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3
  • 번역소학 제3권
  • 내편(內篇)○제2편 명륜(明倫)○명장유지서(明長幼之序)
  • 명장유지서 016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장유지서 016


○侍시飮음於어長者쟈 酒쥬進진則즉起긔야 拜受슈於어尊존所소호 長者쟈ㅣ 辭ㅣ어든 少쇼者쟈ㅣ 反반席셕而飮음고 長

번역소학 권3:30ㄴ

者쟈ㅣ 擧거未미釂쵸ㅣ어든 少쇼者쟈ㅣ 不블敢감飮음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얼우신 주001)
얼우신:
어르신께. 얼우신+ᄭᅴ(높임의 부사격 조사). ‘얼우신’의 기원적 구조는 ‘얼-[혼인하다](동사 어간)+우+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으로 보이는데, ‘우’의 문법적 성격은 분명치 않다. 『소학언해』(2:62ㄱ)에서는 ‘얼운의게’로 바뀌었다. 이 책의 ‘얼우신’이 『소학언해』에서 ‘얼운’으로 변한 예가 많다. ‘얼우신’은 18세기에 가서야 연철의 ‘어루신’으로 변한 예가 나타난다. ¶어루신네 셰히 혜여 보소〈염불보권문 33ㄱ〉.
뫼셔 주002)
뫼셔:
모시어. 모시고. ‘뫼시다’가 목적어 없이 부사어와 호응하는 것처럼 보인다. ‘뫼다, 뫼시다’에 대한 더 자세한 논의는 해제를 참고할 것.
머글 주003)
머글:
마실. 목적어 ‘술’과 동사 ‘먹다’가 호응하고 있는데, 15세기 문헌에서도 ‘술’과 ‘마시다’가 호응하는 예가 보인다. ¶ 술 마시고 어러이 놀애 블로〈두시언해 초간본 21:34ㄱ〉.
저긔 주004)
저긔:
적에. 때에. ‘의’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소학언해』(2:62ㄱ)에서는 ‘먹을ᄉᆡ’로 바뀌었다. 이 책의 ‘-ㄹ 저긔’가 『소학언해』에서는 ‘-ㄹᄉᆡ’로 바뀌는 것은 아주 규칙적이다. ¶나ᅀᅡ갈 저긔(이 책 27ㄴ) : 나아갈ᄉᆡ〈소학언해 2:59ㄴ〉. ‘-ㄹᄉᆡ, -ㄹᄊᆡ’는 대개 ‘-므로’에 해당하는데, 여기의 ‘-ㄹᄉᆡ’는 ‘-할 때에’에 해당한다.
수리 나오나 주005)
나오나:
나오면. 나ᇫ-[進]+아(연결 어미)+오-[來]+나(확정법 선어말 어미)+ᄃᆞᆫ(조건의 연결 어미). ‘-나-’는 ‘-거-’의 형태론적 이형태로서, 동사 어간 ‘오-’ 바로 뒤에서만 쓰인다.
니러 주006)
니러:
일어나. 닐-[起]+어(연결 어미). ‘닐다’는 [成]을 뜻하는 ‘일다’와 구별된다.
애갓 주007)
애갓:
용례가 아주 드물다. 다음 예문에서는 ‘애갓사ᇰ’이 ‘술상’을 뜻한다. ¶앏픠  옥돌호로 설픠에 사긴 애갓사ᇰ 노핫고〈번역박통사 상 69ㄴ〉. 이 예문에 비추어 본다면 ‘애갓’은 ‘술’을 뜻할 가능성이 있으나, ‘애갓’의 원문이 ‘尊所’이므로 ‘애갓’도 ‘애갓사ᇰ’과 같이 ‘술상’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애갓사ᇰ’은 동어반복인 셈이다. ‘尊’은 ‘樽(술항아리 준)’과 같은데, 이 책에서는 ‘존’으로 나타나 있으나, 『소학언해』(2:62ㄱ)에는 ‘준’으로 나타난다. ‘애갓 미틔’가 『소학언해』(2:62ㄱ)에서는 ‘樽 노ᄒᆞᆫ 곧ᄋᆡ 가’로 바뀌었다.
미틔 주008)
미틔:
밑에서. 밑[下]+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절야 바도 주009)
바도ᄃᆡ:
받되. 받-[受]+오ᄃᆡ.
얼우신이 말라 주010)
말라:
하지 말라.
커시든 주011)
커시든:
하시거든. 하시면. ᄒᆞ-[謂]+거+시+든.
