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3
  • 〈협주〉 목련이 아귀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 목련이 아귀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3
메뉴닫기 메뉴열기

목련이 아귀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3


[목련이 아귀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3]
부톄 目連이와 十方衆僧려 니샤 七月 열다쐣 날 이 自恣 주001)
자자(自恣):
① 자기 마음대로 함. ② 하안거(夏安居)를 마칠 때 하는 행사. 같이 안거에 들었던 승려들이 자신이 지은 죄를 다른 승려들 앞에서 고백하고 참회한다.
 時節에

월인석보 23:94ㄱ

≪自恣 제 허므를  미 드러 니게 씨니 메고 衆中에 大德長老 주002)
장로(長老):
배움이 크고 나이가 많으며 덕이 높은 승려를 높여 이르는 말.
 닐오 시혹 내 허므를 보거시나 시혹 내 罪 듣거시나 시혹 내 犯을 疑心커시나 어엿비 너겨  니쇼셔 내 懺悔호리다 이리 면 몸과 괘 淸淨리니 며 禪定解脫이 시혹 이슈미녀≫ 七世 父母와 現在 父母 厄難 中에 잇니 爲야 飯百味와 五果 주003)
오과(五果):
5과는 ‘등류, 이숙, 사용, 증상, 이계’이다. 과(果)는 인(因)의 대가 되는 말로서, 열매란 뜻이다. 변하여 원인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법을 말한다. 온갖 법은 모두 원인으로 말미암아 일어나지마는, 열반과 같은 무위법은 인에서 생긴 과가 아니고, 오랜 수행 끝에 증득되는 것이므로 열반의 묘과라 한다. 유식종에서는 과의 종류를 5과, 9과 등으로 나눈다. 9과는 앞의 5과 위에 ‘안립, 가행, 화합, 수습’의 4과를 더한 것이다. 또 인이 되어 뒤에 자과(自果)를 취하는 것을 취과(取果). 힘을 주어 생기게 함을 여과(與果). 습관에 따라 이루는 것을 습과(習果). 업을 따라 얻은 것을 보과(報果). 선한 인에 따라 나눈 법을 선과(善果). 악한 인에 따라 나눈 법을 악과(惡果). 괴로운 과보를 고과(苦果). 즐거운 과보를 낙과(樂果). 식, 명색, 육입, 촉, 수를 현재 5과, 생, 노사를 미래 2과,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을 4사문과(四沙門果), 독각(獨覺)의 과를 독각과(獨覺果), 부처의 과를 불과(佛果), 혹은 묘과(妙果), 무상과(無上果)라고도 한다.

월인석보 23:94ㄴ

≪五果  주004)
:
자위나 씨.
잇 果實와  잇 果實와 대가리 잇 果實와 거플 주005)
거플:
꺼풀. 껍질.
잇 果實와  잇 果實왜라≫ 汲灌盆器와 ≪汲은 믈 기를씨오 灌 믈 브씨라≫ 香과 기름과 錠과 燭과 牀敷臥具 주006)
와구(臥具):
이불, 베개 따위와 같은 누울 때에 쓰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와 ≪敷 씨라≫ 世間ㅅ 甘美 다야 盆中에 노하 十方大德衆

월인석보 23:95ㄱ

을 供養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목련이 아귀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3]
부처목련이와 십방중승더러 이르시되 칠월 열다샛 날 중이 자자할 때에 ≪자자는 제 허물을 끝까지 남이 들어 이르게 하는 것이니 어깨를 벗어 메고 무리 중에 대덕장로께 이르되 혹 내 허물을 보시거나 혹 내 죄를 들으시거나 혹 내 잘못을 의심하시거나 어여삐 여겨 끝까지 이르소서. 내가 참회하겠습니다. 이리 하면 몸과 마음이 청정할 것이니 하물며 선정해탈이 혹 있음뿐이랴.≫ 칠세 부모와 현재 부모의 액난 중에 있는 이를 위하여, 반백미와 오과와 ≪오과는 씨 있는 과실과 살 있는 과실과 대가리가 있는 과실과 껍질 있는 과실과 뿔 있는 과실이다.≫ 급관분기와 ≪급은 물을 긷는 것이고, 관은 물을 붓는 것이다.≫ 향과 기름과 정과 촉과 상부와구와 ≪부는 까는 것이다.≫ 세간의 감미를 다하여 분중에 놓아 십방대덕중승을 공양하라.
Ⓒ 역자 | 한재영 / 2009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자자(自恣):① 자기 마음대로 함. ② 하안거(夏安居)를 마칠 때 하는 행사. 같이 안거에 들었던 승려들이 자신이 지은 죄를 다른 승려들 앞에서 고백하고 참회한다.
주002)
장로(長老):배움이 크고 나이가 많으며 덕이 높은 승려를 높여 이르는 말.
주003)
오과(五果):5과는 ‘등류, 이숙, 사용, 증상, 이계’이다. 과(果)는 인(因)의 대가 되는 말로서, 열매란 뜻이다. 변하여 원인으로 말미암아 생기는 법을 말한다. 온갖 법은 모두 원인으로 말미암아 일어나지마는, 열반과 같은 무위법은 인에서 생긴 과가 아니고, 오랜 수행 끝에 증득되는 것이므로 열반의 묘과라 한다. 유식종에서는 과의 종류를 5과, 9과 등으로 나눈다. 9과는 앞의 5과 위에 ‘안립, 가행, 화합, 수습’의 4과를 더한 것이다. 또 인이 되어 뒤에 자과(自果)를 취하는 것을 취과(取果). 힘을 주어 생기게 함을 여과(與果). 습관에 따라 이루는 것을 습과(習果). 업을 따라 얻은 것을 보과(報果). 선한 인에 따라 나눈 법을 선과(善果). 악한 인에 따라 나눈 법을 악과(惡果). 괴로운 과보를 고과(苦果). 즐거운 과보를 낙과(樂果). 식, 명색, 육입, 촉, 수를 현재 5과, 생, 노사를 미래 2과,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을 4사문과(四沙門果), 독각(獨覺)의 과를 독각과(獨覺果), 부처의 과를 불과(佛果), 혹은 묘과(妙果), 무상과(無上果)라고도 한다.
주004)
:자위나 씨.
주005)
거플:꺼풀. 껍질.
주006)
와구(臥具):이불, 베개 따위와 같은 누울 때에 쓰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