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3
  • 번역소학 제3권
  • 내편(內篇)○제2편 명륜(明倫)○명장유지서(明長幼之序)
  • 명장유지서 001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장유지서 001


孟子ㅣ 曰왈 孩提뎨之지童이 無무不블知디愛其기親친며 及급其기長也야야

번역소학 권3:24ㄱ

無무不블知디敬其기兄也야ㅣ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孟子ㅣ 샤 우우 주001)
우ᅀᅮᆷ우ᅀᅵ:
웃음짓기. 우ᇫ-[笑]+움(명사형 어미)+우ᇫ-[笑]+이(명사 파생 접미사). ‘우ᅀᅮᆷ’은 동사의 명사형인데 명사로 굳어졌다. ‘ㅿ’이 소멸하지 않고 쓰인 예이다. 이 낱말은 구조 면에서 아주 특이하다. 다음 예문에서도 보이지만 예가 아주 적다. ¶그 머근 後에 우우 나니라〈월인석보 1:43ㄴ〉. 원문의 ‘孩(해)’는 ‘咳(해)’의 고자(古字)로서 ‘젖먹이가 웃다’를 뜻한다.
알오 주002)
알오:
알고. 알-[知]+고(연결 어미).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 성문 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ㅇ’으로 표기한 것이다.
주003)
ᄀᆞᆺ:
이제 막. 겨우. 이 낱말의 유의어인 ‘계요’는 16세기에 나타난다. 그 후에 ‘계유, 겨요, 겨유’ 등으로 변하였다.
아 주004)
아ᄂᆞᆯ:
안을. 안-[抱]+ᄋᆞᆯ(관형사형 어미).
만 아 주005)
아ᄒᆡ:
아이. 한자어 ‘兒孩(아해)’에서 온 것으로 보이나, 『국민소학독본』(1895) 이전의 한글 문헌에서는 한자로 표기된 ‘兒孩’가 보이지 않는다. ¶七八歲 된 兒孩가 그릇 물 속에 지거〈국민소학독본 11ㄴ〉. 아주 이른 시기에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어졌기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짐작된다.
주006)
제:
자기의. 저(재귀 대명사)+의(관형격 조사). 『소학언해』(2:56ㄴ)에서는 3인칭 대명사 ‘그’로 바뀌었다. ‘제’도 3인칭 대명사 ‘저’의 주격과 관형격 형태로 쓰이는 일이 있다.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된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어버 주007)
어버ᅀᅵ:
어버이. 이 책에는 ‘ㅿ’이 쓰인 예도 있고 ‘ㅇ’으로 변화한 예도 있다. ¶①할아며 기리논 예〈번역소학 6:24ㄴ〉, 어버ᅀᅵ〈번역소학 9:8ㄱ〉 ②ᄉᆞ이〈번역소학 8:11ㄴ, 10:9ㄴ〉, 어버이〈번역소학 9:8ㄴ〉.
 주008)
ᄉᆞ라ᇰ:
사랑[愛]. ‘ᄉᆞ라ᇰ’은 ‘생각’을 뜻하기도 한다. ¶이 經을 닐거 외오며 그 들 야 불어 닐어 여러 뵈면 一切 願이 다 이러〈석보상절 9:23ㄴ〉.
호 아디 주009)
아디:
알지. 알-[知]+디(보조적 연결 어미).
몯리 주010)
몯ᄒᆞ리:
못할 이(아이)가. 몯[不能](부사)+ᄒᆞ-+ㄹ(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Ø(주격 조사).
업스며 그 라매 미처 주011)
미처ᄂᆞᆫ:
미쳐서는. 및-[及]+어(연결 어미)+ᄂᆞᆫ(보조사).
제 兄 공호 아디 몯리 업스니라 주012)
업스니라:
없느니라. 없-[無]+으니+라. ‘없다’가 형용사였기 때문에 ‘-ᄂᆞ-’가 결합하지 않았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웃음을 지을 줄 알고 이제 막 안아줄 만한 아이만 되어도 제 어버이를 사랑할 줄을 알지 못하는 아이가 없으며, 그 자람에 미쳐서는 제 형을 공경할 줄을 알지 못하는 아이가 없느니라.
