 左右卽方也 或左或右 近就而奉養之 無一定之方 言事事皆當理會也 服勤服行勤勞之事也 黃氏曰 於勤 言至死 則勤無時或已矣). 주석 2(소학집해) : 치상(致喪)은 그 슬퍼하고 (몸을) 훼손하는 예절을 극진히 하는 것이다.(致喪 極其哀毁之節也). 황씨(黃氏)가 누구인지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성백효(1993:161)과 이충구 외(2019a:197)에서도 밝히지 않았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事君군호 有유犯범而無무隱은며 左좌右우就養이 有유方며 服복勤근至지死며 方喪三삼年년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님금 주012)
님금:
임금. 님금〉님굼〉님군. 17세기에는 ‘능금’을 뜻하는 ‘님금(林檎)’도 나타난다.
셤교 주013)
셤교ᄃᆡ:
섬기되. 셤기-[事]+오ᄃᆡ.
거스려 주014)
거스려:
거슬러. 앞 대목 참조.
간고 그기 말며

번역소학 권3:42ㄱ

여러 가지로 요 일 고 잇게 며 일 호 브즈러니 야 주구매 니르히 며 어버 주015)
어버ᅀᅵ:
어버이. 원문의 ‘方’은 ‘견줌’을 뜻한다.
티 주016)
ᄀᆞ티:
같이. ᄀᆞᇀ-[如]+이(부사형 어미). 현대 국어 문법에서는 ‘처럼’과 같은 의미를 띠면서 체언류 바로 뒤에 쓰이는 ‘같이’를 보조사로 처리한다. 이에 따라 여기의 ‘ᄀᆞ티’도 보조사로 간주하기로 한다. ‘ᄀᆞᇀ-’의 기원적 구조는 ‘(부사)+-’이다. 그러나 오분석에 따라 이 낱말은 복잡한 변화를 겪게 된다. 이를테면, ‘ᄀᆞᆮ(부사)+ᄒᆞ-+ㄴ’의 구조인 ‘’을 ‘-(형용사 어간)+’으로 오분석한 결과 어간 ‘-’이 형성되었으며, ‘니’를 ‘-(형용사 어간)+니’로 오분석한 결과 새로운 어간 ‘-’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중세 국어 시기는 이러한 변화의 과도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중세 국어 ‘ᄐᆞ니’와 같은 경우는 다음 세 구조 중 어느 것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다. ①(부사)+-+니 ②-+니 ③-+니. 현대 국어에서 ‘같네요’보다는 ‘같으네요’가 더 널리 쓰이는데, 그것은 ‘다’의 흔적이다. 말하자면 현대 국어에 ‘같다’와 ‘같으다’가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대 국어의 ‘(남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꼭) 맞다’를 뜻하는 ‘맛다’도 『석보상절』에 보인다. ¶舍利ᄅᆞᆯ 여듧 金壜애 녀ᄊᆞᄫᆞ니 맛ᄒᆞ더시니〈석보상절 23:51ㄴ〉. ‘-’의 어원을 고려하면, ‘맛-’의 ‘맛’ 역시 부사 ‘맞[合致]’일 가능성이 있다. 『석보상절』은 일반적인 언해서와 달라서 그 내용이 저경과 정확하게 부합하지는 않지만, 여기의 ‘맛ᄒᆞ-’는 저경의 ‘滿八金壜舍利便盡’의 ‘滿’과 관련됨이 분명하다. 〈참고〉대열반경(大涅槃經) 후분(後分) 권하(卷下) 성구곽윤품(聖軀廓潤品) 제4, 대정신수대장경(12:911상).
