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3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3
  • 〈협주〉 목련이 아귀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 목련이 아귀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2
메뉴닫기 메뉴열기

목련이 아귀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2


[목련이 아귀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2]
目連이  소리 야 슬피 우러 믈 흘려 라 도라와 부텻긔 다 대 부톄 니샤 네 어미 罪根 주001)
죄근(罪根):
① 죄를 짓게 된 원인. ② 죄악을 낳는 근본인 무명 번뇌(無明煩惱).
이 기피 자 주002)
자:
기본형은 ‘다’. 맺다. 맺어.
≪ 經에 닐오 錠光佛ㅅ 時節에 目連의 일후미 羅卜이오 어믜 일후믄 靑提러니 羅卜이 나 제 어미려 닐오 손곳 오나 이바쇼셔 어미 이받디 아니고 거즛 일로 이받

월인석보 23:93ㄱ

 주003)
:
+. 중세국어의 ‘’은 ‘땅’과 ‘자리’의 다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여기서는 후자의 의미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야 뒷거늘 주004)
뒷거늘:
‘두+잇+거늘’. 동사 어간 ‘두-[置]’는 ‘뒷논, 뒷더니; 두겨시다, 두겨샤’ 등에서와 같이 직접 ‘잇-/이시-’또는 ‘겨시-’와 합성하였다. ‘뒷-’은 ‘둣노니〈두시언해 20:11〉, 둣거니〈남명집 하48〉’에서처럼 ‘둣-’으로도 나타나기도 한다.
目連이 도라와 무른대 어미 닐오 이받던  몯 보려 그리 後에 五百生 中에 앗교미 서르 니 罪根이 기피 다 시니라 무로 目連錠光佛ㅅ 時節브터 나혼 어미 나 아니어시니 엇뎨 뎌 靑提 救뇨 對答호 靑提 目連이와 緣이 기퍼 今生 주005)
금생(今生):
이승.
애  어미외니 오직 이 몸 나 어미 救디 주006)
-디:
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되, -지마는’의 의미를 가지는 어미이다.
뎌 먼 주007)
뉘:
세상이나 때.
靑提 救호미 아니라≫

