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3
  • 번역소학 제3권
  • 내편(內篇)○제2편 명륜(明倫)○명붕우지교(明朋友之交)
  • 명붕우지교 004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붕우지교 004


子貢이 問문友우대 孔子 曰왈 忠告곡而善션道도之지다가 不블可가則즉止지야 毋모自辱焉언이니라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子貢 주001)
ᄌᆞ고ᇰ:
자공(子貢). ‘子貢이’가 『소학언해』(2:66ㄱ)에서는 ‘子貢【姓은 端木이오 일홈은 賜ㅣ니 孔子ㅅ 뎨ᄌᆡ라】 이’로 바뀌었다. 자공(子貢)은 공자의 제자이다. 자(字)가 자공(子貢)이고, 이름은 단목사(端木賜)이다.
버들 주002)
버들:
벗을. 벗을 사귀는 법을. 원문 ‘問友’의 ‘友’는 ‘교우(交友)’를 뜻한다.
묻온대 주003)
묻ᄌᆞ온대:
여쭈었는데. 묻-[問]+ᄌᆞᆸ/ᄌᆞ오(겸양 선어말 어미)+ㄴ대(연결 어미). 묻ᄌᆞᄫᆞᆫ대〉묻ᄌᆞ온대.
孔子ㅣ 샤 로 주004)
져ᇰ셔ᇰᄋᆞ로:
정성(精誠)으로. ‘졍셔ᇰᄋᆞ로 告ᄒᆞ고’의 원문은 ‘忠告’이다. ‘져ᇰ셔ᇰᄋᆞ로’가 『소학언해』(2:66ㄱ)에서는 ‘튜ᇰ셔ᇰ을오’로 바뀌었다.
告고고 주005)
고ᄒᆞ고:
고(告)하고. 언해문의 ‘告:고·ᄒᆞ·고’가 원문에서는 ‘告·곡’으로 나타나 있다. 『소학언해』(2:66ㄱ)에서는 원문과 언해문이 각각 ‘告·곡’과 ‘:고ᄒᆞ·며’로 나타나 있다. ‘告’의 독음이 언해문과 원문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특이하다. 이 책의 다른 곳에서는 원문에서도 ‘告’의 독음이 ‘:고’로 나타난 예가 많이 있다. 그때에는 성조도 상성으로 나타난다(3:11ㄴ, 3:14ㄱ, 3:29ㄴ).
어딘 주006)
어딘:
어진. ‘어딘 일로’가 『소학언해』(2:66ㄱ)에서는 ‘어딜이’로 바뀌었다.
일로 니다가 올히 주007)
올히:
옳게. 옳-[可]+이(부사형 어미). ‘올히 너기디’가 『소학언해』(2:66ㄱ)에서는 ‘可티’로 바뀌었다.
너기디 주008)
너기디:
여기지. 너기다〉녀기다〉여기다. 다른 대목이지만 『소학언해』(3:6ㄴ)에서는 어형이 바뀐 ‘녀기기’가 나타난다.
아니커든 마라 주009)
마라:
그만두어서. 말-[止]+아(연결 어미). 현대 국어의 ‘말다’가 보조 동사로만 쓰이는 것과 달리 여기의 ‘말다’는 본동사로 쓰였다.
스스로 辱 멋

