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3
  • 불법전수에 관한 석존의 설법 ①
  • 불법전수에 관한 석존의 설법 2
메뉴닫기 메뉴열기

불법전수에 관한 석존의 설법 2


[불법전수에 관한 석존의 설법 2]

월인석보 23:16ㄴ

이제  어둘 주001)
어둘:
대강, 대충. 대체.
닐오리니 주002)
닐오리니:
여기에 쓰인 선어말어미 ‘-오-’는 동사 ‘닐다’의 주체가 1인칭임을 드러내는 기능을 한다. 관형구문에 쓰일 경우에는 대상활용의 기능을 가진다. 의미론적인 측면에서는 주관적 의도가 가미된 동작(또는 상태)의 진술에 사용되었다고 이해하기도 한다.
이 사미 반기 주003)
반기:
반드시.
十三種淸淨 주004)
청정(淸淨):
① 맑고 깨끗함. ② 맑고 깨끗하게 함. ③ 나쁜 짓으로 지은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나 깨끗함. ④ 계행(戒行)이 매우 조촐함.
功德을 得리니 어늬 주005)
어늬:
중세국어에서의 ‘어느’는 부사(어찌)나 관형사(어느), 명사(어느 것)로 쓰였다. ‘어늬’는 ‘어느+ㅣ(주격조사)’.
十三고 주006)
십삼(十三)고:
‘-고’는 의문첨사. 의문사가 있으면 ‘-고, -오, -노’ 등이 쓰이고, 의문사가 없으면 ‘-가, -아, -나’ 등이 쓰인다.
나 주007)
나:
하나는. 중세국어의 ‘하나’는 ‘ㅎ종성’ 체언이다. 중세어에서 첫째, 둘째 식의 이른바 서수사는 나열을 할 경우에는 ‘나ㅎ, 둘ㅎ, 세ㅎ’식으로 표현하고, 나열되어 있는 것을 바탕으로 몇번째 것이냐를 지적할 경우에는 ‘첫자히(차히, 재, 채), 둘자히, 셋자히’식으로 표현한다.
生死 주008)
생사(生死):
① 삶과 죽음을 아울러 이르는 말. 죽살이. ② 모든 생물이 과거의 업(業)의 결과로 개체를 이루었다가 다시 해체되는 일. 생로병사의 시작과 끝이다. ③ 중생의 업력(業力)에 의하여서 삼계(三界) 육도(六道)의 미혹한 세계를, 태어나고 죽음을 되풀이하며 돌고 도는 일.
흘러 올모매 乃終내 주009)
내종(乃終)내:
끝끝내. 마침내.
갓 주010)
갓:
(기)갓다 - 깎은. (기)갓다 - 거꾸로 된.
惡見 주011)
악견(惡見):
① 육번뇌의 하나. 모든 법의 진리에 대하여 잘못된 견해를 가지는 번뇌이다. ② 악견처.
을 다시 니왇디 주012)
니왇디:
기본형은 ‘니왇다’. 일으키다. ‘니르왇다’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아니호미오 둘흔 주013)
둘흔:
둘은. 수사 ‘둘’은 ‘ㅎ종성’ 체언이다. 이러한 체언은 15세기에는 상당히 많아서 확인되는 어휘가 80여 개가 된다. 길[道] 이외에도 ‘고[鼻], 긴[纓], 나라[國], 나조[夕], 내[川], 노[繩], 니마[額], 뎌[笛], 돌[梁], 뒤[後], 드르[野], 마[薯], 말[橛], 모[方], 뫼[山], 밀[小麥], 세[三], 셔울[京], 수[藪], 수[雄], 시내[溪], 안[內], 알[卵], 암[雌], 여러[諸], 우[上], 움[窟], 조[粟], 하[天], 올[州], [陰], [秋], [菜], [刃], [村], [野], [臂], [庭], [肌], [地], [源]’ 등이 그것이다. 15세기 당시에도 이미 일부 동요가 있음이 발견된다.