월인석보 23:93ㄴ

너  사 히로 엇뎨려뇨 몯리라 네 비록 孝順야 주008)
효순(孝順)야:
효성이 있고 유순하여.
소리 天地 뮈우나 주009)
뮈우나:
‘뮈우-’는 자동사 ‘뮈-’[動]의 사동사이다. 동명사형어미 ‘-움’과 통합할 경우에 ‘뮈움’은 ‘뮈우-’에서, ‘뮈윰’은 ‘뮈-’에서 온 것이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뮈우-’의 성조형은 평거형을 보이나, ‘뮈-’는 상성을 보인다.
天神地祇 주010)
천신지기(天神地祇):
천신과 지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곧 하늘의 신령과 땅의 신령을 이른다. 신기(神祇).
邪魔 주011)
사마(邪魔):
수행을 방해하는 마귀.
外道 주012)
외도(外道):
① 불교 이외의 종교. ② 불교 이외의 종교를 받드는 이.
道士와 四天王神 주013)
사천왕신(四天王神):
사왕천(四王天)의 주신(主神)으로 사방을 진호(鎭護)하며 국가를 수호하는 네 신. 동쪽의 지국천왕, 남쪽의 증장천왕, 서쪽의 광목천왕, 북쪽의 다문천왕이다. 위로는 제석천을 섬기고 아래로는 팔부중(八部衆)을 지배하여 불법에 귀의한 중생을 보호한다. 사대 천왕·사왕(四王)·사천(四天).
도  能히 엇뎨려뇨 몯리니 모로매 十方衆僧威神力브터 주014)
브터:
븓+어. 붙어야.
解脫 주015)
해탈(解脫):
비목차(毘木叉), 비목저(毘木底), 목저해탈(木底解脫)이라 음역. ① 번뇌의 속박을 벗어나 자유로운 경계에 이르는 것. ② 열반의 딴 이름. 열반은 불교 구경의 이상이니, 여러 가지 속박에서 벗어난 상태이므로 해탈. ③ 선정의 딴 이름, 속박을 벗고, 자재함을 얻는 것이 선정의 덕이므로 해탈이라 한다.
 得리니 내 이제 救濟 法을 닐어 一切 難이 다 시름 受苦 여희에 호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목련이 아귀에 있는 어머니를 구함 2]
목련이 한껏 소리하여 슬피 울어 눈물 흘려 달려 돌아와 부처께 다 아뢰되 부처가 이르시되 네 어미가 죄근이 깊이 맺어 ≪한 경에 이르되 정광불의 시절에 목련의 이름이 나복이고 어미의 이름은 청제이더니 나복이 나갈 때에 제 어미더러 이르되 손님 곧 오거든 대접하소서. 어미가 대접하지 아니하고 거짓 일로 대접하던 자리를 하여 두었거늘 목련이 돌아와 묻기에 어미가 이르되 대접하던 자리를 못 보겠네. 그리한 후에 오백생 가운데 아낌이 서로 있기에 죄근이 깊이 맺었다고 하시니라. 묻되 목련정광불의 시절부터 낳은 어미가 하나가 아시시니 어찌 저 청제만 구하는가? 대답하되 청제목련이와 연이 깊어 이승에 또 어미가 되니 오직 이 몸을 낳은 어미를 구하되 저 먼 세상의 청제를 구하는 것이 아니다.≫ 너 한 사람의 힘으로 어찌하겠는가? 못 할 것이다. 네가 비록 효순하여 소리가 천지를 움직이나 천신지기와 사마와 외도도사와 사천왕신도 또 능히 어찌하겠는가? 못 할 것이니 모름지기 십방중승위신력을 붙어야 해탈을 얻으리니 내가 이제 구제할 법을 일러 일체 어려움이 다 시름과 수고를 이별하게 할 것이다.
Ⓒ 역자 | 한재영 / 2009년 9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죄근(罪根):① 죄를 짓게 된 원인. ② 죄악을 낳는 근본인 무명 번뇌(無明煩惱).
주002)
자:기본형은 ‘다’. 맺다. 맺어.
주003)
:+. 중세국어의 ‘’은 ‘땅’과 ‘자리’의 다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여기서는 후자의 의미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주004)
뒷거늘:‘두+잇+거늘’. 동사 어간 ‘두-[置]’는 ‘뒷논, 뒷더니; 두겨시다, 두겨샤’ 등에서와 같이 직접 ‘잇-/이시-’또는 ‘겨시-’와 합성하였다. ‘뒷-’은 ‘둣노니〈두시언해 20:11〉, 둣거니〈남명집 하48〉’에서처럼 ‘둣-’으로도 나타나기도 한다.
주005)
금생(今生):이승.
주006)
-디:동사, 형용사 어간이나 어미 뒤에 붙어 ‘-되, -지마는’의 의미를 가지는 어미이다.
주007)
뉘:세상이나 때.
주008)
효순(孝順)야:효성이 있고 유순하여.
주009)
뮈우나:‘뮈우-’는 자동사 ‘뮈-’[動]의 사동사이다. 동명사형어미 ‘-움’과 통합할 경우에 ‘뮈움’은 ‘뮈우-’에서, ‘뮈윰’은 ‘뮈-’에서 온 것이라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뮈우-’의 성조형은 평거형을 보이나, ‘뮈-’는 상성을 보인다.
주010)
천신지기(天神地祇):천신과 지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곧 하늘의 신령과 땅의 신령을 이른다. 신기(神祇).
주011)
사마(邪魔):수행을 방해하는 마귀.
주012)
외도(外道):① 불교 이외의 종교. ② 불교 이외의 종교를 받드는 이.
주013)
사천왕신(四天王神):사왕천(四王天)의 주신(主神)으로 사방을 진호(鎭護)하며 국가를 수호하는 네 신. 동쪽의 지국천왕, 남쪽의 증장천왕, 서쪽의 광목천왕, 북쪽의 다문천왕이다. 위로는 제석천을 섬기고 아래로는 팔부중(八部衆)을 지배하여 불법에 귀의한 중생을 보호한다. 사대 천왕·사왕(四王)·사천(四天).
주014)
브터:븓+어. 붙어야.
주015)
해탈(解脫):비목차(毘木叉), 비목저(毘木底), 목저해탈(木底解脫)이라 음역. ① 번뇌의 속박을 벗어나 자유로운 경계에 이르는 것. ② 열반의 딴 이름. 열반은 불교 구경의 이상이니, 여러 가지 속박에서 벗어난 상태이므로 해탈. ③ 선정의 딴 이름, 속박을 벗고, 자재함을 얻는 것이 선정의 덕이므로 해탈이라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