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3
  • 월인천강지곡 기500~기519(20곡)
  • 월인천강지곡 기502
메뉴닫기 메뉴열기

월인천강지곡 기502


其 五百二

월인석보 23:64ㄴ

其 五百二
어미 모디러  주001)
:
짐승.
사아 주002)
사아:
기본형은 ‘사다’. 현대국어에서와는 달리 어미 ‘-아’가 축약되지 않는다. ‘사서’ 정도의 의미이다.
주갸 鬼神 이받더니 주003)
이받더니:
이받다. 대접하다. 봉양하다.
이 오나 주004)
오나:
여기에 보이는 어미 ‘-나’는 ‘오다’의 어간에만 붙는 ‘-거-’의 이형태이다. 오거든.
매로 텨 조차 주005)
조차:
기본형은 ‘좇다’. ‘어떤 자리에서 떠나도록 몰다’의 의로 쓰였다. 쫓아.
三寶 업시니 주006)
업시니:
기본형은 ‘업시다’. 업신여기다. 업신여기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기 오백이
어미가 모질어 짐승을 사서 죽여 귀신을 대접하더니
중이 오거든 매로 쳐서 쫓아서 삼보를 업신여기니
Ⓒ 역자 | 한재영 / 2009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짐승.
주002)
사아:기본형은 ‘사다’. 현대국어에서와는 달리 어미 ‘-아’가 축약되지 않는다. ‘사서’ 정도의 의미이다.
주003)
이받더니:이받다. 대접하다. 봉양하다.
주004)
오나:여기에 보이는 어미 ‘-나’는 ‘오다’의 어간에만 붙는 ‘-거-’의 이형태이다. 오거든.
주005)
조차:기본형은 ‘좇다’. ‘어떤 자리에서 떠나도록 몰다’의 의로 쓰였다. 쫓아.
주006)
업시니:기본형은 ‘업시다’. 업신여기다. 업신여기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