五濁 주014)
오탁(五濁):
세상의 다섯 가지 더러움. 명탁(命濁), 중생탁(衆生濁), 번뇌탁(煩惱濁), 견탁(見濁), 겁탁(劫濁)을 이른다.
無佛 주015)
무불(無佛):
부처가 세상에 존재하지 않음. 또는 부처가 현세에 나타나지 않음.
國土 주016)
국토(國土):
나라의 땅. 한 나라의 통치권이 미치는 지역을 이른다. 방토(邦土).
주017)
애:
처격조사 ‘에’, 이형태로는 ‘에(음성모음 뒤), 예(ㅣ모음 뒤)’가 있다. ① 조사 ‘-애’는 모음조화 규칙에 따라 양모음 어간 뒤에서는 ‘-애’, ② 음모음 어간 뒤에서는 ‘-에’, ③ i나 y 뒤에서는 ‘-예’가 쓰였다. 그 밖에도 처격 조사에는 ‘-/의’가 있었다. 이들 두 종류 조사의 관계는 아직 분명하지는 않으나, 처격으로 ‘-’를 취하는 명사들은 대체로 정해져 있어서 시간명사나 장소명사 또는 특수어간교체를 보이는 명사 등이었으나 동일한 명사가 ‘-’와 ‘-애’를 취한 예도 보인다.
나디 아니 호미오 주018)
호미오:
‘하는 것이고’. ‘+옴+이+고’. ‘-옴’은 동명사어미이고, ‘-고’의 ‘ㄱ’은 ‘ㅣ, ㄹ’ 아래에서 탈락한다.
세 녜

월인석보 23:17ㄱ

보미오 주019)
보미오:
‘보++옴+이+오’. ‘--’은 ‘--, --’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겸양법(객체존대)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이다. ‘-옴’은 동명사형을 만드는 어미이다.
네 녜 正法 주020)
정법(正法):
바른 교법(敎法). 정법시(正法時).
듣미오 다 녜 衆僧 주021)
중승(衆僧):
많은 승려.
供養 주022)
공양(供養):
불(佛), 법(法), 승(僧)의 삼보(三寶)나 죽은 이의 영혼에게 음식, 꽃 따위를 바치는 일. 또는 그 음식.
호미오 여스슨 善知識 주023)
선지식(善知識):
지혜와 덕망이 있고 사람들을 교화할 만한 능력이 있는 승려. 지식(知識)·선우(善友)·친우(親友)·선친우(善親友)·승우(勝友)라고도 한다. ① 부처님이 말씀한 교법(敎法)을 말하여 다른 이로 하여금 고통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境)에 이르게 하는 사람. ② 남녀노소, 귀천을 가리지 않고, 모두 불연(佛緣)을 맺게 하는 사람.
맛나미오 주024)
맛나미오:
‘만남이고’, ‘만나는 것이고’.
닐구븐 녜 六波羅蜜 주025)
육바라밀(六波羅蜜):
보살이 열반에 이르기 위해 실천해야 할 여섯 가지 덕목. 보시, 인욕, 지계, 정진, 선정, 지혜를 이른다.
相應 주026)
상응(相應):
서로 응하거나 어울림. 유가(瑜伽).
호미오 여들븐 小乘 주027)
소승(小乘):
수행을 통한 개인의 해탈을 가르치는 교법. 석가모니가 죽은 지 약 100년 뒤부터 시작하여 수백 년간 지속된 교법으로 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이 있다. ⑴ 성문승은 사제(四諦)의 이치를 관하여 성문의 사과(四果)를 증득하여 열반에 이르는 것을 교리로 하고, ⑵ 연각승은 12인연을 관하여 벽지불과에 이르는 것을 교체(敎體)로 함. 이것은 모두 회신멸지(灰身滅智)의 공적한 열반에 이르는 것을 최후 목적으로 여긴다. 인도의 상죄부, 대중부 등의 20분파와 동토의 구사종, 성실종, 율종 등이 있다. 소극적이고 개인적인 열반만을 중시한 나머지, 자유스럽고 생명력이 넘치는 참된 인간성의 구현을 소홀히 하는 데에 반발하여 대승이 일어났다. 하승(下乘).