져믄 주012)
져믄:
어린. 졈-[少, 幼]+은(관형사형 어미). 졈다〉졂다〉젊다.
사미 돗 주013)
돗ᄀᆡ:
자리에. 도ᇧ[席]+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도ᇧ’은 ‘돗자리’를 뜻하기도 하고 ‘배의 돛’을 뜻하기도 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만 ‘도ᇧ’으로 나타나고, 그 밖의 환경에서는 ‘돗’으로 나타난다. ¶①席 돗 셕〈훈몽자회 중 6ㄴ〉 ②帆 옛 돗기라〈금강경삼가해 3:24ㄱ〉.
도라가 먹고 얼우신이 드러 주014)
드러:
들어. 들-[擧]+어. ‘들다’가 여기서는 ‘마시다’를 뜻한다. 〈해설〉에서 밝힌 바와 같이 원문의 ‘擧’는 ‘飮’을 뜻한다.
주015)
몯:
못. 단형 부정인 ‘몯 다가 머거 겨시거든’이 『소학언해』(2:62ㄴ)에서는 장형 부정인 ‘다 먹디 몯ᄒᆞ여 겨시거든’으로 바뀌었다. ‘못-V’ 구문이 현대 국어와 같은 ‘V-디 몯ᄒᆞ-’ 구문으로 바뀐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다가 주016)
다가:
전부. 다. ‘다그-[盡]+아(연결 어미)’의 구조로 보인다. 현대 국어의 ‘다그다’에는 ‘어떤 대상이 있는 쪽으로 몸을 움직여 그 대상과의 거리를 가깝게 하다’란 의미가 있는데, 그러한 의미는 여기의 ‘다가’가 가진 ‘어떤 행위를 완전히 끝냄’이라는 의미와 관련이 있다.
머거 겨시거든 주017)
겨시거든:
‘머거 겨시거든’에서 ‘겨시-’는 보조 동사 ‘잇-’의 높임말이다. 현대 국어 ‘-었-’의 소급형인 ‘-어 잇-’은 완료 지속상을 나타내는데, 여기서는 주체가 높임의 대상이기 때문에 ‘잇-’ 대신에 ‘겨시-’가 쓰인 것이다.
져믄 사미 잠도 주018)
잠ᄭᅡᆫ도:
감히. 절대로. 잠(暫)+ㅅ(관형격 조사)+간(間)+도. 『소학언해』(2:62ㄴ)에서는 ‘敢히’로 바뀌었다. 이 책에서는 ‘자ᇝ간’(3:5ㄴ, 17ㄴ, 20ㄴ, 45ㄱ)과 ‘잠ᄭᅡᆫ’(3:12ㄴ, 30ㄴ, 31ㄱ, 31ㄴ, 4:1ㄴ)이 비슷한 빈도로 나타난다. ‘잠ᄭᅡᆫ’은 한자어(暫間)인데, 대개 훈민정음 표기 ‘간’으로 나타난다. 본래는 시간적 의미를 지닌 낱말이지만, ‘조금, 절대로, 감히’ 등을 뜻하기도 한다. ¶이 명죵 사름미 잠간도 힘을 득디 몯리라〈지장경언해 중 19ㄱ〉. 이 예문의 원문은 ‘是命終人 了不得力’이다(지장경 벽송암판 중15ㄴ). 원문의 ‘了’는 ‘전혀, 절대로’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 두 예문의 ‘잠ᄭᅡᆫ’도 ‘조금’을 뜻한다. ¶①人間애 이셔 藥師瑠璃光如來ㅅ 일후믈 잠 듣 젼로〈월인석보 9:29ㄴ〉 ②잠 경셔와 긔 셥녑고 효이 읻더니 나히 열아홉의 지아비 일코〈동국신속삼강행실도 열녀 4:77ㄴ〉. 또 ‘잠ᄭᅡᆫ’이 원문 ‘曾’의 번역어로 쓰인 예도 있다. ¶히 아  잠도 그츤  업스니 이 이 變易디 아니 디라(能知之心은 不曾間斷니 此是不變易義也ㅣ니라)〈법집별행록 36ㄴ-37ㄱ〉.
먹디 마롤 디니라 주019)
마롤 디니라:
말지니라. 『소학언해』(2:62ㄴ)에서는 ‘아니홀 디니라’로 바뀌었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어르신을 모시고 술 먹을 때에 술이 나오면 일어나서 술상 아래에서 절하고서 받되, 어르신이 (절하지) 말라 하시면, 어린 사람은 (자기) 자리로 돌아가서 마시고, 어르신이 (잔을) 들고서 다 마시지 않으면 어린 사람은 감히 마시지 말지니라.
