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3
  • 번역소학 제3권
  • 내편(內篇)○제2편 명륜(明倫)○명장유지서(明長幼之序)
  • 명장유지서 002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장유지서 002


○徐셔行後후長者쟈를 謂위之지弟뎨오 疾질行先션長者쟈를 謂위之지不블弟뎨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날회여 주001)
날회여:
천천히. ‘천천히 행함’을 뜻하는 동사 어간 ‘날회-’에 연결 어미 ‘-어’가 결합한 활용형 ‘날회여’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다음 예는 동사 ‘날회다’가 쓰인 아주 드문 예이다. ¶①徐 날횔 셔〈신증유합 下하 17ㄱ〉 ②아직 날회라 내 너 위야 됴 날 요마〈번역노걸대 하 71ㄴ-72ㄱ〉.
주002)
녀:
가서. 녀-[行]+어(연결 어미).
얼우 주003)
얼우ᄂᆡ:
어른의. 얼운+ᄋᆡ(관형격 조사). ‘얼운’은 ‘혼인하다’를 뜻하는 동사 어간 ‘얼-’에 동명사 어미 ‘-운’이 결합한 것이다.
뒤헤 주004)
뒤헤:
뒤에. 뒤ㅎ[後](ㅎ말음체언)+에(부사격 조사).
가 주005)
가ᄆᆞᆯ:
감을. 가는 것을. 가-[去]+옴(명사형 어미)+ᄋᆞᆯ.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에 명사형 어미 ‘-옴/움’이 결합하면,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바뀐다. 이 규칙에 따라 본래 거성인 동사 어간 ‘가-’가 여기서 상성으로 나타난 것이다.
닐오 슌타 

번역소학 권3:24ㄴ

고 리 녀 얼운 몬져 주006)
몬져:
먼저.
가 닐오 슌티 아니타 니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천천히 걸어서 어른의 뒤에 감을 이르되 공순(恭順)하다 하고, 빨리 걸어서 어른보다 먼저 감을 이르되 공순하지 않다고 하느니라.
〈해설〉 출전 : 맹자 고자장 하(告子章下).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날회여:천천히. ‘천천히 행함’을 뜻하는 동사 어간 ‘날회-’에 연결 어미 ‘-어’가 결합한 활용형 ‘날회여’가 부사로 굳어진 것이다. 다음 예는 동사 ‘날회다’가 쓰인 아주 드문 예이다. ¶①徐 날횔 셔〈신증유합 下하 17ㄱ〉 ②아직 날회라 내 너 위야 됴 날 요마〈번역노걸대 하 71ㄴ-72ㄱ〉.
주002)
녀:가서. 녀-[行]+어(연결 어미).
주003)
얼우ᄂᆡ:어른의. 얼운+ᄋᆡ(관형격 조사). ‘얼운’은 ‘혼인하다’를 뜻하는 동사 어간 ‘얼-’에 동명사 어미 ‘-운’이 결합한 것이다.
주004)
뒤헤:뒤에. 뒤ㅎ[後](ㅎ말음체언)+에(부사격 조사).
주005)
가ᄆᆞᆯ:감을. 가는 것을. 가-[去]+옴(명사형 어미)+ᄋᆞᆯ.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에 명사형 어미 ‘-옴/움’이 결합하면,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바뀐다. 이 규칙에 따라 본래 거성인 동사 어간 ‘가-’가 여기서 상성으로 나타난 것이다.
주006)
몬져:먼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