러디디 주028)
러디디:
러디다. ‘-아/어 디다’는 장형피동형이다. 중세국어의 피동은 장형 피동 이외에 단형 피동과 ∅ 접사를 이용하는 피동 형식이 존재한다. 단형 피동은 접사 ‘-이/히/기-’를 사용하고, ∅ 접사를 이용하는 피동 형식은 동사원형이 타동사 역할을 하는 용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아니호미오 아호 녜 大慈大悲 주029)
대자대비(大慈大悲):
넓고 커서 끝이 없는 부처와 보살의 자비. 특히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이른다. 대자비.
方便 주030)
방편(方便):
십바라밀의 하나.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쓰는 묘한 수단과 방법이다. ‘방편력’은 ‘방편의 힘’을 뜻한다.

월인석보 23:17ㄴ

力으로 衆生 주031)
중생(衆生):
① 많은 사람. ② 모든 살아 있는 무리.
일우오미오 주032)
일우오미오:
‘일+우+옴+이+오’. ‘이루는 것이고’. ‘일-’[成], ‘살-’[生], ‘돌-’[廻] 등 ‘ㄹ’ 말음을 가진 몇 어간은 접미사에 의한 ‘일우-, 살이-’와 함께 ‘이-, 사-’와 같이 접미사 ‘--’에 의한 파생도 보여 준다. 의미에는 차이가 있어 ‘일우-’는 “어떤 일을 성취함”, ‘이-’는 “집이나 탑을 세움”, ‘살이-’는 “어떤 곳에 살게 함”, ‘사-’는 “목숨을 살림”을 뜻한다.
열 녜 노 주033)
원(願):
① 소원(所願). ② 십바라밀의 하나. 바라는 것을 반드시 얻는 힘이다.
을 發호미오 열나 普提 주034)
보리〔普提〕:
불교 최고의 이상인 불타 정각의 지혜, 불타 정각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닦는 도. 불과(佛果)에 이르는 길을 이른다.
니르리 주035)
니르리:
일반적으로는 동사 ‘니를-’에서 파생된 ‘① 이르게. 이르도록. ② 영원히. 오래도록. 영영.’과 같은 부사로 이해하고 있으나, ‘普提예 니르리 녜 우횟 法 여희디 아니호미오’에 보이는 ‘니를-’[到]가 용언성이 있음을 분명히 보인다. 그 앞에 통사적으로 관련이 있는 명사구 ‘NP애’가 있을 뿐 아니라, ‘니를오’식의 활용을 하기 때문에 동사로 파악하여야 하는 것이다.
녜 우흿 주036)
법(法):
그 자체의 성품을 간직하여 변하지 않고 궤범(軌範)이 되어서 사람이 사물에 대하여 일정한 이해를 낳게 하는 근거가 되는 것.
 여희디 주037)
여희디:
여의다, 이별하다, 잃다. 떠나다.
아니호미오 열둘 리 六波羅蜜이 호미오 열세 阿耨多羅三藐三菩提 주038)
아뇩다라삼막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아뇩삼보리·아뇩보제. 번역하여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불과(佛果)의 지혜를 말함. 아뇩다라는 무상(無上), 삼먁삼보리는 정변지(正遍智), 또는 정등정각이라 번역하니 앞의 것은 구역, 뒤의 것은 신역. 줄여서 정각이라 하니, 범부가 불각(不覺)인 데 대하여, 미계(迷界)를 여의고 각지(覺知)가 원만하여 일체의 진상을 모두 아는 부처님의 무상 승지.
正覺 주039)
정각(正覺):
① 정등각(正等覺). ② 등각(等覺). ③ 등각.
‘정등각’은 올바른 깨달음. 일체의 참된 모습을 깨달은 더할 나위 없는 지혜이다.
