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3
  • 번역소학 제3권
  • 내편(內篇)○제2편 명륜(明倫)○명부부지별(明夫婦之別)
  • 명부부지별 009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부부지별 009


男람子ㅣ 親친迎 男남先션於어女녀

번역소학 권3:15ㄱ

剛柔之지義의也야ㅣ니 天텬先션乎호地디며 君군先션乎호臣신이 其기義의一일也야ㅣ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男남子ㅣ 주001)
남ᄌᆞㅣ:
남자가. 원문에서는 ‘男’의 독음이 ‘람’으로 나타나는데, 『소학언해』(2:48ㄱ)에서는 ‘남’으로 나타난다. 다른 문헌에 ‘男’의 독음이 ‘람’으로 적힌 예가 없으므로 오각일 가능성이 있으나, ‘ㄴ’이 ‘ㄹ’로 적히는 근대국어의 일반적인 현상이 여기에 나타난 것일 수도 있다.
親친迎연 주002)
친연:
친영(親迎). 원문에는 ‘親친迎여ᇰ’으로 적혀 있고, 『소학언해』(2:48ㄴ)에서는 ‘친히 마자’로 나타난다. 이 책(3:12ㄴ)의 언해문에도 ‘친연’이 나오지만, 이는 원문에 없는 말을 보충한 것이다. 원문에서는 이 대목 바로 뒤에 ‘迎’이 나오지만, 그 경우에는 독음이 ‘여ᇰ’으로 적혀 있고, 언해문에서는 ‘마자’로 번역되어 있다. 다른 문헌에 ‘迎’의 독음이 ‘연’으로 표기된 예가 또 있기는 하다. ¶諸졔聖셔ᇰ을 迎연逢보ᇰ와 오시게 코져 린댄〈진언권공 24ㄱ〉. 그러나 모두 오각으로 보인다.
저긔 주003)
저긔:
적에. 때에. 적+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남지니 계지븨게 주004)
계지븨게:
여자에게. 계집+의게(부사격 조사). ‘의게’의 기원적 구조는 ‘의(관형격 조사)+그ᇰ(처소 지시 의존명사)+에(부사격 조사)’이다.
몬져 가 주005)
가ᄆᆞᆫ:
감은. 가-[去]+옴(명사형 어미)+ᄋᆞᆫ. ‘가’가 거성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일반적 경향에 어긋난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에 명사형 어미 ‘-옴/움’이 결합하면,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 경향이다. 거성일 때에는 점이 글자의 좌측 중간에 찍히는데, 여기의 ‘가’에 찍힌 점은 중간이 아니라 아래쪽에 치우쳐 있다. 본래는 점이 두 개(상성)였다가 위의 점이 지워진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의 다른 곳(3:24ㄱ)에 ‘:가·ᄆᆞᆯ’이 나타난다. ‘몬져 가ᄆᆞᆫ’이 『소학언해』(2:48ㄴ)에서는 ‘몬져 홈ᄋᆞᆫ’으로 바뀌었는데, 『소학언해』의 번역이 원문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건며 슌 디니 하리 주006)
하ᄂᆞ리:
하늘이. 하ᄂᆞᆯ+이. 『소학언해』(2:48ㄴ)에는 ‘하ᄂᆞᆯ히’로 나타난다. ㅎ말음체언의 ‘ㅎ’이 나타나지 않는 ‘하ᄂᆞ리’는 복각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록 주007)
ᄯᅡᄒᆞ록:
땅보다. ᄯᅡㅎ[地](ㅎ말음체언)+ᄋᆞ로(비교 부사격 조사)+ㄱ(첨사). ‘ㄱ’은 첨가음인데, 특별한 의미가 없는 듯하다. 이 ‘ㄱ’은 현대 국어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오르락내리락, 붉으락푸르락’의 ‘ㄱ’이 바로 그것이다. ‘여희옥(=여의고), 오ᄂᆞᆯ록(=오늘부터)’ 등에도 이 ‘ㄱ’이 나타난다. 『소학언해』(2:48ㄴ)에는 ‘ᄯᅡ해’로 나타난다.
몬저 주008)
몬저:
먼저. ‘몬져’의 오각이다. 같은 줄에서 ‘몬져’도 나타난다.
며 님금이 신하록 주009)
신하록:
신하보다. 신하+로(비교 부사격 조사)+ㄱ. 『소학언해』(2:48ㄴ)에는 ‘신하애’로 나타난다. 부사격 조사 ‘로’ 뒤에 첨가음 ‘ㄱ’이 붙었다.
몬져 호미 그 디 가지라 주010)
ᄒᆞᆫ가지라:
마찬가지이다. 중세 국어의 ‘가지’는 성조에 따라 구별되었다. ‘가‧지(평-거)’는 [種類, 件]을, ‘‧가지(거-평)’는 [枝]를, ‘가지(평-평), ·가·지(거-거)’는 [茄子(채소의 한 종류)]를 뜻하였다.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의 ‘-라’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평서문 종결 어미 ‘-다’의 이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연결 어미 ‘-어, 아’의 이형태이다. 이 둘은 뚜렷이 구별되지 않는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남자가 친영(親迎)할 때에 남자가 여자에게 먼저 가는 것은 강건하며 유순한 뜻이니, 하늘이 땅보다 먼저 하며 임금이 신하보다 먼저 하는 것이 그 뜻이 마찬가지이다.
