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3
  • 번역소학 제3권
  • 내편(內篇)○제2편 명륜(明倫)○명부부지별(明夫婦之別)
  • 명부부지별 022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부부지별 022


是시故고로 女녀ㅣ 及급日일乎호閨규門문之지內며 不블百里리而奔분喪며 事無무擅쳔爲위며 行無무獨독成며 叅참知디而後후에 動며 可가驗험而後후에 言

번역소학 권3:21ㄱ

언며 晝듀不블遊유庭며 夜야行以이火화니 所소以이正婦부德덕也야ㅣ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이런이런 로 계지븐 주001)
계지븐:
여자는. 겨집〉계집.
문 주002)
듀ᇰ문:
중문(中門). 규문(閨門). 『소학언해』(2:54ㄱ)에서는 ‘바ᇰ門’으로 바뀌었다.
안해셔 주003)
안해셔:
안에서. 안ㅎ[內](ㅎ말음체언)+애셔. ‘애셔’의 기원적 구조는 ‘애(부사격 조사)+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이다.
나 져믈오며 주004)
져믈오며:
저물도록 지내며. 져믈-[日沒]+오(사동 접미사)+며. ‘나ᄅᆞᆯ 져믈오며’는 현대 국어의 ‘해가 저물다/날이 저물다’와는 구조가 다르다. ‘목적어+타동사’ 구성의 ‘나ᄅᆞᆯ 져믈오-’가 낯설어 보이는데, 현대 국어 ‘밤을 새우다’의 경우와 비교해 보면 같은 구성임을 알 수 있다.
百里리 주005)
ᄇᆡᆨ리:
백리(百里).
해 居거喪 주006)
거사ᇰ:
거상(居喪). 상을 치름.
니브라 주007)
니브라:
입으러. 상을 치르러. 닙-[服]+으라(연결 어미).
가 주008)
가ᄆᆞᆯ:
감을. 가-[去]+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동사 어간 ‘가-’는 본래 평성인데, 여기서는 상성으로 나타난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가 명사형 어미 ‘-옴/움’의 ‘오, 우’와 결합하면서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변화한다.
아니며 이 주009)
이ᄅᆞᆯ:
일을. 일+ᄋᆞᆯ.
주변로 주010)
쥬변ᄋᆞ로:
제멋대로. 쥬변〉주변. ‘말주변, 주변머리’의 ‘주변’은 이 ‘쥬변’에서 변한 것이다.
호미 업스며 行뎍 주011)
ᄒᆡᇰ뎍:
‘행적(行蹟)’으로 보인다. ‘行뎍’은 제 2음절에서는 한자를 표기하지 않은 것이다. 『소학언해』(2:54ㄱ)에서는 ‘行ᄒᆡᇰ실’로 바뀌었다(‘실’은 한자 없이 훈민정음으로만 표기됨.).
을 오 일우미 업스며 미 叅참예 주012)
참예:
참예(參預). 참여. ‘叅참예’는 제 2음절에서는 한자를 쓰지 않은 것이다. 이런 예가 몇 군데 보인다.
야 알에 주013)
알에:
알게. 알-[知]+게.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 성문 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이다.
후에 주014)
후에ᅀᅡ:
후에야. ‘ᅀᅡ’는 ‘강조, 의무, 당연’ 등을 뜻하는데, 어미나 체언 및 조사 뒤에 쓰일 때에는 보조사이고, 선어말 어미 ‘-거-’ 뒤에 나타날 때에는 ‘-거-’와 어울려서 어말 어미를 이룬다. 이 책에는 ‘ㅿ’이 쓰인 예도 있고 ‘ㅇ’으로 변화한 예도 있다. ¶①할아며 기리논 예〈번역소학 6:24ㄴ〉, 어버ᅀᅵ〈번역소학 9:8ㄱ〉 ②ᄉᆞ이〈번역소학 8:11ㄴ, 10:9ㄴ〉, 어버이〈번역소학 9:8ㄴ〉.
거동며 의거얌직 주015)
의거ᄒᆞ얌직ᄒᆞᆫ:
근거를 댈 수 있음직한. 의거(依據)+ᄒᆞ-+암직/엄직/얌직(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암직ᄒᆞ다’는 ‘-ㅁ직하다’나 ‘-ㄹ 만하다’를 뜻한다.
