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3
  • 월인천강지곡 기500~기519(20곡)
  • 월인천강지곡 기511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511


其 五百十一
다 山애 드러가 道理 닷가지다 주001)
-지다:
넓은 의미에서 명령법의 범주에 드는 어미이다. 그와 같은 형태로는 ‘-져’와 ‘-사다’, ‘-고라’와 ‘-고이다’ 등이 있다. ‘-지라’와 ‘-지다’는 각각 ‘라’체와 ‘쇼셔’체로서, ‘-져’와 ‘-사다’는 권유하여 함께 하자는 뜻으로 1인칭 복수에 대한 명령이었다.
世尊이 말라 시니

월인석보 23:68ㄱ

賓鉢羅庵애 가 結加趺坐 주002)
결가부좌(結跏趺坐):
부처의 좌법(坐法)으로 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 왼쪽 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놓고 오른쪽 발을 왼쪽 넓적다리 위에 놓고 앉는 것을 길상좌라고 하고 그 반대를 항마좌라고 한다. 손은 왼 손바닥을 오른 손바닥 위에 겹쳐 배꼽 밑에 편안히 놓는다.
야 天宮을 다 펴보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오백십일
다른 산에 들어가 도리를 닦고 싶습니다. 세존이 말라 하시니
빈발라암에 가 결가부좌하여 천궁을 다 살펴보니
Ⓒ 역자 | 한재영 / 2009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지다:넓은 의미에서 명령법의 범주에 드는 어미이다. 그와 같은 형태로는 ‘-져’와 ‘-사다’, ‘-고라’와 ‘-고이다’ 등이 있다. ‘-지라’와 ‘-지다’는 각각 ‘라’체와 ‘쇼셔’체로서, ‘-져’와 ‘-사다’는 권유하여 함께 하자는 뜻으로 1인칭 복수에 대한 명령이었다.
주002)
결가부좌(結跏趺坐):부처의 좌법(坐法)으로 좌선할 때 앉는 방법의 하나. 왼쪽 발을 오른쪽 넓적다리 위에 놓고 오른쪽 발을 왼쪽 넓적다리 위에 놓고 앉는 것을 길상좌라고 하고 그 반대를 항마좌라고 한다. 손은 왼 손바닥을 오른 손바닥 위에 겹쳐 배꼽 밑에 편안히 놓는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