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3
  • 〈협주〉 미륵의 하생
  • 미륵의 하생 18
메뉴닫기 메뉴열기

미륵의 하생 18


[미륵의 하생 18]
그제 魔王 주001)
마왕(魔王):
천마(天魔)의 왕. 정법(正法)을 해치고 중생이 불도에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는 귀신이다.
初夜 주002)
초야(初夜):
예전에, 전날 밤중부터 이튿날 아침까지를 이르던 말.
後夜 주003)
후야(後夜):
① 새벽 한 시부터 다섯 시까지의 시간. ② 밤중에서 아침까지의 근행(勤行). 특히 새벽녘의 근행을 이른다.
애 人民 와 닐오 너희 마 人身 得야 됴 時節을 맛냇니 주004)
맛냇니:
맛나+잇+++니. 만났으니.
새록 자  둡디 말오 너희 셔거나 거나 녜 브즈러니 精進야 正念 주005)
정념(正念):
① 팔정도의 하나. 정견(正見)으로 파악한 모든 법의 본성과 모습을 바로 기억하여 잊지 않는 일이다. ② 정법(正法)으로 극락왕생함을 믿는 일. ③ 아미타불을 열심히 염불하는 일.
으로 五陰 주006)
오음(五陰):
생멸·변화하는 모든 것을 구성하는 다섯 요소. 곧 물질인 색온(色蘊), 감각 인상인 수온(受蘊), 지각 또는 표상인 상온(想蘊), 마음의 작용인 행온(行蘊), 마음인 식온(識蘊)을 이른다. 오온(五蘊)·오중·오취.
無常 주007)
무상(無常):
상주(常住)하는 것이 없다는 뜻으로, 나고 죽고 흥하고 망하는 것이 덧없음을 이르는 말. 비상(非常).
苦空 주008)
고공(苦空):
이 세상이 괴롭고 허망함을 이르는 말.
無我 주009)
무아(無我):
일체의 존재는 모두 무상하며 고(苦)이므로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음. 인무아와 법무아 둘로 나눈다.
 펴 보아 너희 放逸 주010)
방일(放逸):
제멋대로 거리낌 없이 방탕하게 놂.
야 佛敎 아니 行티 말라 다가 주011)
다가:
만약.