〈해설〉 출전 : 예기 교특생(郊特牲). 주석(소학집해) : 마씨(馬氏)가 말하였다. “남자가 친히 맞이하여 남자가 여자보다 먼저 행하는 것은 강한 것이 부드러운 것에 앞서는 뜻이니, 어찌 혼인할 때에만 이와 같겠는가? 하늘이 만들어 시작하면 땅이 이어받아서 끝맺고, 임금은 앞장서는 것을 위주로 하고 신하는 화답함을 위주로 하니, 그 뜻이 둘이 아니다.”(馬氏曰 男子親迎而男先於女者 剛先於柔之義也 豈獨婚姻之際如此 天造始而地代終 君主倡而臣主和 其義 無二也). 마씨(馬氏)는 북송 때의 학자 마희맹(馬希孟)이다. 마희맹(馬睎孟)으로도 쓴다. 자(字)는 언순(彦醇)이며, 『예기』에 정통하여 『예기해(禮記解)』 70권을 저술하였으며, 진호(陳澔)의 『예기집설』에 그의 주가 다수 인용되었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남ᄌᆞㅣ:남자가. 원문에서는 ‘男’의 독음이 ‘람’으로 나타나는데, 『소학언해』(2:48ㄱ)에서는 ‘남’으로 나타난다. 다른 문헌에 ‘男’의 독음이 ‘람’으로 적힌 예가 없으므로 오각일 가능성이 있으나, ‘ㄴ’이 ‘ㄹ’로 적히는 근대국어의 일반적인 현상이 여기에 나타난 것일 수도 있다.
주002)
친연:친영(親迎). 원문에는 ‘親친迎여ᇰ’으로 적혀 있고, 『소학언해』(2:48ㄴ)에서는 ‘친히 마자’로 나타난다. 이 책(3:12ㄴ)의 언해문에도 ‘친연’이 나오지만, 이는 원문에 없는 말을 보충한 것이다. 원문에서는 이 대목 바로 뒤에 ‘迎’이 나오지만, 그 경우에는 독음이 ‘여ᇰ’으로 적혀 있고, 언해문에서는 ‘마자’로 번역되어 있다. 다른 문헌에 ‘迎’의 독음이 ‘연’으로 표기된 예가 또 있기는 하다. ¶諸졔聖셔ᇰ을 迎연逢보ᇰ와 오시게 코져 린댄〈진언권공 24ㄱ〉. 그러나 모두 오각으로 보인다.
주003)
저긔:적에. 때에. 적+의(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주004)
계지븨게:여자에게. 계집+의게(부사격 조사). ‘의게’의 기원적 구조는 ‘의(관형격 조사)+그ᇰ(처소 지시 의존명사)+에(부사격 조사)’이다.
주005)
가ᄆᆞᆫ:감은. 가-[去]+옴(명사형 어미)+ᄋᆞᆫ. ‘가’가 거성으로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일반적 경향에 어긋난다. 동사 어간 말음 ‘ㅏ, ㅓ, ㅗ, ㅜ’에 명사형 어미 ‘-옴/움’이 결합하면, ‘오, 우’는 탈락하고 성조가 상성으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 경향이다. 거성일 때에는 점이 글자의 좌측 중간에 찍히는데, 여기의 ‘가’에 찍힌 점은 중간이 아니라 아래쪽에 치우쳐 있다. 본래는 점이 두 개(상성)였다가 위의 점이 지워진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의 다른 곳(3:24ㄱ)에 ‘:가·ᄆᆞᆯ’이 나타난다. ‘몬져 가ᄆᆞᆫ’이 『소학언해』(2:48ㄴ)에서는 ‘몬져 홈ᄋᆞᆫ’으로 바뀌었는데, 『소학언해』의 번역이 원문에 부합하는 것으로 보인다.
주006)
하ᄂᆞ리:하늘이. 하ᄂᆞᆯ+이. 『소학언해』(2:48ㄴ)에는 ‘하ᄂᆞᆯ히’로 나타난다. ㅎ말음체언의 ‘ㅎ’이 나타나지 않는 ‘하ᄂᆞ리’는 복각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주007)
ᄯᅡᄒᆞ록:땅보다. ᄯᅡㅎ[地](ㅎ말음체언)+ᄋᆞ로(비교 부사격 조사)+ㄱ(첨사). ‘ㄱ’은 첨가음인데, 특별한 의미가 없는 듯하다. 이 ‘ㄱ’은 현대 국어에까지 이어지고 있다. ‘오르락내리락, 붉으락푸르락’의 ‘ㄱ’이 바로 그것이다. ‘여희옥(=여의고), 오ᄂᆞᆯ록(=오늘부터)’ 등에도 이 ‘ㄱ’이 나타난다. 『소학언해』(2:48ㄴ)에는 ‘ᄯᅡ해’로 나타난다.
주008)
몬저:먼저. ‘몬져’의 오각이다. 같은 줄에서 ‘몬져’도 나타난다.
주009)
신하록:신하보다. 신하+로(비교 부사격 조사)+ㄱ. 『소학언해』(2:48ㄴ)에는 ‘신하애’로 나타난다. 부사격 조사 ‘로’ 뒤에 첨가음 ‘ㄱ’이 붙었다.
주010)
ᄒᆞᆫ가지라:마찬가지이다. 중세 국어의 ‘가지’는 성조에 따라 구별되었다. ‘가‧지(평-거)’는 [種類, 件]을, ‘‧가지(거-평)’는 [枝]를, ‘가지(평-평), ·가·지(거-거)’는 [茄子(채소의 한 종류)]를 뜻하였다. 서술격 조사 어간 ‘이-’ 뒤의 ‘-라’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평서문 종결 어미 ‘-다’의 이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연결 어미 ‘-어, 아’의 이형태이다. 이 둘은 뚜렷이 구별되지 않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