〈해설〉 출전 : 예기 곡례(曲禮). 주석(소학집해) : 준소(尊所)는 술동이를 둔 곳이다. 사(辭)는 만류함이다. 대개 자리에서 내려가 절을 하고 받는 것은 어린 자로서 당연한 것이나, 어른이 만약 만류하면 자리로 돌아와서 마신다. 거(擧)는 음(飮)과 같다. 조(釂)는 술을 다 마시는 것이다. 어른이 다 마시기를 기다려서 나중에 마시는 것은 감히 먼저 마시지 못하기 때문이다.(尊所 置酒尊之所也 辭止之也 蓋降席拜受 少者當然 尊者若止之 則還席而飮也 擧猶飮也 釂飮盡酌也 待長者飮盡而後飮者 不敢先也). ‘尊’은 ‘樽(=술동이)’과 같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얼우신:어르신께. 얼우신+ᄭᅴ(높임의 부사격 조사). ‘얼우신’의 기원적 구조는 ‘얼-[혼인하다](동사 어간)+우+시(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ㄴ(동명사 어미)’으로 보이는데, ‘우’의 문법적 성격은 분명치 않다. 『소학언해』(2:62ㄱ)에서는 ‘얼운의게’로 바뀌었다. 이 책의 ‘얼우신’이 『소학언해』에서 ‘얼운’으로 변한 예가 많다. ‘얼우신’은 18세기에 가서야 연철의 ‘어루신’으로 변한 예가 나타난다. ¶어루신네 셰히 혜여 보소〈염불보권문 33ㄱ〉.
주002)
뫼셔:모시어. 모시고. ‘뫼시다’가 목적어 없이 부사어와 호응하는 것처럼 보인다. ‘뫼다, 뫼시다’에 대한 더 자세한 논의는 해제를 참고할 것.
주003)
머글:마실. 목적어 ‘술’과 동사 ‘먹다’가 호응하고 있는데, 15세기 문헌에서도 ‘술’과 ‘마시다’가 호응하는 예가 보인다. ¶ 술 마시고 어러이 놀애 블로〈두시언해 초간본 21:34ㄱ〉.
주004)
저긔:적에. 때에. ‘의’는 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이다. 『소학언해』(2:62ㄱ)에서는 ‘먹을ᄉᆡ’로 바뀌었다. 이 책의 ‘-ㄹ 저긔’가 『소학언해』에서는 ‘-ㄹᄉᆡ’로 바뀌는 것은 아주 규칙적이다. ¶나ᅀᅡ갈 저긔(이 책 27ㄴ) : 나아갈ᄉᆡ〈소학언해 2:59ㄴ〉. ‘-ㄹᄉᆡ, -ㄹᄊᆡ’는 대개 ‘-므로’에 해당하는데, 여기의 ‘-ㄹᄉᆡ’는 ‘-할 때에’에 해당한다.
주005)
나오나:나오면. 나ᇫ-[進]+아(연결 어미)+오-[來]+나(확정법 선어말 어미)+ᄃᆞᆫ(조건의 연결 어미). ‘-나-’는 ‘-거-’의 형태론적 이형태로서, 동사 어간 ‘오-’ 바로 뒤에서만 쓰인다.
주006)
니러:일어나. 닐-[起]+어(연결 어미). ‘닐다’는 [成]을 뜻하는 ‘일다’와 구별된다.
주007)
애갓:용례가 아주 드물다. 다음 예문에서는 ‘애갓사ᇰ’이 ‘술상’을 뜻한다. ¶앏픠  옥돌호로 설픠에 사긴 애갓사ᇰ 노핫고〈번역박통사 상 69ㄴ〉. 이 예문에 비추어 본다면 ‘애갓’은 ‘술’을 뜻할 가능성이 있으나, ‘애갓’의 원문이 ‘尊所’이므로 ‘애갓’도 ‘애갓사ᇰ’과 같이 ‘술상’을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애갓사ᇰ’은 동어반복인 셈이다. ‘尊’은 ‘樽(술항아리 준)’과 같은데, 이 책에서는 ‘존’으로 나타나 있으나, 『소학언해』(2:62ㄱ)에는 ‘준’으로 나타난다. ‘애갓 미틔’가 『소학언해』(2:62ㄱ)에서는 ‘樽 노ᄒᆞᆫ 곧ᄋᆡ 가’로 바뀌었다.
