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3
  • 번역소학 제3권
  • 내편(內篇)○제2편 명륜(明倫)○명군신지의(明君臣之義)
  • 명군신지의 014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군신지의 014


번역소학 권3:8ㄴ

○君군使臣신以이禮례며 臣신事君군以이忠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님금이 臣신下하 주001)
신하:
신하(臣下). 이 책에는 ‘臣신下하’로 적혀 있는데, 『소학언해』(2:42ㄴ)에는 ‘신하’로만 적혀 있다. 그리고 이 책에는 ‘하’가 거성으로 나타나는데, 『소학언해』에는 상성으로 나타나 있다.
브리샤 주002)
브리샤:
부리시되. 브리-[使]+시+오ᄃᆡ. ‘-샤ᄃᆡ’는 ‘-시-’의 고형(古形)인 ‘-샤-’의 ‘ㅏ’ 뒤에서 ‘-오ᄃᆡ’의 ‘오’가 탈락한 것이다. 주체 높임의 ‘-시-’가 쓰여 있는데, 이는 주체 높임 형태소가 없는 원문 ‘君使臣以禮며’와는 부합하지 않는다. 『소학언해』(2:42ㄴ)에는 “님금이 신하 브리기를 禮로 ᄡᅥ ᄒᆞ며”로 적혀 있다. 주체 높임 형태소 ‘-시-’를 쓰더라도 이 절(節)의 마지막 동사인 ‘ᄒᆞ며’에서 쓰는 편이 더 합리적일 것이다.
禮례로 며 臣신下하ㅣ 주003)
신하ㅣ:
신하가. 이 책의 ‘臣신下하ㅣ’가 『소학언해』(2:42ㄴ)에서는 한자 표기가 없는 ‘신해’로 바뀌었다. 그리고 이 책의 ‘하’는 거성인데, 『소학언해』의 ‘해’는 상성이다.
님금을 셤교 주004)
셤교ᄃᆡ:
섬기되. 셤기-[事]+오ᄃᆡ.
로 주005)
로:
충성(忠誠)으로. ‘忠’은 제 1음절만 한자와 한자음을 병기(倂記)한 모습이다. 이런 예가 몇 개 보인다.
홀 디니라 주006)
홀 디니라:
할지니라. ᄒᆞ-[爲]+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라. ‘-니-’는 사태에 대한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이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임금이 신하를 부리시되 예(禮)로 하며, 신하가 임금을 섬기되 충성으로 할지니라.
〈해설〉 출전 : 논어 팔일편(八佾篇). 주석(소학집설)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두 가지는 모두 도리의 당연함이니, 제각각 스스로 도리를 다하고자 함일 뿐이다.”(朱子曰 二者 皆理之當然 各欲自盡而已).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신하:신하(臣下). 이 책에는 ‘臣신下하’로 적혀 있는데, 『소학언해』(2:42ㄴ)에는 ‘신하’로만 적혀 있다. 그리고 이 책에는 ‘하’가 거성으로 나타나는데, 『소학언해』에는 상성으로 나타나 있다.
주002)
브리샤:부리시되. 브리-[使]+시+오ᄃᆡ. ‘-샤ᄃᆡ’는 ‘-시-’의 고형(古形)인 ‘-샤-’의 ‘ㅏ’ 뒤에서 ‘-오ᄃᆡ’의 ‘오’가 탈락한 것이다. 주체 높임의 ‘-시-’가 쓰여 있는데, 이는 주체 높임 형태소가 없는 원문 ‘君使臣以禮며’와는 부합하지 않는다. 『소학언해』(2:42ㄴ)에는 “님금이 신하 브리기를 禮로 ᄡᅥ ᄒᆞ며”로 적혀 있다. 주체 높임 형태소 ‘-시-’를 쓰더라도 이 절(節)의 마지막 동사인 ‘ᄒᆞ며’에서 쓰는 편이 더 합리적일 것이다.
주003)
신하ㅣ:신하가. 이 책의 ‘臣신下하ㅣ’가 『소학언해』(2:42ㄴ)에서는 한자 표기가 없는 ‘신해’로 바뀌었다. 그리고 이 책의 ‘하’는 거성인데, 『소학언해』의 ‘해’는 상성이다.
주004)
셤교ᄃᆡ:섬기되. 셤기-[事]+오ᄃᆡ.
주005)
로:충성(忠誠)으로. ‘忠’은 제 1음절만 한자와 한자음을 병기(倂記)한 모습이다. 이런 예가 몇 개 보인다.
주006)
홀 디니라:할지니라. ᄒᆞ-[爲]+오(선어말 어미)+ㄹ(관형사형 어미)+ᄃᆞ(의존 명사)+이-(서술격 조사 어간)+니+라. ‘-니-’는 사태에 대한 인지(認知)를 요구하는 선어말 어미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