홀 거을 三삼年년을 홀 디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임금을 섬기되 거슬러서 간(諫)하고 은밀(隱密)하게 간하지 말며, 여러 가지로 봉양함을 일정한 곳이 있게 하며, 일을 하기를 부지런히 하여 죽음에 이르도록 하며, 어버이같이 치를 거상(居喪)을 삼 년을 할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단궁(檀弓). 주석 1(소학증주) : 임금은 의(義)가 있는 곳이다. 허물이 있는데 숨기면 아첨에 가깝다. 그러므로 안색을 거스르면서 간함이 있고 숨김이 없는 것이다. 좌우로 나아가 봉양하되 일정한 방소(方所)가 있다는 것은 마땅히 각각 맡은 직분을 다한다는 것이다.(君者義之所在 有過而隱 則近於容悅 故有犯而無隱 左右就養有方 言當各盡職守也). 주석 2(소학집해) : 방상(方喪)은 부모의 상과 같이 하는 것이다.(方喪 比方於親喪也).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事師호 無무犯범無무隱은며 左좌右우就讓이 無무方며 服복勤근至지死며 心심喪三삼年년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스을 셤교 거스리도 주017)
거스리도:
거스르게도. 거슬[逆](불규칙적 어근)+이(부사 파생 접미사)+도(보조사). ‘거스리도 말며’가 『소학언해』(2:72ㄴ)에서는 ‘犯홈도 업고’로 나타난다.
말며 그기 주018)
그ᅀᅳ기:
은밀(隱密)하게. 은미(隱微)하게. 그ᅀᅳᆨ-[隱, 竊](불규칙적 어근)+이(부사 파생 접미사).
도 말며 여러 가지로 야 일 주019)
일뎌ᇰᄒᆞᆫ:
일정(一定)한. 중세 국어의 ‘一定ᄒᆞ다, 일뎌ᇰᄒᆞ다’는 대개 ‘결정하다, 확정하다’를 뜻하는 타동사로 쓰였다. ‘정해져 있다, 고르다, 균일하다’를 뜻하는 형용사로 쓰이는 예는 많지 않다. ‘一定야’에는 동사의 활용형도 있고, 부사로 굳어져서 ‘반드시, 꼭, 마치’의 뜻을 나타내는 것도 있다. 아래 예문은 후자의 경우이다. ¶一定야 녯 사 迷失홈과 리로다=定似昔人迷〈두시언해 초간본 7:13ㄱ〉.
고디 주020)
고디:
곳이. 곧[處, 所]+이(주격 조사). 곧〉곳.
업게 며 일 호 브즈러니 야 주구메 니르히 며 心

번역소학 권3:42ㄴ

심喪 三삼年년을 홀 디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스승을 섬기되 거스르게도 하지 말며 은밀하게도 하지 말며, 여러 가지로 봉양하여 일정한 곳이 없게 하며, 일 함을 부지런히 하여 죽음에 이르도록 하며 심상(心喪)을 삼 년을 할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단궁. 주석(소학집해) : 스승은 도가 있는 곳이다. 간(諫)하더라도 반드시 거절을 당하지 않을 것이니 굳이 안색을 거스르면서 간할 것이 없고, 허물이 있으면 마땅히 의심하고 물어야 하니 굳이 은미하게 할 것이 없다. 심상(心喪)은 몸에는 최마(衰麻: 상복)를 입지 않지만 슬퍼하는 정이 있는 것이다.(師者 道之所在 諫必不見拒 不必犯也 過則當疑問 不必隱也 心喪者 身無衰麻之服而心有哀戚之情也). ‘최마(衰麻)’는 상복으로 입는 베옷이다. 이때의 ‘衰’는 ‘쇠’가 아니라 ‘최’로 읽힌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어버ᅀᅵ:어버이. ‘ㅿ’이 유지되고 있다. 『소학언해』(2:72ㄱ)에서는 ‘어버이’로 나타난다. 이 책(3:39ㄴ)에서 ‘어버이’도 보인다.
주002)
그ᅀᅳ기:은밀(隱密)하게. 은미(隱微)하게. 그ᅀᅳᆨ-[隱, 竊](불규칙적 어근)+이(부사 파생 접미사). ‘그ᅀᅳ기 간ᄒᆞ고’가 『소학언해』(2:72ㄱ)에서는 ‘隱<원주>【그윽이 諫홈이라】 홈이 잇고’로 바뀌었다.