일우미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불법전수에 관한 석존의 설법 2]
내가 이제 또 대강 이르리니 이 사람이 반드시 13가지 맑고 깨끗한 공덕을 얻을 것이니 어찌 열세 가지인가? 하나는 생사가 흘러 옮김에 끝끝내 깎은 악견을 다시 일으키지 아니하는 것이고, 둘은 세상에 다섯 가지 더러운 부처가 없는 곳에 나지 아니하는 것이고, 셋은 항상 부처 뵙는 것이고, 넷은 항상 정법을 듣는 것이고, 다섯은 늘 많은 승려를 공양하는 것이고, 여섯은 지혜와 덕망이 있어 사람들을 교화할 만한 능력이 있는 승려를 만나는 것이고, 일곱은 항상 육바라밀과 상응하는 것이고, 여덟은 소승에 떨어지지 아니하는 것이고, 아홉은 항상 대자대비 대방편력으로 중생이 이루는 것이고, 열은 항상 높은 원을 발하는 것이고, 열하나는 불교 최고의 이상인 불타 정각의 지혜에 이르도록 항상 위의 법들을 잃지 않는 것이고, 열둘은 빨리 여섯 바라밀이 가득하게 하는 것이고, 열셋은 아누다라삼막삼보리에 올바른 깨달음을 이루는 것이다.
Ⓒ 역자 | 한재영 / 2009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어둘:대강, 대충. 대체.
주002)
닐오리니:여기에 쓰인 선어말어미 ‘-오-’는 동사 ‘닐다’의 주체가 1인칭임을 드러내는 기능을 한다. 관형구문에 쓰일 경우에는 대상활용의 기능을 가진다. 의미론적인 측면에서는 주관적 의도가 가미된 동작(또는 상태)의 진술에 사용되었다고 이해하기도 한다.
주003)
반기:반드시.
주004)
청정(淸淨):① 맑고 깨끗함. ② 맑고 깨끗하게 함. ③ 나쁜 짓으로 지은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나 깨끗함. ④ 계행(戒行)이 매우 조촐함.
주005)
어늬:중세국어에서의 ‘어느’는 부사(어찌)나 관형사(어느), 명사(어느 것)로 쓰였다. ‘어늬’는 ‘어느+ㅣ(주격조사)’.
주006)
십삼(十三)고:‘-고’는 의문첨사. 의문사가 있으면 ‘-고, -오, -노’ 등이 쓰이고, 의문사가 없으면 ‘-가, -아, -나’ 등이 쓰인다.
주007)
나:하나는. 중세국어의 ‘하나’는 ‘ㅎ종성’ 체언이다. 중세어에서 첫째, 둘째 식의 이른바 서수사는 나열을 할 경우에는 ‘나ㅎ, 둘ㅎ, 세ㅎ’식으로 표현하고, 나열되어 있는 것을 바탕으로 몇번째 것이냐를 지적할 경우에는 ‘첫자히(차히, 재, 채), 둘자히, 셋자히’식으로 표현한다.
주008)
생사(生死):① 삶과 죽음을 아울러 이르는 말. 죽살이. ② 모든 생물이 과거의 업(業)의 결과로 개체를 이루었다가 다시 해체되는 일. 생로병사의 시작과 끝이다. ③ 중생의 업력(業力)에 의하여서 삼계(三界) 육도(六道)의 미혹한 세계를, 태어나고 죽음을 되풀이하며 돌고 도는 일.
주009)
내종(乃終)내:끝끝내. 마침내.
주010)
갓:(기)갓다 - 깎은. (기)갓다 - 거꾸로 된.
주011)
악견(惡見):① 육번뇌의 하나. 모든 법의 진리에 대하여 잘못된 견해를 가지는 번뇌이다. ② 악견처.
주012)
니왇디:기본형은 ‘니왇다’. 일으키다. ‘니르왇다’의 형태로도 나타난다.