주008)
미틔:밑에서. 밑[下]+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주009)
바도ᄃᆡ:받되. 받-[受]+오ᄃᆡ.
주010)
말라:하지 말라.
주011)
커시든:하시거든. 하시면. ᄒᆞ-[謂]+거+시+든.
주012)
져믄:어린. 졈-[少, 幼]+은(관형사형 어미). 졈다〉졂다〉젊다.
주013)
돗ᄀᆡ:자리에. 도ᇧ[席]+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도ᇧ’은 ‘돗자리’를 뜻하기도 하고 ‘배의 돛’을 뜻하기도 한다.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 앞에서만 ‘도ᇧ’으로 나타나고, 그 밖의 환경에서는 ‘돗’으로 나타난다. ¶①席 돗 셕〈훈몽자회 중 6ㄴ〉 ②帆 옛 돗기라〈금강경삼가해 3:24ㄱ〉.
주014)
드러:들어. 들-[擧]+어. ‘들다’가 여기서는 ‘마시다’를 뜻한다. 〈해설〉에서 밝힌 바와 같이 원문의 ‘擧’는 ‘飮’을 뜻한다.
주015)
몯:못. 단형 부정인 ‘몯 다가 머거 겨시거든’이 『소학언해』(2:62ㄴ)에서는 장형 부정인 ‘다 먹디 몯ᄒᆞ여 겨시거든’으로 바뀌었다. ‘못-V’ 구문이 현대 국어와 같은 ‘V-디 몯ᄒᆞ-’ 구문으로 바뀐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일반적인 현상이다.
주016)
다가:전부. 다. ‘다그-[盡]+아(연결 어미)’의 구조로 보인다. 현대 국어의 ‘다그다’에는 ‘어떤 대상이 있는 쪽으로 몸을 움직여 그 대상과의 거리를 가깝게 하다’란 의미가 있는데, 그러한 의미는 여기의 ‘다가’가 가진 ‘어떤 행위를 완전히 끝냄’이라는 의미와 관련이 있다.
주017)
겨시거든:‘머거 겨시거든’에서 ‘겨시-’는 보조 동사 ‘잇-’의 높임말이다. 현대 국어 ‘-었-’의 소급형인 ‘-어 잇-’은 완료 지속상을 나타내는데, 여기서는 주체가 높임의 대상이기 때문에 ‘잇-’ 대신에 ‘겨시-’가 쓰인 것이다.
주018)
잠ᄭᅡᆫ도:감히. 절대로. 잠(暫)+ㅅ(관형격 조사)+간(間)+도. 『소학언해』(2:62ㄴ)에서는 ‘敢히’로 바뀌었다. 이 책에서는 ‘자ᇝ간’(3:5ㄴ, 17ㄴ, 20ㄴ, 45ㄱ)과 ‘잠ᄭᅡᆫ’(3:12ㄴ, 30ㄴ, 31ㄱ, 31ㄴ, 4:1ㄴ)이 비슷한 빈도로 나타난다. ‘잠ᄭᅡᆫ’은 한자어(暫間)인데, 대개 훈민정음 표기 ‘간’으로 나타난다. 본래는 시간적 의미를 지닌 낱말이지만, ‘조금, 절대로, 감히’ 등을 뜻하기도 한다. ¶이 명죵 사름미 잠간도 힘을 득디 몯리라〈지장경언해 중 19ㄱ〉. 이 예문의 원문은 ‘是命終人 了不得力’이다(지장경 벽송암판 중15ㄴ). 원문의 ‘了’는 ‘전혀, 절대로’를 뜻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음 두 예문의 ‘잠ᄭᅡᆫ’도 ‘조금’을 뜻한다. ¶①人間애 이셔 藥師瑠璃光如來ㅅ 일후믈 잠 듣 젼로〈월인석보 9:29ㄴ〉 ②잠 경셔와 긔 셥녑고 효이 읻더니 나히 열아홉의 지아비 일코〈동국신속삼강행실도 열녀 4:77ㄴ〉. 또 ‘잠ᄭᅡᆫ’이 원문 ‘曾’의 번역어로 쓰인 예도 있다. ¶히 아  잠도 그츤  업스니 이 이 變易디 아니 디라(能知之心은 不曾間斷니 此是不變易義也ㅣ니라)〈법집별행록 36ㄴ-37ㄱ〉.
주019)
마롤 디니라:말지니라. 『소학언해』(2:62ㄴ)에서는 ‘아니홀 디니라’로 바뀌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