주003)
거스려:거슬러. 거스리-[逆]+어(연결 어미). ‘거스려 노케 말며’가 『소학언해』(2:72ㄱ)에서는 ‘犯<원주>【ᄂᆞᆺ빗ᄎᆞᆯ 거슬여 諫홈이라】 홈이 업스며’로 바뀌었다. 중세 국어 시기에는 ‘거슬다, 거스리다’가 쓰였다. ¶①朝臣을 거스르샤 讓兄ㄱ  일우신〈용비어천가 99〉 ②부톄 거즛 工巧 거스리샤 委曲히 야 기시니라〈능엄경언해 1:62ㄴ〉.
주004)
노케:노(怒)하게.
주005)
말며:말며. 현대 국어의 ‘-게 하지 말-’이 여기서는 ‘-게 말-’로 나타나 있다. 현대 국어의 ‘말다’와 달리 여기의 ‘말다’는 본동사로 쓰인 것이다.
주006)
일뎌ᇰᄒᆞᆫ:일정(一定)한. 중세 국어의 ‘一定ᄒᆞ다, 일뎌ᇰᄒᆞ다’는 대개 ‘결정하다, 확정하다’를 뜻하는 타동사로 쓰였다. 이 책(4:2ㄴ)의 ‘일뎌ᇰ히’는 ‘안정되게’를 뜻하고 있다. ‘정해져 있다, 고르다, 균일하다’를 뜻하는 형용사로 쓰이는 예는 많지 않다. ‘一定야’에는 동사의 활용형도 있고, 부사로 굳어져서 ‘반드시, 꼭, 마치’의 뜻을 나타내는 것도 있다. 아래 예문은 후자의 경우이다. ¶一定야 녯 사 迷失홈과 리로다=定似昔人迷〈두시언해 초간본 7:13ㄱ〉.
주007)
고디:곳이. 곧[處, 所]+이(주격 조사). 곧〉곳. 『소학언해』(2:72ㄱ)에서 ‘곧이’로 나타난다.
주008)
브즈러니:부지런히. ‘브즈러니’의 구조를 기술하는 세 가지 방안이 있다. ①‘브즈런(명사)+다(형용사 파생 접미사)’에 ‘-이(부사 파생 접미사)’가 붙은 ‘브즈런히’에서 ‘ㅎ’이 약화되어 형성된 것으로 보는 것. ②명사 ‘브즈런’에 접사 ‘-이’가 붙은 것으로 보는 것. ③기원적으로 부사적 성격을 갖는 불규칙적 어근 ‘브즈런’에 접미사 ‘-이’가 붙은 것이다. 여기서는 ③을 취하기로 한다. ①은 ‘ㅎ’ 탈락이 중세 국어 시기에 활발하지 않았으므로 취하지 않는다. ②도 격조사와 결합한 ‘브즈런’이 확인되지 않으므로 취하지 않는다.
주009)
주구매:죽음에. 죽-[死]+움(명사형 어미)+애(부사격 조사).
주010)
니르히:이르도록. 일반적으로는 ‘니르리’가 쓰이지만, ‘니르히’의 예도 적지 않다. ‘니르리’의 구조는 ‘니를-[至]+이(부사형 어미)’인데, ‘니르히’의 구조는 분명치 않다. ‘니릏다’라는 동사가 존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모음이 다른 ‘니ᄅᆞ히’도 쓰였다.
주011)
ᄀᆞ자ᇰ홀:극진한. 중세 국어의 ‘ᄀᆞ자ᇰ’은 명사, 부사, 보조사로 쓰인다. 의미도 아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부사 ‘’은 ‘매우, 극도로, 분명하게’ 등의 의미를 나타내는데, 간혹 현대 국어의 ‘가장’(최상급)과 같은 의미를 나타내기도 한다. 명사 ‘’은 ‘끝, 극한의 정도’ 등을 뜻한다. ‘극한적인 행동이나 상태’를 뜻하는 ‘다’도 쓰인다. ‘홀’의 구조는 ‘ᄒᆞ-[爲]+오(선어말 어미)+ㄹ’이다. 여기의 ‘-ㄹ’은 미래시제가 아니라 절대시제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ᄀᆞ자ᇰ홀 거사ᇰ을’이 『소학언해』(2:72ㄱ)에서는 ‘거사ᇰ을 극진히 홈을’로 바뀌었다.