후에 니며 나 주016)
나ᄌᆡ:
낮에. 낮+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헤 주017)
ᄠᅳᆯ헤:
뜰에. ᄠᅳᆯㅎ[庭](ㅎ말음체언)+에.
주018)
나:
나가. 나-[出]+아(연결 어미).
노니디 주019)
노니디:
노닐지. 놀-[遊]+니-[行]+디. 노니다〉노닐다. ‘노닐-’은 근대 국어 시기에 발생한다.
말며 바 뇨 주020)
ᄃᆞᆫ뇨ᄃᆡ:
다니되. ᄃᆞᆮ-[走]+니-[行]+오ᄃᆡ. 합성어 ‘ᄃᆞᆫ니-’에 ‘ᄃᆞᆮ-’의 의미 [走]는 남아 있지 않다.
브를 주021)
브를:
불을. 블[火]+을.
주022)
ᄡᅥ:
써. 사용하여. ᄡᅳ-[用]+어(연결 어미). ‘브를 ᄡᅥ’가 『소학언해』(2:54ㄱ)에서는 ‘블로 ᄡᅥ’로 바뀌었다. ‘’는 다양한 환경에 나타난다. 목적격 조사나 부사격 조사 ‘로’ 뒤에도 나타나고, 연결 어미 ‘-아, -니’ 뒤에도 나타나며, ‘엇디’ 등의 부사 뒤에도 나타난다. 이 때문에 문법적 성격을 규정하기가 쉽지 않다. 동사의 활용형, 부사, 복합조사의 일부 등 다양한 성격을 보여 준다. 여기서는 동사의 활용형이다.
홀 디니 계지븨 德덕을 正오논 주023)
졍ᄒᆡ오논:
바르게 하는. 져ᇰ(正)+ᄒᆞ-+이오(사동 접미사)+ᄂᆞ(현재시제 선어말 어미)+오+ㄴ(관형사형 어미). 『소학언해』(2:54ㄱ)에서는 ‘正져ᇰ케 ᄒᆞ논’으로 바뀌었다. ‘-이오-’는 사동 접미사가 중첩된 것이지만, 공시적으로는 한 형태소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배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이런 까닭으로 여자는 중문(中門) 안에서 하루 종일 지내며, 백리 떨어진 곳에 거상(居喪) 입으러 가지 아니하며, 일을 자기 멋대로 함이 없으며, 행동을 독단으로 이룸이 없으며, 남이 참여하여 알게 한 후에야 행동하며, 근거를 댈 수 있음직한 후에야 말하며, 낮에 뜰에 나가서 노닐지 말며, 밤에는 다니되 불을 사용할지니, 이것이 여자의 덕을 바르게 하는 것이니라.
〈해설〉 출전 : 대대례(大戴禮) 본명해(本命解) 가어(家語). 주대(周代)의 제후국 영토가 직경 백리 내외였으므로, 친정 부모가 백리 밖의 외국에서 죽었을 때에 여자는 국경을 넘어가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성백효 1993:138).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계지븐:여자는. 겨집〉계집.
주002)
듀ᇰ문:중문(中門). 규문(閨門). 『소학언해』(2:54ㄱ)에서는 ‘바ᇰ門’으로 바뀌었다.
주003)
안해셔:안에서. 안ㅎ[內](ㅎ말음체언)+애셔. ‘애셔’의 기원적 구조는 ‘애(부사격 조사)+시-[在](동사 어간)+어(연결 어미)’이다.
주004)
져믈오며:저물도록 지내며. 져믈-[日沒]+오(사동 접미사)+며. ‘나ᄅᆞᆯ 져믈오며’는 현대 국어의 ‘해가 저물다/날이 저물다’와는 구조가 다르다. ‘목적어+타동사’ 구성의 ‘나ᄅᆞᆯ 져믈오-’가 낯설어 보이는데, 현대 국어 ‘밤을 새우다’의 경우와 비교해 보면 같은 구성임을 알 수 있다.
주005)
ᄇᆡᆨ리:백리(百里).
주006)
거사ᇰ:거상(居喪). 상을 치름.
주007)
니브라:입으러. 상을 치르러. 닙-[服]+으라(연결 어미).