〈해설〉 출전 : 맹자 진심장 상(盡心章上). 주석(소학집해)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해제(孩提)는 2~3세 정도로서, 웃을 줄 알고 안아줄 만한 아이이다. 어버이를 사랑하고 형을 공경하는 것은 이른바 양지(良知)와 양능(良能)이다.”(朱子曰 孩提二三歲之間 知孩笑可提抱者 愛親愛兄 所爲良知良能也). 양지(良知)와 양능(良能)의 의미는 『맹자』 「진심장 상(盡心章上)」 중 바로 앞에 나온다. “사람이 배우지 않고서도 할 수 있는 것을 양능(良能)이라 하고, 생각하지 않고서도 아는 것을 양지(良知)라고 한다.”(人之所不學而能者 其良能也 所不慮而知者 其良知也).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우ᅀᅮᆷ우ᅀᅵ:웃음짓기. 우ᇫ-[笑]+움(명사형 어미)+우ᇫ-[笑]+이(명사 파생 접미사). ‘우ᅀᅮᆷ’은 동사의 명사형인데 명사로 굳어졌다. ‘ㅿ’이 소멸하지 않고 쓰인 예이다. 이 낱말은 구조 면에서 아주 특이하다. 다음 예문에서도 보이지만 예가 아주 적다. ¶그 머근 後에 우우 나니라〈월인석보 1:43ㄴ〉. 원문의 ‘孩(해)’는 ‘咳(해)’의 고자(古字)로서 ‘젖먹이가 웃다’를 뜻한다.
주002)
알오:알고. 알-[知]+고(연결 어미). ‘ㄹ’ 뒤에서 ‘ㄱ’이 약화하여 유성 성문 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ㅇ’으로 표기한 것이다.
주003)
ᄀᆞᆺ:이제 막. 겨우. 이 낱말의 유의어인 ‘계요’는 16세기에 나타난다. 그 후에 ‘계유, 겨요, 겨유’ 등으로 변하였다.
주004)
아ᄂᆞᆯ:안을. 안-[抱]+ᄋᆞᆯ(관형사형 어미).
주005)
아ᄒᆡ:아이. 한자어 ‘兒孩(아해)’에서 온 것으로 보이나, 『국민소학독본』(1895) 이전의 한글 문헌에서는 한자로 표기된 ‘兒孩’가 보이지 않는다. ¶七八歲 된 兒孩가 그릇 물 속에 지거〈국민소학독본 11ㄴ〉. 아주 이른 시기에 한자어라는 인식이 엷어졌기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짐작된다.
주006)
제:자기의. 저(재귀 대명사)+의(관형격 조사). 『소학언해』(2:56ㄴ)에서는 3인칭 대명사 ‘그’로 바뀌었다. ‘제’도 3인칭 대명사 ‘저’의 주격과 관형격 형태로 쓰이는 일이 있다. 인칭대명사의 주격 형태와 관형격 형태는 다음과 같이 성조에 의해 구별된다. ①‧내(주격), 내(관형격) ②:네(주격), 네(관형격) ③‧뉘(주격), :뉘(관형격) ④:제(주격), 제(관형격).
주007)
어버ᅀᅵ:어버이. 이 책에는 ‘ㅿ’이 쓰인 예도 있고 ‘ㅇ’으로 변화한 예도 있다. ¶①할아며 기리논 예〈번역소학 6:24ㄴ〉, 어버ᅀᅵ〈번역소학 9:8ㄱ〉 ②ᄉᆞ이〈번역소학 8:11ㄴ, 10:9ㄴ〉, 어버이〈번역소학 9:8ㄴ〉.
주008)
ᄉᆞ라ᇰ:사랑[愛]. ‘ᄉᆞ라ᇰ’은 ‘생각’을 뜻하기도 한다. ¶이 經을 닐거 외오며 그 들 야 불어 닐어 여러 뵈면 一切 願이 다 이러〈석보상절 9:23ㄴ〉.
주009)
아디:알지. 알-[知]+디(보조적 연결 어미).
주010)
몯ᄒᆞ리:못할 이(아이)가. 몯[不能](부사)+ᄒᆞ-+ㄹ(관형사형 어미)+이(의존 명사)+Ø(주격 조사).
주011)
미처ᄂᆞᆫ:미쳐서는. 및-[及]+어(연결 어미)+ᄂᆞᆫ(보조사).
주012)
업스니라:없느니라. 없-[無]+으니+라. ‘없다’가 형용사였기 때문에 ‘-ᄂᆞ-’가 결합하지 않았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