주012)
님금:임금. 님금〉님굼〉님군. 17세기에는 ‘능금’을 뜻하는 ‘님금(林檎)’도 나타난다.
주013)
셤교ᄃᆡ:섬기되. 셤기-[事]+오ᄃᆡ.
주014)
거스려:거슬러. 앞 대목 참조.
주015)
어버ᅀᅵ:어버이. 원문의 ‘方’은 ‘견줌’을 뜻한다.
주016)
ᄀᆞ티:같이. ᄀᆞᇀ-[如]+이(부사형 어미). 현대 국어 문법에서는 ‘처럼’과 같은 의미를 띠면서 체언류 바로 뒤에 쓰이는 ‘같이’를 보조사로 처리한다. 이에 따라 여기의 ‘ᄀᆞ티’도 보조사로 간주하기로 한다. ‘ᄀᆞᇀ-’의 기원적 구조는 ‘(부사)+-’이다. 그러나 오분석에 따라 이 낱말은 복잡한 변화를 겪게 된다. 이를테면, ‘ᄀᆞᆮ(부사)+ᄒᆞ-+ㄴ’의 구조인 ‘’을 ‘-(형용사 어간)+’으로 오분석한 결과 어간 ‘-’이 형성되었으며, ‘니’를 ‘-(형용사 어간)+니’로 오분석한 결과 새로운 어간 ‘-’가 형성되기에 이르렀다. 그런데 중세 국어 시기는 이러한 변화의 과도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중세 국어 ‘ᄐᆞ니’와 같은 경우는 다음 세 구조 중 어느 것인지 확인하기 어려운 것이다. ①(부사)+-+니 ②-+니 ③-+니. 현대 국어에서 ‘같네요’보다는 ‘같으네요’가 더 널리 쓰이는데, 그것은 ‘다’의 흔적이다. 말하자면 현대 국어에 ‘같다’와 ‘같으다’가 공존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현대 국어의 ‘(남지도 않고 모자라지도 않게 꼭) 맞다’를 뜻하는 ‘맛다’도 『석보상절』에 보인다. ¶舍利ᄅᆞᆯ 여듧 金壜애 녀ᄊᆞᄫᆞ니 맛ᄒᆞ더시니〈석보상절 23:51ㄴ〉. ‘-’의 어원을 고려하면, ‘맛-’의 ‘맛’ 역시 부사 ‘맞[合致]’일 가능성이 있다. 『석보상절』은 일반적인 언해서와 달라서 그 내용이 저경과 정확하게 부합하지는 않지만, 여기의 ‘맛ᄒᆞ-’는 저경의 ‘滿八金壜舍利便盡’의 ‘滿’과 관련됨이 분명하다. 〈참고〉대열반경(大涅槃經) 후분(後分) 권하(卷下) 성구곽윤품(聖軀廓潤品) 제4, 대정신수대장경(12:911상).
주017)
거스리도:거스르게도. 거슬[逆](불규칙적 어근)+이(부사 파생 접미사)+도(보조사). ‘거스리도 말며’가 『소학언해』(2:72ㄴ)에서는 ‘犯홈도 업고’로 나타난다.
주018)
그ᅀᅳ기:은밀(隱密)하게. 은미(隱微)하게. 그ᅀᅳᆨ-[隱, 竊](불규칙적 어근)+이(부사 파생 접미사).
주019)
일뎌ᇰᄒᆞᆫ:일정(一定)한. 중세 국어의 ‘一定ᄒᆞ다, 일뎌ᇰᄒᆞ다’는 대개 ‘결정하다, 확정하다’를 뜻하는 타동사로 쓰였다. ‘정해져 있다, 고르다, 균일하다’를 뜻하는 형용사로 쓰이는 예는 많지 않다. ‘一定야’에는 동사의 활용형도 있고, 부사로 굳어져서 ‘반드시, 꼭, 마치’의 뜻을 나타내는 것도 있다. 아래 예문은 후자의 경우이다. ¶一定야 녯 사 迷失홈과 리로다=定似昔人迷〈두시언해 초간본 7:13ㄱ〉.
주020)
고디:곳이. 곧[處, 所]+이(주격 조사). 곧〉곳.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