번역소학 권3:35ㄱ

주010)
멋디:
같은 용례를 찾을 수 없다. ‘辱ᄋᆞᆯ 멋디’가 『소학언해』(2:66ㄱ)에서는 ‘辱디’로 바뀌었다. ‘辱디’는 ‘辱ᄒᆞ디’에서 ‘ᄒᆞ’가 탈락한 동사이다. 이 책의 ‘멋디’가 ‘밧디(=받지)’의 오각일 가능성도 고려해 보지만, 이 책에서 7종성 표기의 사례가 보이지 않아서 속단하기 어렵다. 정재영(2000:156)은 ‘먹디’의 오각으로 추정하였는데, 그럴 가능성이 크다.
마롤 디니라 주011)
마롤 디니라:
말지니라. 원문 ‘毋’의 독음이 ‘모’로 적혀 있다. 『소학언해』(2:66ㄱ)에는 ‘무’로 바뀌었는데, 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자공(子貢)이 벗을 사귀는 법을 여쭈었는데, 공자께서 말씀하시되, 정성으로 알려 주고 어진 일로 말해 주다가, 옳게 여기지 아니하면 그만두어서, 스스로 욕(辱)을 받지 말지니라.
〈해설〉 출전 : 논어 안연편(顏淵篇). 주석(소학집해) : 주자(朱子)께서 말씀하셨다. “벗은 인(仁)을 돕는 까닭에 마음을 다해 충고해 주고 그 말을 선하게 하여 이끈다. 그러나 의리로 합해진 사이이므로 불가하면 그만둘지니, 만약 자주 충고하다가 소원함을 당하면 스스로 욕을 당하게 된다.”(友所以輔仁 故盡其心以告之 善其說以道 然以義合者也 故不可則止 若以數而見疏 則自辱矣).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ᄌᆞ고ᇰ:자공(子貢). ‘子貢이’가 『소학언해』(2:66ㄱ)에서는 ‘子貢<원주>【姓은 端木이오 일홈은 賜ㅣ니 孔子ㅅ 뎨ᄌᆡ라】 이’로 바뀌었다. 자공(子貢)은 공자의 제자이다. 자(字)가 자공(子貢)이고, 이름은 단목사(端木賜)이다.
주002)
버들:벗을. 벗을 사귀는 법을. 원문 ‘問友’의 ‘友’는 ‘교우(交友)’를 뜻한다.
주003)
묻ᄌᆞ온대:여쭈었는데. 묻-[問]+ᄌᆞᆸ/ᄌᆞ오(겸양 선어말 어미)+ㄴ대(연결 어미). 묻ᄌᆞᄫᆞᆫ대〉묻ᄌᆞ온대.
주004)
져ᇰ셔ᇰᄋᆞ로:정성(精誠)으로. ‘졍셔ᇰᄋᆞ로 告ᄒᆞ고’의 원문은 ‘忠告’이다. ‘져ᇰ셔ᇰᄋᆞ로’가 『소학언해』(2:66ㄱ)에서는 ‘튜ᇰ셔ᇰ을오’로 바뀌었다.
주005)
고ᄒᆞ고:고(告)하고. 언해문의 ‘告:고·ᄒᆞ·고’가 원문에서는 ‘告·곡’으로 나타나 있다. 『소학언해』(2:66ㄱ)에서는 원문과 언해문이 각각 ‘告·곡’과 ‘:고ᄒᆞ·며’로 나타나 있다. ‘告’의 독음이 언해문과 원문에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특이하다. 이 책의 다른 곳에서는 원문에서도 ‘告’의 독음이 ‘:고’로 나타난 예가 많이 있다. 그때에는 성조도 상성으로 나타난다(3:11ㄴ, 3:14ㄱ, 3:29ㄴ).
주006)
어딘:어진. ‘어딘 일로’가 『소학언해』(2:66ㄱ)에서는 ‘어딜이’로 바뀌었다.
주007)
올히:옳게. 옳-[可]+이(부사형 어미). ‘올히 너기디’가 『소학언해』(2:66ㄱ)에서는 ‘可티’로 바뀌었다.
주008)
너기디:여기지. 너기다〉녀기다〉여기다. 다른 대목이지만 『소학언해』(3:6ㄴ)에서는 어형이 바뀐 ‘녀기기’가 나타난다.
주009)
마라:그만두어서. 말-[止]+아(연결 어미). 현대 국어의 ‘말다’가 보조 동사로만 쓰이는 것과 달리 여기의 ‘말다’는 본동사로 쓰였다.
주010)
멋디:같은 용례를 찾을 수 없다. ‘辱ᄋᆞᆯ 멋디’가 『소학언해』(2:66ㄱ)에서는 ‘辱디’로 바뀌었다. ‘辱디’는 ‘辱ᄒᆞ디’에서 ‘ᄒᆞ’가 탈락한 동사이다. 이 책의 ‘멋디’가 ‘밧디(=받지)’의 오각일 가능성도 고려해 보지만, 이 책에서 7종성 표기의 사례가 보이지 않아서 속단하기 어렵다. 정재영(2000:156)은 ‘먹디’의 오각으로 추정하였는데, 그럴 가능성이 크다.
주011)
마롤 디니라:말지니라. 원문 ‘毋’의 독음이 ‘모’로 적혀 있다. 『소학언해』(2:66ㄱ)에는 ‘무’로 바뀌었는데, 이 변화에는 예외가 없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