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3
  • 번역소학 제3권
  • 내편(內篇)○제2편 명륜(明倫)○명부부지별(明夫婦之別)
  • 명부부지별 006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부부지별 006


母모ㅣ 施시衿금結결帨세 曰왈 勉면之지敬之지야 夙슉夜야애 無무違위宮事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어미 주001)
ᄯᅴ:
띠[衿].
오 주002)
ᄆᆡ오:
매어 주고. ᄆᆡ-[結]+이(사동 접미사)+고(대등 연결 어미). ‘-고’의 ‘ㄱ’이 이중 모음의 음절 부음 [j] 뒤에서 유성 성문 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ㅇ’으로 표기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음운론적으로는 자음이기 때문에 ‘ᄆᆡ요’로 표기되지 않는다. 다음 예문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중세 국어에서는 ‘-고’의 ‘ㄱ’이 사동 접미사 ‘-이-’ 뒤에서 약화되지 않는다. ¶여슷 아란 마 갓 얼이고 아기 아리  곱거늘 各別히 야〈석보상절 6:13ㄴ〉. ‘ᄆᆡ오’가 『소학언해』(2:46ㄴ)에서는 ‘ᄯᅴ이고’로 바뀌었다. ‘ᄯᅴ이고’는 ‘ᄯᅴ-[帶](동사 어간)+이(사동 접미사)+고’의 구조이다.
슈건 오 로 힘며 恭敬 주003)
고ᇰ겨ᇰ:
공경(恭敬). 삼감.
야 일져므리 야 짒이 주004)
짒이ᄅᆞᆯ:
집안일을. 『소학언해』(2:47ㄱ)에는 ‘ㅅ’이 빠진 ‘집일을’로 적혀 있다. ‘집’에 관형격 조사 ‘ㅅ’이 결합하면 ‘짓’이 되기도 하는데, 예가 아주 드물다. ¶①내 슬호 가난 짒 리 오래 羅襦裳 어더 뒷다니〈두시언해 초간본 8:68ㄱ〉 ②그 짓 리  가져 나오 婆羅門이 보고 깃거〈석보상절 6:14ㄱ〉.
어글읏디 주005)
어글읏디:
그르치지. 앞 대목의 ‘어글읏디’는 ‘命며ᇰ을’을 목적어로 취하였으므로 ‘어기지’를 뜻하지만, 여기의 ‘어글읏디’는 ‘짒이ᄅᆞᆯ’을 목적어로 취하였으므로 ‘그르치지’를 뜻한다. 『소학언해』(2:47ㄱ)에는 ‘어글웃디’로 나타난다.
말라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어머니는 띠를 매어 주고 수건을 매어 주며 말하되, “힘쓰며 공경하여 종일토록 집안일을 그르치지 말아라.”
〈해설〉 출전 : 의례(儀禮) 사혼례(士昏禮). 주석(소학집설) : 진씨(陳氏)가 말하였다. “금(衿)은 작은 띠이고 세(帨)는 허리에 차는 수건이다. 위(違)는 어그러짐이다. 궁사(宮事)는 문지방 안쪽의 일들이다.”(陳氏曰 衿小帶 帨佩巾 違乖也 宮事謂閫內之事). 『시경』 「동산」에는 ‘施衿結帨’ 대신 ‘親結其縭’라고 적혀 있고, 그 주석에 “리(縭)는 부녀자의 위(褘: 향주머니)이다. 어머니가 딸을 경계하여 띠를 매어 주고 수건을 매어 주는 것이다.(縭婦人之褘也 母戒女而爲之施衿結帨也)”라고 적혀 있다. 진씨(陳氏)는 진선(陳選: 1429~1486)이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ᄯᅴ:띠[衿].
주002)
ᄆᆡ오:매어 주고. ᄆᆡ-[結]+이(사동 접미사)+고(대등 연결 어미). ‘-고’의 ‘ㄱ’이 이중 모음의 음절 부음 [j] 뒤에서 유성 성문 마찰음 [ɦ]으로 실현된 것을 ‘ㅇ’으로 표기한 것이다. 이때의 ‘ㅇ’은 음운론적으로는 자음이기 때문에 ‘ᄆᆡ요’로 표기되지 않는다. 다음 예문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중세 국어에서는 ‘-고’의 ‘ㄱ’이 사동 접미사 ‘-이-’ 뒤에서 약화되지 않는다. ¶여슷 아란 마 갓 얼이고 아기 아리  곱거늘 各別히 야〈석보상절 6:13ㄴ〉. ‘ᄆᆡ오’가 『소학언해』(2:46ㄴ)에서는 ‘ᄯᅴ이고’로 바뀌었다. ‘ᄯᅴ이고’는 ‘ᄯᅴ-[帶](동사 어간)+이(사동 접미사)+고’의 구조이다.
주003)
고ᇰ겨ᇰ:공경(恭敬). 삼감.
주004)
짒이ᄅᆞᆯ:집안일을. 『소학언해』(2:47ㄱ)에는 ‘ㅅ’이 빠진 ‘집일을’로 적혀 있다. ‘집’에 관형격 조사 ‘ㅅ’이 결합하면 ‘짓’이 되기도 하는데, 예가 아주 드물다. ¶①내 슬호 가난 짒 리 오래 羅襦裳 어더 뒷다니〈두시언해 초간본 8:68ㄱ〉 ②그 짓 리  가져 나오 婆羅門이 보고 깃거〈석보상절 6:14ㄱ〉.
주005)
어글읏디:그르치지. 앞 대목의 ‘어글읏디’는 ‘命며ᇰ을’을 목적어로 취하였으므로 ‘어기지’를 뜻하지만, 여기의 ‘어글읏디’는 ‘짒이ᄅᆞᆯ’을 목적어로 취하였으므로 ‘그르치지’를 뜻한다. 『소학언해』(2:47ㄱ)에는 ‘어글웃디’로 나타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