주013)
둘흔:둘은. 수사 ‘둘’은 ‘ㅎ종성’ 체언이다. 이러한 체언은 15세기에는 상당히 많아서 확인되는 어휘가 80여 개가 된다. 길[道] 이외에도 ‘고[鼻], 긴[纓], 나라[國], 나조[夕], 내[川], 노[繩], 니마[額], 뎌[笛], 돌[梁], 뒤[後], 드르[野], 마[薯], 말[橛], 모[方], 뫼[山], 밀[小麥], 세[三], 셔울[京], 수[藪], 수[雄], 시내[溪], 안[內], 알[卵], 암[雌], 여러[諸], 우[上], 움[窟], 조[粟], 하[天], 올[州], [陰], [秋], [菜], [刃], [村], [野], [臂], [庭], [肌], [地], [源]’ 등이 그것이다. 15세기 당시에도 이미 일부 동요가 있음이 발견된다.
주014)
오탁(五濁):세상의 다섯 가지 더러움. 명탁(命濁), 중생탁(衆生濁), 번뇌탁(煩惱濁), 견탁(見濁), 겁탁(劫濁)을 이른다.
주015)
무불(無佛):부처가 세상에 존재하지 않음. 또는 부처가 현세에 나타나지 않음.
주016)
국토(國土):나라의 땅. 한 나라의 통치권이 미치는 지역을 이른다. 방토(邦土).
주017)
애:처격조사 ‘에’, 이형태로는 ‘에(음성모음 뒤), 예(ㅣ모음 뒤)’가 있다. ① 조사 ‘-애’는 모음조화 규칙에 따라 양모음 어간 뒤에서는 ‘-애’, ② 음모음 어간 뒤에서는 ‘-에’, ③ i나 y 뒤에서는 ‘-예’가 쓰였다. 그 밖에도 처격 조사에는 ‘-/의’가 있었다. 이들 두 종류 조사의 관계는 아직 분명하지는 않으나, 처격으로 ‘-’를 취하는 명사들은 대체로 정해져 있어서 시간명사나 장소명사 또는 특수어간교체를 보이는 명사 등이었으나 동일한 명사가 ‘-’와 ‘-애’를 취한 예도 보인다.
주018)
호미오:‘하는 것이고’. ‘+옴+이+고’. ‘-옴’은 동명사어미이고, ‘-고’의 ‘ㄱ’은 ‘ㅣ, ㄹ’ 아래에서 탈락한다.
주019)
보미오:‘보++옴+이+오’. ‘--’은 ‘--, --’ 등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겸양법(객체존대)을 나타내는 선어말어미이다. ‘-옴’은 동명사형을 만드는 어미이다.
주020)
정법(正法):바른 교법(敎法). 정법시(正法時).
주021)
중승(衆僧):많은 승려.
주022)
공양(供養):불(佛), 법(法), 승(僧)의 삼보(三寶)나 죽은 이의 영혼에게 음식, 꽃 따위를 바치는 일. 또는 그 음식.
주023)
선지식(善知識):지혜와 덕망이 있고 사람들을 교화할 만한 능력이 있는 승려. 지식(知識)·선우(善友)·친우(親友)·선친우(善親友)·승우(勝友)라고도 한다. ① 부처님이 말씀한 교법(敎法)을 말하여 다른 이로 하여금 고통 세계를 벗어나 이상경(理想境)에 이르게 하는 사람. ② 남녀노소, 귀천을 가리지 않고, 모두 불연(佛緣)을 맺게 하는 사람.
주024)
맛나미오:‘만남이고’, ‘만나는 것이고’.
주025)
육바라밀(六波羅蜜):보살이 열반에 이르기 위해 실천해야 할 여섯 가지 덕목. 보시, 인욕, 지계, 정진, 선정, 지혜를 이른다.
주026)
상응(相應):서로 응하거나 어울림. 유가(瑜伽).