월인석보 23:42ㄴ

주012)
악업(惡業):
삼성업의 하나. 나쁜 과보(果報)를 가져올 악한 행위를 이른다.
니와면 주013)
니와면:
니왇+면. 일으키면.
後에 다 주014)
다:
반드시. 마땅히.
뉘으츠리라 그제 街巷男女ㅣ 다 이 마 화 닐오 너희 放逸야 佛敎 아니 行티 말라 다가 惡業 주015)
악업(惡業):
삼성업의 하나. 나쁜 과보(果報)를 가져올 악한 행위를 이른다.
을 니와면 後에 다 뉘으츠리라 브즈러니 方便 주016)
방편(方便):
십바라밀의 하나.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쓰는 묘한 수단과 방법이다.
야 精進야 道 求야 法利 주017)
법리(法利):
불법(佛法)의 진리.
일허 갓 주018)
갓:
한갓. 고작하여야 다른 것 없이 겨우.
살며 갓 죽디 말라 이 大師 주019)
대사(大師):
① ‘불보살’을 높여 이르는 말. ② ‘승려’를 높여 이르는 말. ③ 고려 시대의 법계 가운데 하나. 중대사의 아래, 대덕의 위이다. ④ 조선 시대에, 교종의 법계 가운데 하나. 도대사의 아래, 대덕의 위이다.
ㅣ 苦惱 내시리 맛나미 甚히 어려니 구디 精進면 다 常樂 주020)
상락(常樂):
① 언제나 괴롭지 않고 즐거움. ② 상락아정. ③ 대승 불교에서 말하는 열반의 네 가지 덕. 열반의 세계는 절대 영원하고 즐겁고 자재(自在)한 참된 자아가 확립되어 있으며 청정함을 이른다.
涅槃 得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미륵의 하생 18]
그때 마왕이 밤새 인민들을 깨워 이르되 너희 이미 인간의 몸을 얻어 좋은 시절을 만났으니 새도록 잠을 자서 마음을 덮지 말고, 너희가 서거나 앉거나 늘 부지런히 정진하여 정념으로 오음과 무상과 고공과 무아를 살펴보아 너희가 방탕하게 놀아 불교를 아니 행하지 말라. 만약에 악업을 일으키면 후에 반드시 뉘우치리라. 그때 거리의 남녀가 모두 이 말을 배워 이르되 너희가 제멋대로 거리낌 없이 방탕하게 놀아 불교의 가르침을 아니 행하지 말라. 만일 악업을 일으키면 후에 반드시 뉘우치리라. 부지런히 방편하여, 정진하여, 도를 구하여 불법의 진리를 잃어, 한갓 살며 한갓 죽지 말라. 이같은 대사가 괴로워하고 번뇌를 빼내실 이를 만나봄이 심히 어려우니 굳게 정진하면 마땅히 늘 괴롭지 않고 즐거운 열반을 얻게 되리라.
Ⓒ 역자 | 한재영 / 2009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마왕(魔王):천마(天魔)의 왕. 정법(正法)을 해치고 중생이 불도에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는 귀신이다.
주002)
초야(初夜):예전에, 전날 밤중부터 이튿날 아침까지를 이르던 말.
주003)
후야(後夜):① 새벽 한 시부터 다섯 시까지의 시간. ② 밤중에서 아침까지의 근행(勤行). 특히 새벽녘의 근행을 이른다.
주004)
맛냇니:맛나+잇+++니. 만났으니.
주005)
정념(正念):① 팔정도의 하나. 정견(正見)으로 파악한 모든 법의 본성과 모습을 바로 기억하여 잊지 않는 일이다. ② 정법(正法)으로 극락왕생함을 믿는 일. ③ 아미타불을 열심히 염불하는 일.
주006)
오음(五陰):생멸·변화하는 모든 것을 구성하는 다섯 요소. 곧 물질인 색온(色蘊), 감각 인상인 수온(受蘊), 지각 또는 표상인 상온(想蘊), 마음의 작용인 행온(行蘊), 마음인 식온(識蘊)을 이른다. 오온(五蘊)·오중·오취.
주007)
무상(無常):상주(常住)하는 것이 없다는 뜻으로, 나고 죽고 흥하고 망하는 것이 덧없음을 이르는 말. 비상(非常).
주008)
고공(苦空):이 세상이 괴롭고 허망함을 이르는 말.
주009)
무아(無我):일체의 존재는 모두 무상하며 고(苦)이므로 ‘나’라고 할 만한 것이 없음. 인무아와 법무아 둘로 나눈다.
주010)
방일(放逸):제멋대로 거리낌 없이 방탕하게 놂.
주011)
다가:만약.
주012)
악업(惡業):삼성업의 하나. 나쁜 과보(果報)를 가져올 악한 행위를 이른다.
주013)
니와면:니왇+면. 일으키면.
주014)
다:반드시. 마땅히.
주015)
악업(惡業):삼성업의 하나. 나쁜 과보(果報)를 가져올 악한 행위를 이른다.
주016)
방편(方便):십바라밀의 하나.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쓰는 묘한 수단과 방법이다.
주017)
법리(法利):불법(佛法)의 진리.
주018)
갓:한갓. 고작하여야 다른 것 없이 겨우.
주019)
대사(大師):① ‘불보살’을 높여 이르는 말. ② ‘승려’를 높여 이르는 말. ③ 고려 시대의 법계 가운데 하나. 중대사의 아래, 대덕의 위이다. ④ 조선 시대에, 교종의 법계 가운데 하나. 도대사의 아래, 대덕의 위이다.
주020)
상락(常樂):① 언제나 괴롭지 않고 즐거움. ② 상락아정. ③ 대승 불교에서 말하는 열반의 네 가지 덕. 열반의 세계는 절대 영원하고 즐겁고 자재(自在)한 참된 자아가 확립되어 있으며 청정함을 이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