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번역소학

  • 역주 번역소학 권3
  • 번역소학 제3권
  • 내편(內篇)○제2편 명륜(明倫)○명군신지의(明君臣之義)
  • 명군신지의 012
메뉴닫기 메뉴열기

명군신지의 012


○吉길月월에 必필朝됴服복而朝됴ㅣ러시다
Ⓒ 구결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주001)
:
달. 현대 국어의 ‘달’과 같이 천체의 ‘달’을 가리키기도 하고 시간의 단위인 ‘달’을 가리키기도 하였다. 여기서는 후자에 해당한다.
초 주002)
초:
초하루에. 초(初)+ᄒᆞᄅᆞ[一日]+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중세 국어의 ‘ᄒᆞᄅᆞ’는 자음으로 시작되는 조사 앞에서는 ‘ᄒᆞᄅᆞ’로 나타나고(예: ᄒᆞᄅᆞ도),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 앞에서는 ‘ᄒᆞᆯㄹ’로 나타난다(예: ᄒᆞᆯ리, ᄒᆞᆯᄅᆞᆯ, ᄒᆞᆯᄅᆞᆫ). 이것을 ‘ㄹㄹ’형 곡용이라 한다. 이와 달리 ‘ᄀᆞᄅᆞ[粉]’는 ‘ᄀᆞᆯ이, ᄀᆞᆯᄋᆞᆯ, ᄀᆞᆯᄋᆞᆫ’과 같이 곡용하였는데, 이를 ‘ㄹㅇ’형 곡용이라 한다. ‘ᄋᆡ’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신체 지칭어, 방위 지칭어, 시간 지칭어 등 특수 어휘가 ‘애, 에, 예’ 대신 이러한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모로매 주003)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모름[不知]에’를 뜻하는 것은 ‘몰로매’이다. 『소학언해』(2:42ㄱ)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朝됴服복 닙고 朝됴더시다 주004)
됴더시다:
조(朝)하셨다. 조회에 나가셨다. ‘됴(朝)’가 ‘조회에 나감’을 의미하고 있다.
Ⓒ 언해 | 찬집청 / 1518년(중종 13) 월 일

매월 초하루에는 반드시 조복(朝服)을 입고 조회(朝會)에 나가셨다.
〈해설〉 출전 : 논어 향당편. 주석(소학집설) : 주자께서 말씀하셨다. “길월(吉月)은 매월 초하루이다. 공자께서 노나라에 계시면서 벼슬을 그만두셨을 때 이와 같이 하셨다.”(朱子曰 吉月 月朔也 孔子在魯致仕時 如此).
Ⓒ 역자 | 이유기 / 2020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달. 현대 국어의 ‘달’과 같이 천체의 ‘달’을 가리키기도 하고 시간의 단위인 ‘달’을 가리키기도 하였다. 여기서는 후자에 해당한다.
주002)
초:초하루에. 초(初)+ᄒᆞᄅᆞ[一日]+ᄋᆡ(특수 처소 부사격 조사). 중세 국어의 ‘ᄒᆞᄅᆞ’는 자음으로 시작되는 조사 앞에서는 ‘ᄒᆞᄅᆞ’로 나타나고(예: ᄒᆞᄅᆞ도),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 앞에서는 ‘ᄒᆞᆯㄹ’로 나타난다(예: ᄒᆞᆯ리, ᄒᆞᆯᄅᆞᆯ, ᄒᆞᆯᄅᆞᆫ). 이것을 ‘ㄹㄹ’형 곡용이라 한다. 이와 달리 ‘ᄀᆞᄅᆞ[粉]’는 ‘ᄀᆞᆯ이, ᄀᆞᆯᄋᆞᆯ, ᄀᆞᆯᄋᆞᆫ’과 같이 곡용하였는데, 이를 ‘ㄹㅇ’형 곡용이라 한다. ‘ᄋᆡ’는 관형격 조사와 형태가 같은데, 대개 신체 지칭어, 방위 지칭어, 시간 지칭어 등 특수 어휘가 ‘애, 에, 예’ 대신 이러한 부사격 조사를 취한다.
주003)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모름[不知]에’를 뜻하는 것은 ‘몰로매’이다. 『소학언해』(2:42ㄱ)에서는 ‘반ᄃᆞ시’로 바뀌었다. 『번역소학』 제 3·4권의 ‘모로매’는 예외 없이 『소학언해』에서 ‘반ᄃᆞ시’로 교체되었다.
주004)
됴더시다:조(朝)하셨다. 조회에 나가셨다. ‘됴(朝)’가 ‘조회에 나감’을 의미하고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