주008)
가ᄆᆞᆯ:감을. 가-[去]+옴(명사형 어미)+ᄋᆞᆯ(목적격 조사). 동사 어간 ‘가-’는 본래 평성인데, 여기서는 상성으로 나타난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가 명사형 어미 ‘-옴/움’의 ‘오, 우’와 결합하면서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변화한다.
주009)
이ᄅᆞᆯ:일을. 일+ᄋᆞᆯ.
주010)
쥬변ᄋᆞ로:제멋대로. 쥬변〉주변. ‘말주변, 주변머리’의 ‘주변’은 이 ‘쥬변’에서 변한 것이다.
주011)
ᄒᆡᇰ뎍:‘행적(行蹟)’으로 보인다. ‘行뎍’은 제 2음절에서는 한자를 표기하지 않은 것이다. 『소학언해』(2:54ㄱ)에서는 ‘行ᄒᆡᇰ실’로 바뀌었다(‘실’은 한자 없이 훈민정음으로만 표기됨.).
주012)
참예:참예(參預). 참여. ‘叅참예’는 제 2음절에서는 한자를 쓰지 않은 것이다. 이런 예가 몇 군데 보인다.
주013)
알에:알게. 알-[知]+게.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 성문 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이다.
주014)
후에ᅀᅡ:후에야. ‘ᅀᅡ’는 ‘강조, 의무, 당연’ 등을 뜻하는데, 어미나 체언 및 조사 뒤에 쓰일 때에는 보조사이고, 선어말 어미 ‘-거-’ 뒤에 나타날 때에는 ‘-거-’와 어울려서 어말 어미를 이룬다. 이 책에는 ‘ㅿ’이 쓰인 예도 있고 ‘ㅇ’으로 변화한 예도 있다. ¶①할아며 기리논 예〈번역소학 6:24ㄴ〉, 어버ᅀᅵ〈번역소학 9:8ㄱ〉 ②ᄉᆞ이〈번역소학 8:11ㄴ, 10:9ㄴ〉, 어버이〈번역소학 9:8ㄴ〉.
주015)
의거ᄒᆞ얌직ᄒᆞᆫ:근거를 댈 수 있음직한. 의거(依據)+ᄒᆞ-+암직/엄직/얌직(접미사)+-+ㄴ(관형사형 어미). ‘-암직ᄒᆞ다’는 ‘-ㅁ직하다’나 ‘-ㄹ 만하다’를 뜻한다.
주016)
나ᄌᆡ:낮에. 낮+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주017)
ᄠᅳᆯ헤:뜰에. ᄠᅳᆯㅎ[庭](ㅎ말음체언)+에.
주018)
나:나가. 나-[出]+아(연결 어미).
주019)
노니디:노닐지. 놀-[遊]+니-[行]+디. 노니다〉노닐다. ‘노닐-’은 근대 국어 시기에 발생한다.
주020)
ᄃᆞᆫ뇨ᄃᆡ:다니되. ᄃᆞᆮ-[走]+니-[行]+오ᄃᆡ. 합성어 ‘ᄃᆞᆫ니-’에 ‘ᄃᆞᆮ-’의 의미 [走]는 남아 있지 않다.
주021)
브를:불을. 블[火]+을.
주022)
ᄡᅥ:써. 사용하여. ᄡᅳ-[用]+어(연결 어미). ‘브를 ᄡᅥ’가 『소학언해』(2:54ㄱ)에서는 ‘블로 ᄡᅥ’로 바뀌었다. ‘’는 다양한 환경에 나타난다. 목적격 조사나 부사격 조사 ‘로’ 뒤에도 나타나고, 연결 어미 ‘-아, -니’ 뒤에도 나타나며, ‘엇디’ 등의 부사 뒤에도 나타난다. 이 때문에 문법적 성격을 규정하기가 쉽지 않다. 동사의 활용형, 부사, 복합조사의 일부 등 다양한 성격을 보여 준다. 여기서는 동사의 활용형이다.
주023)
졍ᄒᆡ오논:바르게 하는. 져ᇰ(正)+ᄒᆞ-+이오(사동 접미사)+ᄂᆞ(현재시제 선어말 어미)+오+ㄴ(관형사형 어미). 『소학언해』(2:54ㄱ)에서는 ‘正져ᇰ케 ᄒᆞ논’으로 바뀌었다. ‘-이오-’는 사동 접미사가 중첩된 것이지만, 공시적으로는 한 형태소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