주027)
소승(小乘):수행을 통한 개인의 해탈을 가르치는 교법. 석가모니가 죽은 지 약 100년 뒤부터 시작하여 수백 년간 지속된 교법으로 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이 있다. ⑴ 성문승은 사제(四諦)의 이치를 관하여 성문의 사과(四果)를 증득하여 열반에 이르는 것을 교리로 하고, ⑵ 연각승은 12인연을 관하여 벽지불과에 이르는 것을 교체(敎體)로 함. 이것은 모두 회신멸지(灰身滅智)의 공적한 열반에 이르는 것을 최후 목적으로 여긴다. 인도의 상죄부, 대중부 등의 20분파와 동토의 구사종, 성실종, 율종 등이 있다. 소극적이고 개인적인 열반만을 중시한 나머지, 자유스럽고 생명력이 넘치는 참된 인간성의 구현을 소홀히 하는 데에 반발하여 대승이 일어났다. 하승(下乘).
주028)
러디디:러디다. ‘-아/어 디다’는 장형피동형이다. 중세국어의 피동은 장형 피동 이외에 단형 피동과 ∅ 접사를 이용하는 피동 형식이 존재한다. 단형 피동은 접사 ‘-이/히/기-’를 사용하고, ∅ 접사를 이용하는 피동 형식은 동사원형이 타동사 역할을 하는 용례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주029)
대자대비(大慈大悲):넓고 커서 끝이 없는 부처와 보살의 자비. 특히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마음을 이른다. 대자비.
주030)
방편(方便):십바라밀의 하나.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쓰는 묘한 수단과 방법이다. ‘방편력’은 ‘방편의 힘’을 뜻한다.
주031)
중생(衆生):① 많은 사람. ② 모든 살아 있는 무리.
주032)
일우오미오:‘일+우+옴+이+오’. ‘이루는 것이고’. ‘일-’[成], ‘살-’[生], ‘돌-’[廻] 등 ‘ㄹ’ 말음을 가진 몇 어간은 접미사에 의한 ‘일우-, 살이-’와 함께 ‘이-, 사-’와 같이 접미사 ‘--’에 의한 파생도 보여 준다. 의미에는 차이가 있어 ‘일우-’는 “어떤 일을 성취함”, ‘이-’는 “집이나 탑을 세움”, ‘살이-’는 “어떤 곳에 살게 함”, ‘사-’는 “목숨을 살림”을 뜻한다.
주033)
원(願):① 소원(所願). ② 십바라밀의 하나. 바라는 것을 반드시 얻는 힘이다.
주034)
보리〔普提〕:불교 최고의 이상인 불타 정각의 지혜, 불타 정각의 지혜를 얻기 위하여 닦는 도. 불과(佛果)에 이르는 길을 이른다.
주035)
니르리:일반적으로는 동사 ‘니를-’에서 파생된 ‘① 이르게. 이르도록. ② 영원히. 오래도록. 영영.’과 같은 부사로 이해하고 있으나, ‘普提예 니르리 녜 우횟 法 여희디 아니호미오’에 보이는 ‘니를-’[到]가 용언성이 있음을 분명히 보인다. 그 앞에 통사적으로 관련이 있는 명사구 ‘NP애’가 있을 뿐 아니라, ‘니를오’식의 활용을 하기 때문에 동사로 파악하여야 하는 것이다.
주036)
법(法):그 자체의 성품을 간직하여 변하지 않고 궤범(軌範)이 되어서 사람이 사물에 대하여 일정한 이해를 낳게 하는 근거가 되는 것.
주037)
여희디:여의다, 이별하다, 잃다. 떠나다.
주038)
아뇩다라삼막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아뇩삼보리·아뇩보제. 번역하여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불과(佛果)의 지혜를 말함. 아뇩다라는 무상(無上), 삼먁삼보리는 정변지(正遍智), 또는 정등정각이라 번역하니 앞의 것은 구역, 뒤의 것은 신역. 줄여서 정각이라 하니, 범부가 불각(不覺)인 데 대하여, 미계(迷界)를 여의고 각지(覺知)가 원만하여 일체의 진상을 모두 아는 부처님의 무상 승지.
주039)
정각(正覺):① 정등각(正等覺). ② 등각(等覺). ③ 등각.
‘정등각’은 올바른 깨달음. 일체의 참된 모습을 깨달은 더할 나위 없는 지혜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